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가 떠다닌다. 바다 위에 흘러다닌다. 대한민국 영해 곳곳을 떠다니고 흘러다니다 연안과 섬으로 밀려든다. 2021년 7월 남해안, 그 생생한 현장을 찾았다.
한려해상국립공원으로 유명한 경남 거제시 일운면 남부면 등은 해안 전체가 공원구역이라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지만 해양쓰레기뿐만 아니라 국내 폐기물도 널려 있다. 특히 심각한 곳은 갈곶리 해안이다. 해안절벽 굽이 안에 폐기물이 그득하다. 15년 넘은 부유성 해양쓰레기도 있었다. 수려한 해양경관으로 해안선 주변에는 관광 명소와 식당, 카페, 펜션과 숙박시설이 즐비하다. 그러나 해안지역 구석구석을 살펴보면 오랫동안 버려진 해양쓰레기가 넘쳐난다. 어구 폐기물부터 생활쓰레기까지 다양하다. 심지어 기름통도 보였다. 뭐니 뭐니 해도 플라스틱이 으뜸이다. 이외에 비닐류, 스티로폼, 목재류 등 여럿이다. 공통점은 물에 뜬다는 것이다. 정부의 손길이 미치지 못한 것인지 파악조차 하지 않는 것인지 알 수 없다.
남해안에서 가장 청정한 바다로 알려진 거제시와 통영시 일대의 해안과 섬들을 살펴보면 부유성 해양쓰레기가 어떻게 수거되고 정화되는지 실상을 알 수 있다. 한려해상국립공원의 관광 명소인 매물도에는 해양쓰레기가 밀려드는 대표적인 몽돌 해변이 있다. 2021년 6월 초순 거제시가 중심이 돼 해양쓰레기를 수거했다. 그러나 3주가 지나지 않아 다시 해양쓰레기가 밀려들었다. 일상적인 수거와 정화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낙동강과 바다가 만나는 부산 사하구 일대의 낙동강 습지에도 해양쓰레기가 많다. 부산 다대포해수욕장 바로 옆에 펼쳐진 도요등과 백합등 등 섬에도 해양쓰레기가 쌓여 있다. 특히 백합등은 모래와 초지가 어우러진 생태계의 보고임에도 섬의 서쪽 끝 양쪽 길게 뻗어 내린 습지 곳곳에 해양쓰레기가 즐비하다. 이곳은 국내 최대 철새도래지 중 하나라 생태적 가치가 뛰어나다. 문화재보호구역,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전지역 등 보호구역 3관왕인 곳이다. 그렇지만 해양쓰레기는 자유롭게 드나든다.
계곡과 하천에서 바다로 흘러들어온 해양쓰레기는 플라스틱 종류가 제일 많았다. 이것들은 잘게 부서져 해변의 모래와 섞여 바다를 오염시킨다. 해양생태계는 물론이고 수산물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미세플라스틱이 몸속에 쌓인 어류를 우리가 먹는다. 플라스틱이 눈에 보이지 않을 뿐이다.
해양쓰레기는 육지에서 떠내려온 것이 약 67%를 차지한다. 집중호우나 홍수 때 계곡과 하천에서 바다로 떠밀려오거나 해변에서 버려진 것들이다. 바다에서 어업활동 과정에 버려지거나 방치되는 어구(어업도구), 선박 생활쓰레기 등 해상에서 유입된 것이 33% 정도다. 2017년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의 발표 자료를 보면, 연간 해양쓰레기는 17만6807t가량으로 추정된다.
67%는 육지에서, 33%만 바다에서 나와해양쓰레기는 우리의 현주소이자 환경의 사각지대다. 해양수산부, 지방자치단체 등 관련 기관은 실태를 파악하지 못하거나 지속·일상적인 수거와 정화를 하지 않는다. 해양쓰레기의 특성에 걸맞은 전담 조직과 장비가 없어서다. 해양수산부 해양보전과 최성용 과장은 “우리나라는 해안선의 길이가 약 1만5천㎞에 달한다. 긴 해안선에 해양쓰레기가 떠다니기에 제때 수거하기 힘든 면이 있다. 해양쓰레기에 대해 해양수산부 차원에서 여러 노력을 하고 해양권역별로 지방자치단체, 관련 기관 등과 협력 체계를 구축해 대응하고 있다. 해마다 수거 인력도 증원한다”고 밝혔다.
도시의 생활쓰레기는 기초지자체별로 전담 조직과 용도에 맞는 장비가 투입돼 날마다 처리하지만, 해양쓰레기는 행사처럼 월별이나 분기별로 수거한다. 더구나 바다를 떠다니는 해양쓰레기의 이동 경로와 집중되는 해안 지점에 대한 정보와 실태도 제대로 파악 못하고 있다. 군대도 해군이 있는 것처럼 해양쓰레기도 전담 상설 조직이 항시 수거와 정화를 맡아야 한다. 전문 인력과 장비를 통한 정화 작업이 필수적이다. 해양쓰레기는 도시의 환경미화원보다 더 전문적 작업이 요구된다. 하지만 현재 해양쓰레기 수거와 정화에 종사하는 인력은 기간제 노동자가 주를 이룬다. 장비는 바다로 접근 가능한 선박이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 이제부터라도 남해안·서해안·동해안 등 해안 권역별 전담 조직을 두고 일상적 수거와 정화, 모니터링, 연구 등을 수행해야 한다.
글·사진 서재철 녹색연합 생태조사팀 전문위원
한겨레 인기기사
한덕수 권한대행 탄핵정국을 ‘농단’하다
[단독] “국정원, 계엄 한달 전 백령도서 ‘북 오물 풍선’ 수차례 격추”
얼큰하게 취한 용산 결의…‘나라를 절단 내자’ [그림판]
여고생 성탄절 밤 흉기에 찔려 사망…10대 ‘무차별 범행’
[단독] 권성동 “지역구서 고개 숙이지 마…얼굴 두껍게 다니자”
끝이 아니다, ‘한’이 남았다 [그림판]
‘아이유는 간첩’ 극우 유튜버들 12·3 이후 가짜뉴스·음모론 더 기승
받는 사람 : 대통령님♥…성탄카드 500장의 대반전
육사 등 없애고 국방부 산하 사관학교로 단일화해야 [왜냐면]
‘김예지’들이 온다 [똑똑! 한국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