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베트남 판씨빵산에서 세상 내려다보며 살지요

중국과 달리 소수민족 어울려 사는 베트남
베트남 최북단에 사는 소수민족을 만나다
등록 2023-03-03 11:39 수정 2023-09-19 02:08
하띤성 메오박의 거친 산길에서 만난 아이. 검은 눈동자가 한없이 맑다.

하띤성 메오박의 거친 산길에서 만난 아이. 검은 눈동자가 한없이 맑다.

1980년대 리영희 선생의 <전환시대의 논리>를 읽고 베트남전쟁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가졌다. 그야말로 ‘신선한 충격’이었다. 언젠가 베트남을 방문하고 싶었다. 그 꿈을 60대 중반에야 이뤘다. 베트남에는 50여 소수민족이 공존한다. 그중에서도 중국과 국경을 맞대고 살아가는 몽족, 꺼라오족 등 베트남 최북단 소수민족들의 삶을 살폈다.

3천m가 넘는 판씨빵산은 ‘인도차이나의 지붕’이라고 부른다. 서북부 지역 소수민족들은 판씨빵산 아래 여러 지역에서 ‘생존을 위한 투쟁’의 삶을 살았다. 중국과 라오스의 박해를 피해 베트남으로 이주한 사람들은 석회암으로 이뤄진 카르스트 지형의 높고 척박한 산 위의 땅을 개간했다. 그들은 ‘산의 사람’ ‘땅의 사람’ ‘자연의 사람’으로 자기 부족만의 독특한 역사와 문화를 유지하고 계승하며 살아간다. 평지에는 이미 정착한 사람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베트남 해방전쟁 과정에서 호찌민 주석은 소수민족들의 삶을 존중했다. 그들의 문화와 교육도 인정했다. 물론 제국주의 프랑스와 미국 편에 서서 베트민(호찌민이 결성한 베트남 독립운동단체) 군과 적대적 관계에 있던 소수민족도 있었다. 그러나 하장성 동반 지역을 다스리던 묘족의 왕은 프랑스의 회유에도 호찌민과 손잡고 해방투쟁에 함께했고, 대부분의 소수민족도 호찌민과 함께 해방투쟁을 전개했다. 해방투쟁 과정에서 소수민족 여성들의 강인함도 힘이 됐다.

그 결과 베트남은 중국과 달리 소수민족을 포용·존중하는 ‘열린 정책’을 펼 수 있었다. 지금의 베트남은 ‘킨’이라고도 부르는 ‘비엣’족과 함께 소수민족들이 관용, 조화, 협력 그리고 다양성으로 이뤄진 나라가 됐다. 그 중심에는 ‘호 아저씨’라고 부르는 위대한 혁명가 호찌민 주석이 있었다.

하띤성(베트남)=사진·글 장영식 사진가

중국과 국경을 맞댄 베트남 라오까이성의 고산지대 사빠 마을은 한국 사람도 많이 찾는 관광지가 됐다. 아기를 등에 업은 블랙몽족 여성이 산길을 걷고 있다. 블랙몽족 사람들은 수공예품을 팔거나 관광객을 안내해 사빠 지역을 걷는 트레킹 등으로 생활하고 있다.

중국과 국경을 맞댄 베트남 라오까이성의 고산지대 사빠 마을은 한국 사람도 많이 찾는 관광지가 됐다. 아기를 등에 업은 블랙몽족 여성이 산길을 걷고 있다. 블랙몽족 사람들은 수공예품을 팔거나 관광객을 안내해 사빠 지역을 걷는 트레킹 등으로 생활하고 있다.

하띤성 지역 소수민족 사람들이 척박한 산을 개간해 옥수수와 무 등 채소를 심고 있다. 마을 사람들이 품앗이하며 함께 살아간다.

하띤성 지역 소수민족 사람들이 척박한 산을 개간해 옥수수와 무 등 채소를 심고 있다. 마을 사람들이 품앗이하며 함께 살아간다.

하띤성 꺼라오족의 한 부부가 어깨동무하며 웃고 있다. 아내가 “이 웬수야~”라고 말하는 듯하다.

하띤성 꺼라오족의 한 부부가 어깨동무하며 웃고 있다. 아내가 “이 웬수야~”라고 말하는 듯하다.

메오박의 장엄한 모습. 아래 강을 ‘그린 리버'라 부른다. 이 강 하류의 수력발전소가 하장성에 전기를 공급한다. 메오박 소수민족들은 이 강에 의지해 절벽 같은 밭을 개간하며 살아간다.

메오박의 장엄한 모습. 아래 강을 ‘그린 리버'라 부른다. 이 강 하류의 수력발전소가 하장성에 전기를 공급한다. 메오박 소수민족들은 이 강에 의지해 절벽 같은 밭을 개간하며 살아간다.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