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티이미지뱅크
“저는 대단히 훌륭한 지도자가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드는 꿈은 꾸지 않습니다. 그런 사람이 어디 있나요.”
제20대 대통령 선거를 앞둔 2021년 가을, 각 정당에서 대통령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이 벌어질 무렵이었습니다. 한 캠프에 몸담은 전 공직자에게 ‘왜 그 캠프에 들어갔느냐’고 사석에서 물었는데 뜻밖의 대답이 돌아왔습니다. ‘나라에 해가 덜 가게 할 지도자, 시스템으로 돌아가게 할 지도자가 돼야 한다는 생각이지 후보에 대한 특별한 기대는 없다’는 취지의 답변이었습니다. 대개 자신이 속한 캠프 후보를 변호·미화하는 얘기를 많이 듣던 때라, 이 회의적인 태도는 당시 제 뇌리에 남았습니다. 노년의 공직자가 여러 정부를 오래 관찰한 끝에 내린 결론인가도 싶었습니다.
그 태도가 바람직한지 아닌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이런 자세가 우리를 ‘정치혐오’에 쉽게 빠지지 않도록 좀 도와줄 수 있지 않을까 싶어 이야기를 꺼내봅니다.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크다고들 하죠. 제1482호 표지이야기 ‘무당층의 마음을 읽다’ 취재를 위해 만난 무당층 유권자는, 정치에 대한 ‘기대’가 커서 ‘실망’도 큰 사람들이었습니다. 이들은 양당이 어떻게 유권자를 실망시키는지 토로했고, 소모적인 극한 대립에 지쳐 정치혐오를 호소하기도 했습니다. 어떤 유권자는 정치혐오를 느끼다 못해 “내년 총선에서 절대 투표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절대’라고 말입니다.
광고
저도 비슷한 생각을 할 때가 많습니다. 그럴 때면 저는 스페인 철학자 페르난도 사바테르가 저서 <정치 최대한 쉽게 설명해드립니다>에서 한 꾸짖음을 되새깁니다. 그는 “정치는 더러운 장사이고, 보통 사람들은 이런 상황을 바꿀 수 없다는 생각은 심각한 문제일 뿐만 아니라 그리 똑똑하지 못한 짓”이라고 말합니다. 투표 참여로 우리가 얻을 이득은 분명 불분명하지만, 그렇다고 우리가 정치를 혐오하고 외면한다면 “내가 전혀 알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내 삶이 예속”되는 상황을 낳을 뿐이니까요. 그는 정치참여와 관련해 이런 말도 했습니다. “어떤 것이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지, 그리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숙고해야 하고, 과거와 단절하거나 새로운 생각을 추구해야 하고, 당면한 일과 이것을 가장 잘 실천할 사람을 선택해야 하고… 모든 개인이 이런 문제로 끊임없이 노고를 아끼지 않아야 하다니 이 얼마나 힘든 일이냐!” 정치참여란 애초에 행복과 거리가 먼, 아주 힘든 일인지 모릅니다.
새 국회의원을 뽑는 2024년 총선이 6개월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어쩌면 정치가 마음에 안 드는 다수의 무당층 유권자의 정치적 이상은 너무 완벽한 게 아닐까요. 민주주의가 보장해주는 유일한 것은 ‘더 많은 갈등’과 ‘더 적은 평온’뿐이랍니다. 그러나 그것이야말로 인간이 만들어낸 희대의 걸작이라고 합니다. 저도 이젠 이상을 좀 내려놓고, 6개월간 다양하게 보고 들으며 ‘끊임없이 노고를 아끼지 않으려’ 합니다. 독자님도 함께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손고운 기자 songon11@hani.co.kr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계엄·포고령·국회장악…하나라도 중대 위헌이면 윤석열 파면
[속보] 혁신당 정철원, 담양군수 재선거 민주당 꺾고 당선
“윤석열, 국민 무서운줄 몰라” 시민들, 만장일치 파면 촉구
아이유, 극우 ‘좌파 아이유’ 조롱에 “감당해야 할 부분”
‘MBC 적대’ 이진숙, 지상파 재허가 심사 강행
초등학교서 마시멜로 태우며 화산 실험…14명 병원행
승복의 ‘ㅅ’도 언급 않는 윤석열, ‘계산된 침묵’ 의심
출판인 1086명도 파면 촉구…“8대 0 전원일치 인용하라”
“저희 어무니 가게, 도와주세요” 1억 클릭…거기가 어딥니까
이복현 “사의 표명했지만 부총리가 경거망동 안 된다며 만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