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 소속 국가들이 2050년까지 유럽을 탄소중립의 땅으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두 손가락 거는 약속에 그친 게 아니라 ‘유럽기후법’(이하 기후법)으로 못박았다. 유럽연합은 이제 본격적으로 산업, 운송, 주택 등 12개 분야에서 세부 실행 계획을 마련한다. 독립적인 자문위원회를 만들어 각 회원국에 기후법 준수를 위한 권고도 제시한다. 회원국들의 첫 관문은 2030년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메탄 등 포함)를 1990년 대비 55% 줄이는 것. 본래 40%까지 줄이는 것이 목표였으나 이번 법으로 감축 목표가 상향됐다. 법적 구속력이 생긴 만큼 회원국들의 발 빠른 움직임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 정부도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했다.
탄소중립은 다른 말로 넷제로(Net-Zero)다. 탄소의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는 것이다. 석유, 석탄, 가스를 사용할 때마다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경제활동을 하면 필연적으로 따라온다는 것. 이산화탄소를 원천봉쇄하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래서 이산화탄소를 최대한 줄이거나 제거·흡수해 배출량을 상쇄하는 방식을 모색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분리배출, 나무심기 같은 시민 실천부터 기업의 탄소저감 설비·시설·제품(예: 전기차 등), 그리고 국가 간 탄소배출권 거래까지 다양한 방법이 있다.
2020년 우리나라는 54일간의 긴 장마로 쌀 생산량이 52년 만에 가장 적은 양을 기록했다. 비슷한 시기 방글라데시, 네팔, 인도 동북부 등지는 사상 최악의 홍수를 겪어 약 400만 명이 피해를 봤다. 이 정도 대규모 피해는 사실상 집계의 의미가 없다. 대책을 수립하기엔 피해 범위가 넓고 다층적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여름에 내린 비는 가을 농부의 눈물이 됐다. 남아시아 지역에 내린 비는 그야말로 전쟁터를 만들었다. 시간 역시 비처럼 흐르는 것인지라 끊어내고 싶다고 뚝 끊고 다시 시작할 수 없다. 지구에도 끝이 없다. 지구는 둥글어 모서리가 없다. 한쪽으로 위기를 몰아넣고 싶어도 그럴 수 없다. 2050년까지 30년도 남지 않았다.
임경지 학생, 연구활동가
관심 분야 주거, 도시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우원식-최상목 5분 독대…헌법재판관 임명 ‘접점’ 찾았을까
국힘서도 윤석열 체포영장에 “국격 추락 우려…자진출석해야”
[단독] 노상원 “노태악은 내가 확인…야구방망이 갖다 놔라”
조국 ‘옥중 헌법소원’ 제기…최상목 ‘재판관 임명 지연’ 위헌 묻는다
“활주로 끝에 콘크리트 벽이 왜 있나…범죄 수준의 시설물”
랜딩기어 미작동·활주로 단축·콘크리트 벽 ‘3중 치명타’
‘내전으로 번진 내란’이 묻는다, 당신들은 어느 쪽 한국인이냐고
정치학자 542명 “최상목 대행, 헌법재판관 즉각 임명하라”
내년부터 예금보호 1억까지…의원·약국서도 실손보험 청구
군용차 막아선 김동현씨 “누구든 도와줄 거라 확신했어요”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