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쓰레기는 더 많은 이야기가 필요해

<한겨레21> 1374·1375호 통권호 ‘쓰레기 TMI’를 전하는 제로웨이스트숍 광주의 ‘이공’, 전북 군산의 ‘자주적 관람’
등록 2021-08-28 17:54 수정 2021-08-29 10:52
광주광역시 카페 겸 제로웨이스트 가게 ‘이공’에 <한겨레21> 통권5호 ‘쓰레기 TMI’가 놓여 있다.

광주광역시 카페 겸 제로웨이스트 가게 ‘이공’에 <한겨레21> 통권5호 ‘쓰레기 TMI’가 놓여 있다.

세제는 1g에 7원, 섬유유연제는 1g에 5원이다. 통계피는 100g에 2천원, 페퍼민트는 1g에 500원이다. 광주시 카페 겸 제로웨이스트 가게 ‘이공’(‘이상한 공간’이라는 뜻으로 이름 붙였지만, 지금은 ‘이로운 공간’이라는 뜻으로 주로 쓴다) 물건은 포장재 없이 날것 그대로다. 고유의 무게만 지녔다. 꼭 필요한 만큼만 통에 담아가면 된다. 물건 옆에 놓인 저울을 괜히 살짝 건드려보았다. 디지털 숫자가 예민하게 흔들린다. ‘쓰레기 TMI’ 통권호(제1374·1375호)를 펴내기 위해 종종거리며 한 계절을 나고, <한겨레21>은 물건이 지닌 무게에 조금 더 예민해졌다. 물건의 무게는 언젠가 대개 쓰레기의 무게다. 그러고 보니 이공 한편에는 재활용되길 바라며 손님들이 가져온 (진짜) 쓰레기 무게가 적혀 있다. 2021년 1월부터 플라스틱 음료병 뚜껑과 병목고리 2만7627g, 작은 실리콘 제품 446g을 모았다.

그런 곳에 ‘쓰레기 TMI’가 놓여 있다. 손님이 뒤적이길 바라며 세세한 설명을 적어뒀다. 제주부터 강릉까지 전국 곳곳 65곳 제로웨이스트숍에서 ‘쓰레기 TMI’를 팔고 있다(8월26일 기준). 혹은 대여한다. 이공도 그런다. 광주에 몇 없는 귀한 제로웨이스트 가게다. 서울 정도를 빼면 어느 지역이든 제로웨이스트 가게는, 아직 귀하다. 사명감이 크다.

귀하고 높고 외로운 ‘제로웨이스트 가게’

이공의 사명감과 고민 앞에, 잡지에 큼직하게 적힌 TMI(너무 과한 정보)는 다소 부끄러운 제목이다. ‘이게 무슨 투 머치?’ 꾸짖는 듯하다. 이공은 카페에서 나온 음식물쓰레기는 자체 퇴비화 시설에 넣어 퇴비로 만든다.(이공에서 일하는 제이(활동명)는 “카페 음식물쓰레기 질이 좋잖아요”라고 말하며 대수롭지 않게 과일 껍질과 밥풀이 든 퇴비통을 열어 보였다.)

탄산수를 페트병째로 들여오지 않기 위해 직접 제조한다, 휴지 냅킨은 치우고 소창으로 만든 헝겊 냅킨을 쓴다, 테이크아웃 컵은 없앴다, 대신 대여용 텀블러를 두었다, 축산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부터 음료에는 우유 대신 두유를 넣는다 등등. 다 적지 못했다. 납득할 수 없는 물건의 행로가 빤했고, 방법을 찾다보니 하나둘 하는 일이 늘었다. “좀 하드코어하기는 한데… 광주에 몇 없는 제로웨이스트 공간이다보니 다른 분들도 참조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서”라고, 이공에 제로웨이스트숍을 들인 왕꽃(활동명)은 설명했다. 그런데도 분명 문제는 또 발견될 것이고, 해야 할 일은 또 더해질 것이다. 그렇다. 무겁고 또 무거운 쓰레기 앞에 아무리 해도 ‘투 머치’는 없다. 늘 어딘가 부족하다. “어느 누구든 ‘여긴 안전해’, 느낄 공간을 만들고 싶었을 뿐인데.”

‘쓰레기 TMI’도 부족하다. 왕꽃이 짚어줬다. “서울·수도권 말고 다른 지역의 소각이나 매립 상황을 좀더 다뤘으면 좋았겠어요. 예를 들어 광주는 소각장이 없어 직매립(소각 없이 매립)을 하고 있거든요.” 맞다, 지역의 쓰레기를 놓쳤다. 담배꽁초와 미세플라스틱 문제도 깊게 담지 못했다.(이공은 담배꽁초를 주워 온 이들에게 ‘쓰레기 TMI’를 무료 배포한다.) 종이와 종이팩은 다르며, 종이팩을 따로 분리배출할 방법만 있다면 더 많이 재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충분히 적지 못했다.(왕꽃은 종이팩 분리배출 캠페인 ‘카페라떼 클럽’을 진행한다.) 그러므로 ‘쓰레기 TMI’는, 너무 과한 정보일 리 없다. 빈곳투성이다. 부족한 정보다. 이공 한편에 놓인 잡지의 묵직함이 문득 부끄럽다.

“정확한 쓰레기 정보를 모아줘서 좋아”

그래도 이들은 이 부끄러운 잡지를 더 많은 사람이 봐줬으면 했다. 왕꽃은 환경에 관심 있는 시민이 모이는 곳에 “보부상처럼 짊어지고 가서” ‘쓰레기 TMI’를 팔기까지 했다. 대체 왜? “보통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주간지에 정확한 쓰레기 정보를 이렇게 열심히 모아준 것이 좋아서 우리 가게에 꼭 놔야겠다고 생각했다”고 제이는 말했다. 전북 군산 전시공간 겸 제로웨이스트 가게 ‘자주적 관람’ 최정은 대표도 비슷한 얘기를 했다. “학교든 기관이든 곳곳에 놓여서 가능한 한 많은 사람이 읽으면 좋겠어요. 정보량이 상당해서 인터넷 기사로 읽기는 힘들 텐데, 그래도 읽어보면 생각할 계기가 될 텐데요.”(최정은 자주적 관람 대표) 굳이 사 볼 필요는 없다. 자주적 관람은 잡지를 읽고 싶은 사람이 부담 없이 빌려 갈 수 있도록 대여도 한다. “근데 보더니 대개 그냥 사 가시기는” 했다.

읽는 이들에게 이 묵직한 잡지는 그러므로 (애초의 기획 의도와 달리) 쓰레기 정보의 총집결이 되지 못했다. 16명 훈련된 기자가 달라붙었건만 쓰레기 세계를 소개하는 짤막한 광고에 그쳤다. 낙담하지 않기로 한다. 다만 목표를 수정한다. 읽고, 잠시 생각하고, 둘러보고, 불편함을 발견하고, 고치려 해보고, 이야기하고, 또 같이 시도해보는 시작점에 ‘쓰레기 TMI’가 있길 바란다. (평소 <한겨레21>스럽지 않은) 격한 선동이길 바란다. 불씨이길 바란다.

그렇게 이 잡지 혹은 광고 혹은 선동문, 혹은 불씨가 당신의 손에 쥐어졌다. 사회관계망서비스 인스타그램에는 잡지 사진과 함께 ‘내일 지구가 망하는 게 자명하다 해도 오늘 사과나무 심는 마음으로(soopeul_)’ ‘TMI를 좋아해요. 조금 더 많이 알면 조금 더 관심이 기울여지거든요(opencloset_Suit)’ 같은 글들이 적혔다. 불필요한 소비를 누구보다 줄이고 싶은데도 이 종이 뭉치만큼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했다. 절망 앞에 뭐라도 해보기로 마음먹었다. 알고 나면 답답할 게 분명한 물건의 무게를 직시하고 감당하기로 했다. 그런 마음이 모여 잡지 ‘쓰레기 TMI’는 모두 팔리고 말았다. 재고가 없다. 못 구했다는 낙담을 듣는다.

‘쓰레기 TMI’… 잡지에서 책으로

‘쓰레기 TMI’를 책으로 만들어 다시 낸다. 9월13일에 나온다. 잡지보다 좀더 굵직하고 묵직하다. 글 몇 개를 추가하고 재생용지를 썼더니 그렇게 됐다. 불가피하게 세계에 무게 몇 그램을 더했다. 1만2천원이다. 되도록 쓸모 있는, 꼭 필요한 만큼의 무게이길 바랄 뿐이다.

광주=­글·사진 방준호 기자 whorun@hani.co.kr

한겨레 벗도 겨리와 함께 줍깅!

한겨레 후원회원은 9월6일까지 쓰레기 줍기 이벤트(겨리와 함께 줍깅) 참여를 신청하면 책 ‘쓰레기 TMI’를 받는다. 여기에 더해 생분해 쓰레기봉투, 겨리 손수건, 겨리 스티커 등으로 구성한 ‘겨리 줍깅 키트’도 준다. 키트를 받은 뒤 각자 원하는 시간·장소에서 운동하거나 걸으며 쓰레기를 줍는 ‘쓰레기 줍깅’을 실천하면 된다. 배송받은 쓰레기봉투에 쓰레기를 주워 담는 모습을 찍어 SNS에 올리고 ‘한겨레 서포터즈 벗’ 페이스북·인스타그램 계정으로 메시지(DM)를 보내면 커피 쿠폰도 받을 수 있다.(DM을 보낼 때는 휴대전화 번호를 꼭 적어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면 된다.

https://m.hani.co.kr/arti/society/media/1008750.html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