1
“기원전 3세기 사람들은 ‘인류의 지 식은 모두 지중해 알렉산드리아의 도 서관에 소장돼 있다’고 말했다. 오늘날 사용 가능한 정보는, 모든 지구인에게 나누어줄 경우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에 소 장돼 있던 정보 전체의 320배에 달하는 양 을 1명이 갖게 되는 엄청난 규모다.”
부러 수치를 따져보자. 오늘 당신이 가진 ‘정보’의 총 량은 1200엑사바이트란다. 1엑사바이트는 10억 기가바 이트, 즉 100만 테라바이트에 이른단다. 이 모든 정보를 CD에 기록하면, 지구에서 달을 연결하는 기둥을 5개 정 도 세울 수 있단다. 허, 배 많이 부르다.
(이하 ) 한국판 7월 호는 디지털 정보가 봇물을 이루는 21세기 지구촌의 풍 경을 다룬 빅토르 몌예르 쇤베르거 영국 옥스퍼드대학 인터넷거버넌스학 교수 등이 쓴 글을 주요 기사로 올렸 다. 말 그대로, ‘천문학적’ 정보가 널린 세상이다. 최근 부 쩍 정치에 맛을 들인 한국의 정보기관이 아니어도, 그 정보가 왜곡된 형태로 수집·보관·활용될 수 있다는 점 은 숱한 사례로 입증이 가능하다.
광고
국가가 감추려던 정보를 드러내면, 민주주의는 고도 로 숙성이 가능해진다. 그 반대라면? 국가가 개인의 정 보를 장악하기 시작하면, 쇤베르거 교수의 표현처럼 ‘아 주 평온하게’ 조지 오월이 에서 우려한 ‘빅브러 더’는 현실태로 우리 삶을 옥죌 수 있다. 미 국가안보국 (NSA)의 ‘비행’을 고발한 젊은 에드워드 스노든은, ‘21세 기형 정보 전체주의의 내면’을 꿰뚫어본 셈인가?
사회학자 모르간 퀴에니가 2011년 스위스 로잔대학교 에 제출한 박사 학위 논문을 정리한 ‘진짜이면서 가짜인 야누스 노동’은 꼼꼼히 읽어볼 만하다. 일자리를 잃으면 취업 기간에 쌓아놓은 고용보험금에 따라 당연히 실업 급여를 받아야 한다. 하지만 ‘실업보험에 관한 법률’에 따 라 ‘실제 직업 현장과 유사한 활동’을 해야 실업급여를 받 을 수 있는 스위스의 실업자들은, 노동현장에 투입돼 임 금 없는 노동을 하고 있단다. 이를 두고 퀴에니는 ‘진짜 이면서 가짜인, 야누스 같은 노동’이라고 표현했다.
가 표지로 올린 마틴 뷜라르 특파원의 ‘삼 성, 공포의 제국- 위대한 한국 성공의 뒷모습’은,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추악한 재벌’의 실체를 새삼 들춰냈다. 딸림 기사로 올린 ‘이건희와 헨리 포드의 공통점’은 ‘종업 원 대표이사’의 경영 참여를 강제하고 있는 유럽 각국의 ‘기업집단법’을 통해 전 국민이 통치하는 ‘삼성의 미래’를 상상한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독일을 중심으 로 유럽 각국이 탈원전으로 나아가고 있는 상황에서, 러 시아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핵발전의 외줄타기로 뛰어 든 동유럽 각국의 현실을 들여다본 엘렌 비앵브위 기자 의 기사도 눈길을 끈다.
신규섭 한국외국어대 이란어과 외래교수가 버스와 열 차 등을 이용해 중국 시안부터 이탈리아 로마까지를 누 비고 와 한국어판에 기고한 ‘진실을 찾아 떠나는 실크 로드 여행’도 흥미롭다. 신 교수는 이란 학자들의 최근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 이태백 (701~762년)이 이슬람의 정복전쟁을 피해 중국 땅으로 이주해온 사산조페르시아의 후예인 타지크족 출신이라 고 추정한다. 이태백의 도가사상도 노자와 조로아스터 교의 만남이자, 문명 교류의 꽃이란 게다.
광고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계엄·포고령·국회장악…하나라도 중대 위헌이면 윤석열 파면
아이유, 극우 ‘좌파 아이유’ 조롱에 “감당해야 할 부분”
‘MBC 적대’ 이진숙, 지상파 재허가 심사 강행
“윤석열, 국민 무서운줄 몰라” 시민들, 만장일치 파면 촉구
초등학교서 마시멜로 태우며 화산 실험…14명 병원행
“저희 어무니 가게, 도와주세요” 1억 클릭…거기가 어딥니까
한덕수·최상목·이복현 ‘눈치게임’ 시작 [그림판]
윤석열 운명, ‘헌법 수호 의지·국민 신임’ 두 잣대에 달렸다
이복현 “사의 표명했지만 부총리가 경거망동 안 된다며 만류”
국힘 박충권 “마은혁은 공산주의자” 고함에 몸싸움 직전까지 간 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