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에 들어갈 수는 없습니다. 눈발 날리는 거리에서 체온을 지키려면 별수 없습니다. 마냥 걷기로 합니다. 서울 용산구 이태원 119안전센터에서 출발해 언덕을 오르면 게이힐, 한 블록 더 오르면 이슬람교 서울 중앙성원, 오르락내리락 우사단길을 돌다가 세계음식문화거리 쪽으로 내려옵니다. 거리는 어두침침하고 몇몇 가게만 불을 밝혔습니다. 외국인 두어 명이 종종걸음을 칩니다. 불 켠 가게와 사람이 등대 같고 난로 같아 조금은 따뜻하게 느껴집니다. 한기가 꼭 날씨 탓만은 아니었나봅니다.
한때 휘황했던, 지금은 황량한 이태원 거리에서 상인들을 만났습니다. 동네 얘기를 해달라는 말에, ‘자유’라는 단어만은 빼놓지 않았습니다. 내가 누구이든 상관없이 존재할 수 있는 자유, 그런 채 부유하다가 우연히 마음 맞는 사람을 찾아낼 수 있는 자유, 그들과 같이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어낼 수 있는 자유. 이를테면 느슨한 채 있다가, 어느 순간 함께 뜨거워질 수도 있는 가능성 같은 걸 말했습니다. 그런 게 차가운 익명의 도시에서 사는 재미 같기도 합니다. 내가 차린 가게가 이 도시에서 그런 공간일 수 있다는 게 상인들은 참 좋았답니다. “전혀 모르던 친구들이 우리 가게에서 만나서 지금까지 인연을 이어가고 왁자지껄 가게로 몰려오는 모습을 볼 때가 제일 뿌듯해요.”(DJ코난) 이 모든 자유가 어쩔 수 없이 멈춘 시간, 오뚝이처럼 되돌아갈 것이라는 의지와 영영 돌아가지 못할 것 같다는 불안이 오락가락하는 건 어쩔 수 없습니다.
불현듯 닥친 감염병 앞에 어떤 자영업자는 폐업을 생각했습니다. 돌연 희생자의 자리에 서서 묻습니다. 왜 재난의 고통은 한쪽에만 쏠리는지, 방역을 위해 희생한 이들을 위해 방역 덕분에 괜찮았던 이들은 도움을 줄 수 없을지. 낯익은 질문입니다. 재난 앞에 고통은 불가피한데, 늘 고르지 않았습니다. 더 극심한 희생을 겪은 이들은 매번 ‘이 고통을 나눠 질 방법이 없느냐’고 물었습니다. 제대로 답한 일은 드뭅니다. 최소한 지금 당장은 그들만의 이야기니까. 상인들은 영업정지에 대한 보상과 지원을 바랐습니다. 거기에 짐짓, 우리나라는 자영업자가 많고, 이 정도면 할 만큼 했으며, 재정지출에는 한계가 있고… 냉정한 대답을 속으로 생각했습니다. 지금은, 그들의 일이니까.
다만 그런 1년을 모두 함께 목격했습니다. 상상합니다. 또 언젠가 분명히 닥쳐올 재난 앞에 ‘전체의 안전을 위한 나의 희생’을 요구한다면? 아찔합니다. 어떻게든 희생자 자리에 서지 않도록 발버둥칠 것 같습니다. 느슨했던 우리가 서로의 존재를 느끼고 함께 뜨거워지는 경험을 해야 했던 1년, 그러지 못했던 1년을 보냈다는 게, 이쯤 되니 내 일 같기도 합니다.
아직 몸에 열이 솟지 않았으므로 계속 걷습니다. 한때는 사람과 그들 사이 온기를 품었을 가게들 사이에서, 재난 앞에 한 사람, 한 가게, 한 거리를 지키는 일의 의미도 좀더 생각해보기로 합니다.
방준호 기자 whorun@hani.co.kr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김민전에 “잠자는 백골공주” 비판 확산…본회의장서 또 쿨쿨
“‘내란 세력’ 선동 맞서 민주주의 지키자”…20만 시민 다시 광장에
‘내란 옹호’ 영 김 미 하원의원에 “전광훈 목사와 관계 밝혀라”
청소년들도 국힘 해체 시위 “백골단 사태에 나치 친위대 떠올라”
이진하 경호처 본부장 경찰 출석…‘강경파’ 김성훈 차장은 세번째 불응
경호처, ‘김건희 라인’ 지휘부로 체포 저지 나설 듯…“사병이냐” 내부 불만
연봉 지키려는 류희림, 직원과 대치…경찰 불러 4시간만에 ‘탈출’
천공 “국민저항권으로 국회 해산”…누리꾼들 “저 인간 잡자”
윤석열 지지자들 “좌파에 다 넘어가” “반국가세력 역내란”
‘적반하장’ 권성동 “한남동서 유혈 충돌하면 민주당 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