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21~26일 2006 통영국제음악제… 모스크바필·살타첼로·황병기 등
▣ 김수병 기자 hellios@hani.co.kr
지난 1월 국정원 과거사건 진실규명위원회는 이른바 ‘동백림’(동베를린) 사건이 조작됐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국내외 문화예술인과 지식인들을 옭아맨 이념의 사슬을 40여 년 만에 끊은 것이다.
광고
올해로 5회를 맞는 2006 통영국제음악제가 뜻있게 여겨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비로소 한국의 전통적 정서를 서양 현대음악에 접목한 작품으로 널리 알려진 재독음악가 윤이상(1917~95) 선생을 편견 없이 만나게 된 셈이다.
올해 음악제의 주제는 여러 문화가 서로 흘러 공존한다는 것을 뜻하는 ‘유동’(Flux). 이는 윤이상 선생의 관현악 작품 제목이기도 하다. 개막작인 음악극 <로즈>를 비롯해 모스크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캐나디안 브라스·살타첼로 내한 공연, 황병기와 한국현대음악앙상블의 협연 등 12회의 공연에서 유동의 의미를 떠올리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봄꽃이 흐드러지게 피어나듯 다양한 장르의 음악이 통영에서 화음을 맞추는 셈이다.
우선 눈에 띄는 게 개막작으로 선보이는 음악극 <로즈>. 그동안 오페라 <꿈>(2003), <영혼의 사랑>(2004) 등 기존 윤이상 선생의 작품을 소개한 개막작을 창작 작품으로 선정한 게 이채롭다. 중국계 시인 리영리의 작품 <올웨이스 어 로즈>(Always a Rose)를 통영국제음악제 상주악단 TIMF앙상블의 예술감독 최우정 서울대 작곡과 교수가 음악극으로 재창조했다. 장미로 투영되는 한 남자의 삶이 추상적 무대에 풍성하게 드러난다.
모차르트 탄생 250년을 기념하는 <모차르트 레퀴엠>도 놓치기 아깝다. 지휘자 이재준이 이끄는 갈라 오케스트라와 필그림 미션 콰이어, 얘노을 합창단이 협연하고 국내 정상급 성악가 박미자, 장현주, 이영화, 김승철 등을 만날 수 있다. 독일 출신의 5인조 클래시컬 재즈 앙상블 살타첼로의 무대와 국내 전통음악계의 대부 황병기의 작품 등 창작 국악곡을 연주하는 폐막 무대도 기대된다. 3월21~26일, 통영시민문화회관, 02-3474-8315, www.timf.org.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헌재 길목서 ‘키세스 이불’ 덮고 밤샘…“비상식적 선고 날까봐”
케이블타이에 감긴 기자, 입 열다…계엄군 “가져와” 하더니 [영상]
보수 조갑제 “한덕수, 윤석열 편인가 나라 편인가…오판하면 비참한 말년”
“저희 엄마 가게 도와주세요” 1억 조회수…자영업 구하러 효심이 나섰다
윤석열 선고, 광주 초·중·고 학생들이 지켜본다
이재명, ‘헌재 결정 승복’ 국힘 요구에 “그건 윤석열이 해야”
헌재, 5 대 3 선고 못 하는 이유…‘이진숙 판례’에 적시
마은혁 불임명 ‘위헌’ 판단한 헌재…‘8 대 0’ 외 다른 길 있나?
보령머드 ‘장인’의 5천원 뚝배기…“다이소 납품, 남는 건 인건비뿐”
[사설] 헌재 ‘윤석열 파면’ 지연이 환율·신용위험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