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에서 10월은 포스트시즌이 열리는 달이다. 올해 11월에는 ‘포스트-포스트시즌’이라고 할 수 있는 국제대회가 예정돼 있다. 한국시리즈 챔피언 SK는 11월4~5일 대만 챔피언 슝디 엘리펀츠와 한국-대만 챔피언십 2경기를 치르며, 13일에는 일본 도쿄돔에서 일본시리즈 승자와 한일클럽챔피언십 타이틀을 놓고 다툰다. 두 대회는 2008년까지 열렸던 아시아시리즈의 변형이다. 13일에는 국가대표팀이 광저우 아시아경기대회 일정을 시작한다.
통상 아시아권 국제대회에서 한국의 라이벌이자 도전 상대는 일본이다. 그러나 올해 11월의 최대 적수는 대만이다. SK의 ‘아시아 챔프’ 도전의 첫 상대가 대만 팀이다. 아시아경기대회에서도 일본은 사회인 선수 위주의 대표팀을 파견하는 반면, 대만은 자국 프로야구 올스타에 미국·일본 프로야구에서 뛰는 선수들까지 불러 최정예 대표팀을 꾸렸다. 대만은 한국을 숙적으로 여긴다. 최근 국제대회에서 대만의 최대 목표는 ‘한국 타도’다. 그러나 정작 국내 야구팬들은 대만 야구에 관심이 없다. 대만 야구가 미디어에 노출되는 빈도도 낮다. 대만은 어떻게 아시아의 야구 강국이 됐으며, 왜 한국은 어느 순간 그들의 타도 대상이 됐을까? 몇 가지 키워드로 살펴본다.
<font color="#C21A8D"> ▲국기</font>전세계에서 야구의 위상이 가장 높은 나라는 대만이다. 종주국인 미국에서 야구는 오래전에 미식축구에 최고 인기 스포츠 자리를 내줬다. 대만에서는 한국의 축구처럼 야구와 인기를 다툴 수 있는 경쟁 종목도 없다. 2300만 인구 가운데 동호인을 포함한 야구 인구는 200만 명으로 추산된다. 아시아에서 세 번째 프로야구리그인 중화직업봉구연맹(CPBL)을 보유하고 있으며,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은메달을 땄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국가대표팀이 두 수 아래로 여겼던 중국에 지자 대만 전체는 패닉 상태에 빠졌다. 그러자 대만 정부는 730억원 규모의 4개년 야구진흥계획을 발표했다. 말 그대로 야구는 대만의 국기다.
<font color="#C21A8D"> ▲슈퍼스타</font>대만이 배출한 슈퍼스타는 메이저리거 투수 왕젠밍이다. 2008년 오른쪽 다리 인대 부상 뒤 하향세지만, 2006년 뉴욕 양키스 소속으로 19승을 따냈다. 아시아 출신 선수로는 시즌 최다승 기록이다. 1980~90년대 일본 프로야구에서 활약한 궈위안즈와 궈타이위안은 당시 한국에서도 유명한 스타였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대만 야구 최초의 슈퍼스타는 홍예초등학교 야구팀이다. 전교생이 100명인 이 학교 야구팀은 1968년 타이베이구장에서 일본의 강팀 와카야마학교를 상대로 승리했다. 과거 식민종주국의 최강팀을 대만 소년들이 눌렀다는 사실은 전 국민에게 카타르시스를 선사했다. 이듬해인 1969년 진롱 팀은 미국 윌리엄스포트에서 열린 최초의 리틀야구 세계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대만은 1995년까지 16차례 리틀야구의 정상에 섰다.
<font color="#C21A8D"> ▲“국제적이자 지역적”</font>미국 캘리포니아 종합기술대학의 앤드루 모리스는 대만인에게 야구는 “국제적이면서도 지역적”인 것이라고 표현한다. 대만은 외교적으로 고립된 나라다. 그러나 세계 정상을 경험한 대만 야구는 대만이 국제사회의 ‘앞서가는’ 일원이라는 증거로 여겨진다. 플레이 스타일에서도 이 점을 엿볼 수 있다. 대만 야구는 일본 식민지 시절인 1905년에 시작됐다는 게 정설이다. 그러나 대만 국가대표팀과 프로팀의 경기 스타일은 미국식에 가깝다. 경기 전 훈련 시간이 짧고, 타자들은 기술보다는 힘에 의존한다. 포심패스트볼을 기본으로 하는 한국이나 일본과는 달리, 투수들도 투심패스트볼을 많이 던진다. 한편, 야구는 대만인에게 ‘본토’와 대비되는 대만적인 특성으로 읽힌다. 중국문화권에서 대만은 거의 유일하게 야구가 성행하는 곳이다. 1948년 상하이에서 열린 제7회 전국체전에 출전한 야구팀은 4개뿐이었다. 대만 대표 한 팀과 대만 선수가 주축인 공군팀과 경찰팀, 그리고 필리핀 화교팀이었다.
<font color="#C21A8D"> ▲한국</font>10월 타이중 대륙간컵대회 한국-대만 경기에서 한 대만 관중이 ‘천안함을 공격하듯 한국을 때려라’는 피켓을 든 장면이 TV 중계에 잡혀 물의를 일으켰다. 대만에서 열리는 경기에서 한국 선수들이 받는 야유는 상상 이상이다. 대만 야구 전문가 김윤석씨에 따르면, 1954~2009년 성인국가대표팀 전적은 35승6무28패로 한국이 약간 우세하다. 대체적으로 1982년까지는 한국이 우세했고, 1982년 이후엔 대만이 앞섰다. 1982년은 한국에서 프로야구가 출범한 해다. 프로선수의 아마추어 출전은 1998년부터 가능했다. 1991년 대만에서도 프로리그인 CPBL이 출범한 뒤 한동안 국제대회는 양국 최고 선수들이 나오지 않는 잊혀진 무대가 됐다. 그러나 1998년 이후 아시아경기대회, 올림픽,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 등 ‘드림팀’ 대결 전적은 7승1패로 한국의 압승이다. 왜 대만 야구팬들이 한국에 적개심을 갖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그러나 김태민 미네소타 트윈스 스카우트는 “아마추어 선수의 기량은 한국과 비슷하다. 어느 해에는 대만에서 더 나은 선수가 나온다”고 말했다. 과거 한국을 ‘유망주의 엘도라도’로 여겼던 메이저리그 구단들은 오스트레일리아에 이어 대만을 새로운 선수 공급지로 여긴다. 김 스카우트는 “지금 마이너리그에 있는 젊은 선수들이 제대로 성장한다면, 한국은 국제대회에서 대만에 밀릴 수 있다”고 경고한다.
<font color="#C21A8D"> ▲CPBL</font>
1982년 한국 프로야구 출범에 자극받은 대만 야구계는 1990년 자국 리그인 CPBL을 출범시켰다. 한때 양대 리그 체제로까지 확장된 대만 프로야구는 지금 고작 4개 팀으로 운영되고 있다. 대만 프로야구단 모기업은 한국과 같은 대기업이 아니다. 평균 연봉은 한국의 절반 이하다. 최고 연봉 선수 천진펑의 월급여는 3천만원 선이다. 반면 한국 프로야구에선 두산 김동주가 월 7천만원을 받는다.
1992년 6878명으로 최고를 찍은 평균 관중 수는 2000년 1676명까지 떨어졌다. 올해 평균 관중 수도 2690명에 그쳤다. 유망주들은 헐값 계약금에도 해외 리그로 향한다. 최근 국제대회에서 대만의 약세는 대표팀의 근간이 되는 자국 프로야구의 침체가 직접적인 이유다.
김윤석씨는 “한 CPBL 선수는 ‘한국에서 뛸 생각도 있다. 그러나 실패하면 엄청난 비난을 받는다는 생각에 주저한다’고 하더라”고 전했다. LG·SK 등 일부 구단은 대만 선수 영입을 검토했지만, 2명으로 제한된 외국인 선수 쿼터 때문에 성사된 적은 없다.
최민규 기자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경기도 국감서 성남시장 의혹 해명, 유죄”…이재명 1심이 놓친 것
명태균 “김건희에 전화, 대선후보 비서실장 윤한홍 임명 막았다”
‘디올백 사과 의향’ 질문했다더니…박장범 “기억 오류” 말 바꾸기
경북대 교수들 “윤석열 해고”…이미 ‘박근혜 탄핵’ 서명 2배
[단독] “명태균에 1억2천 낸 후보, ‘공천됐다’ 떠들고 다니다 탈락”
소나무 뿌리에 송이균 감염시켜 심는 기술로 ‘송이산’ 복원
“윤 불법 사무소 증거인멸 의혹…일주일 새 ‘예화랑’ 간판 사라져”
[단독] 민주, ‘주주 이익 보호’ 별도 명시한 상법개정안 발의
‘입틀막’ 경호처, 윤 골프 취재하던 기자 폰 강제로 뺏어
확 바뀌는 청약제도, 2030 내 집 마련 길 넓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