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차노끄난은 타이 민주주의의 미래”

타이 현지에서 만난 양심수 솜욧, 난민 차노끄난을 얘기하다…

“타이 민주주의를 위해 응원해달라”
등록 2018-06-07 02:50 수정 2020-05-03 04:28
지난 4월30일 7년의 수감생활을 마치고 출소한 타이의 양심수 솜욧 쁘륵사까셈숙.

지난 4월30일 7년의 수감생활을 마치고 출소한 타이의 양심수 솜욧 쁘륵사까셈숙.

“한국의 민주주의는 강하다. 차노끄난은 한국에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타이의 양심수 솜욧 쁘륵사까셈숙(57)은 왕실모독죄로 체포될 위기에 처하자 한국으로 정치망명을 선택한 차노끄난 루암삽(25· 1214호 표지이야기)의 이야기를 듣고 “현명한 결정을 한 것”이라며 지지와 격려를 보냈다. 그는 “한국은 군부독재에 맞서 싸워 이긴 훌륭한 민주주의 역사를 가졌다. 차노끄난은 한국에 살면서 타이에 있을 때보다 더 큰 자유를 누리며 훌륭한 활동가들에게서 좋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타이 민주주의의 미래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font size="4"><font color="#008ABD">왕실모독죄로 11년형</font></font>

타이의 노동운동가이자 언론인인 솜욧은 5월23일 방콕 외곽에 있는 자택에서 과 만났다. 학생운동가로 1976년 민주화 시위를 주도하고 1980년대 이후 노동운동을 조직해온 솜욧은 2011년 4월30일 차노끄난과 같은 혐의(타이 형법 제112조 위반, 왕실모독죄)로 체포돼 구속 기소됐다. 푸미폰 아둔야뎃 왕실을 모욕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기사 두 건이 담긴 잡지를 출판했다는 것이었다. 솜욧은 왕실모독죄의 최고형을 15년에서 3년으로 줄일 것을 요구하는 진정서 1만여 장을 모으는 캠페인을 벌인 지 닷새 만에 체포됐다. 그는 보석 신청 권리를 박탈당한 채 재판을 받았다.

솜욧의 변호인은 “왕실을 모독할 의도가 아니었고, 언론인으로서 역할을 한 것뿐”이라며 석방을 요구했다. 하지만 타이 고등법원은 2013년 1월23일 그에게 11년형을 선고했다. 국제사회는 비판의 목소리를 쏟아냈다. 유럽연합은 “솜욧에 대한 중형 선고는 표현·언론의 자유를 심각하게 침해했다. 깊은 우려를 표한다”고 발표했고, 국제앰네스티는 “타이의 표현의 자유가 후퇴했다”며 비판했다. 한국에서는 2014년 노동절인 5월1일 민주노총, 국제민주연대, 사회진보연대 등 14개 노동·인권 단체가 주한 태국대사관 앞에서 솜욧의 석방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이처럼 국제사회의 비판이 잇따르자 타이 대법원은 지난해 2월 솜욧의 형기를 11년에서 6년으로 줄였다.

솜욧은 2011년 방콕 레만드 감옥에 수감된 지 석 달 만에 자살을 결심했다. 그는 “발목에 채워진 족쇄 때문에 생긴 통풍으로 고통받았고 절망했다. 어느 날 밤, 죽기로 결심하고 허리끈으로 목을 맸는데 죽기 직전에 동료가 나를 발견해 구했다. 나는 정신과 진료를 받으며 우울증 약을 먹어야 했다”고 말했다.

인터뷰하는 동안 솜욧은 수차례 입가를 찡그리며 고통스러워했다. 그는 “의료인이 부족한 감옥에서 복역하는 동안 단 한 번도 치과의사를 만나지 못해 입안이 엉망이 됐다. 출소 뒤 병원을 다니며 망가진 몸을 회복하려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7년의 형기를 마치고 감옥을 나온 기분이 어떠냐는 질문에는 단호하게 “크게 달라진 게 없다”고 했다. “감옥에서 나왔지만 우리는 여전히 군부독재 치하에 살고 있다. 감옥이 아닌 집에 있어도 자유가 없다. 의사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없다. 그저 작은 감옥에서 큰 감옥으로 나온 것에 불과하다.”

<font size="4"><font color="#008ABD">전태일노동상 특별상 수상</font></font>

솜욧은 2016년 11월 ‘24회 전태일노동상’ 특별상을 받았다. 한상균 전 민주노총 위원장과 공동수상이었다. 감옥에 갇힌 솜욧을 대신해 딸 브라까이다오 쁘륵사까셈숙이 한국에 와서 상을 받았다. 현재 트로피는 식탁 옆 선반 잘 보이는 곳에 있다. 그는 트로피를 들고 자랑스러운 표정으로 “전태일 열사는 자신의 삶을 바쳐 한국 노동자들이 단결하고 싸울 수 있게 했다. 그의 희생은 한국인뿐 아니라 타이 노동자에게도 깊은 감동을 주었다. 나는 그의 죽음을 잊지 않고 그 뜻을 따라 살 것이다”라고 말했다. 수상 1년6개월 만에 보내는 ‘뒤늦은’ 소감인 셈이다.

한국에서 촛불집회로 대통령이 탄핵된 것에 대해서는 “한국은 강한 민주주의 역사를 가졌는데, 촛불집회 같은 역동성이 한국의 정치 시스템을 더욱 민주적으로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타이 사람들을 한국에 보내 어떻게 저항하는지를 보고 배우게 하고 싶다”고 했다.

“타이에서 민주화운동을 조직하는 사람들 중에는 젊은이가 더러 있지만 이들은 다른 이들을 끌어들이는 데 실패했다. 대부분의 타이 젊은이들은 백화점에서 쇼핑하거나 한국의 아이돌과 대중문화를 소비하는 데만 관심이 있다. 차노끄난처럼 민주화운동을 하던 사람들은 감옥에 가거나 세계 곳곳으로 흩어진다.”

솜욧은 침통한 표정으로 “타이에선 민주화운동을 하다 감옥에 가면 아무도 도와주지 않는다”고 했다. 그가 감옥에 간 뒤 아내는 자신을 떠나 이탈리아에서 새 삶을 시작했다. 딸은 정부의 끈질긴 감시와 괴롭힘을 피해 타이 국적을 포기하고 캄보디아로 갔다.

솜욧은 타이의 민주화가 갈 길이 멀고 험하다고 하면서도 5년 안에 큰 변화의 물결이 일 것으로 내다봤다. “생활물가가 계속 올라 일반 국민의 군부독재에 대한 분노가 커지고 있다. 국민의 세금 부담이 커지는데 정부는 경제 발전이 아닌 군사력 증강에 돈을 쏟아붓고 있다. 5년 안에 경제 위기가 정치 위기를 초래할 것이다. 그때가 오면 단순히 정부를 바꾸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타이 전체 통치 권력의 구조를 바꿔야 한다.”

<font size="4"><font color="#008ABD">‘임을 위한 행진곡’ 타이에 소개</font></font>

솜욧은 한국 사람들에게 타이 민주주의를 응원해달라고 했다.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사회 변화는 전세계에서 연대를 위해 활동하는 사람들에게 영감을 준다. 민주주의를 위해 싸우는 타이 사람들에게는 용기를 준다. 우리가 함께하면 더 강해질 수 있다.” 타이 사람들에게는 “타이가 더 좋아질 수 있다는 믿음을 갖고 계속 싸워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솜욧은 을 타이말로 개사한 를 타이 운동 현장에 보급하기도 했다. 그는 “노래를 부른 지 오래돼 잊어버렸다. 하지만 멜로디는 기억한다”며 을 흥얼거렸다.

방콕(타이)=<font color="#008ABD">글•사진</font> 이재호 기자 ph@hani.co.kr



독자  퍼스트  언론,    정기구독으로  응원하기!


전화신청▶ 02-2013-1300 (월납 가능)
인터넷신청▶ <font color="#C21A1A">http://bit.ly/1HZ0DmD</font>
카톡 선물하기▶ <font color="#C21A1A">http://bit.ly/1UELpok</font>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