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필, 최헌, 윤수일. 2003년 언론에 회자된 왕년의 톱가수 세명이다. 하지만 각 인물이 이름을 올린 방식은 사뭇 달랐다. 조용필은 수만명을 앞에 두고 음악인생 35주년을 기념하는 성대한 공연을 하고 신보도 발표하면서 건재를 과시했다. 최헌은 최근 오랜만에 신보(新譜)를 발표하고 연예 프로그램에도 모습을 비추고 있다. 윤수일의 소식은 심난했는데, 지난해 연말 다단계 불법판매 혐의로 구속되었다는 뉴스에 이어 올해 초 보석으로 석방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렇듯 2003년 현재 중·장년에 접어든 세 가수의 삶은 다르지만, ‘4반세기 전’ 세명의 지위는 막상막하·용호상박이었다. 세명은 ‘1977년의 신데렐라’들이었다. 조용필이 부른 , 최헌이 부른 , 윤수일이 부른 세곡의 제목만 언급해도 당시 이들의 위세를 실감할 수 있다(단, 음반이 처음 발표된 시점은 상이하다).
조용필, 최헌, 윤수일 그리고 안치행
이 곡들은 1975년 12월 ‘대마초 파동’의 한파가 몰아친 뒤 김 빠진 맥주 같던 대중음악계에 ‘흥겨움’을 다시 가져온 곡들이다. 이른바 ‘트로트 고고’라고 불리던 음악에 저항감을 느낀 사람이라도, 막상 저 음악을 들으면 자기도 모르게 어깨가 들썩이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서론이 길었는데, 지금 언급한 가수 세명과 노래 세곡 모두 오늘의 주인공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그는 안치행(1942~)이라는 인물이다. 안치행은 과 를 직접 작곡했고, 는 편곡을 맡아 ‘1977년의 대박’에 모두 관여한 셈이 되었다. 간단히 말해 세곡이 수록된 음반은 모두 ‘안치행 편곡집’이었다. 작곡가로서 그의 ‘안타’ 행진은 이게 전부가 아니다. 최헌의 , 윤수일의 , 서유석의 , 김 트리오의 …. 1980년대 이후에도 그의 히트곡은 계속되었다. 주현미의 , 윤민호의 , 박남정의 , 나훈아의 , 희자매(인순이)의 , 문희옥의 등등.
안치행은 이 음반들에 음악적으로뿐만 아니라 사업적으로도 관여했다. 그가 설립한 안타프로덕션을 통해 그는 1970년대 말~1980년대 초 한국의 음반산업계를 주름잡은 비즈니스맨이 되었다. 그의 음반 제작 사업은 1998년경 사운드코리아로 이름을 바꾼 뒤 현재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앞서 열거한 곡들의 리스트에서 작곡가 안치행의 스타일을 파악하기는 어렵지 않다. ‘뽕짝’이나 ‘트로트’라는 말에는 비하의 뜻이 담겼으므로 그 단어를 피한다면, ‘성인 취향의 대중가요’라고 할 만한 스타일이다. 물론 편곡이나 연주에는 록음악, 그때 말로 그룹사운드의 흔적이 남아 있지만, 이 곡들이 성인층을 대상으로 ‘히트’를 위해 만들어진 곡이라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
감각적 기타 사운드로 독창적 음악 선보여
하지만 그의 이력을 훑어보면 안치행이 ‘유명 그룹사운드의 기타 연주자’였다는 사실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그가 이끌었던 영사운드는 1972∼75년에 명동과 소공동의 ‘생음악 살롱’인 포시즌스와 오비스 캐빈을 중심으로 연주하면서 소리소문 없이 젊은층의 사랑을 받은 그룹이었다. 영사운드는 ‘사이키(델릭) 사운드’의 요란한 굉음이 한풀 꺾인 직후 차분하면서도 건전한 ‘젊은 소리’를 들려주었다.
▷ 영사운드 (오아시스,OL-1200,1972). 영사운드 <vol.2:>(킹/유니버어살, KLS-114,1975). 최헌 (안타/힛트,LA-001,1975/1976). 조용필/영사운드 (킹/서라벌,SLK-1009,1976). 영사운드 (킹,KR-0117,1984).</vol.2:>
더 거슬러 올라가면 영사운드의 전신이 1967∼71년에 실버코인스(Silver Coins)라는 이름으로 미8군 무대에서 ‘패키지 쇼’를 하던 존재라는 것도 발견할 수 있다. 당시 미8군 쇼의 기획을 담당하던 회사 중 하나인 화양(和陽)의 연습실에서 안치행의 연주를 지켜본 사람은 안치행을 “웨스 몽고메리(Wes Montgomery) 스타일의 재즈 기타리스트”라고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다. 몇년 더 거슬러 올라가면 당시 음악을 제대로 하려는 젊은이들이 모여들던 ‘이인성 음악학원’에서 조교를 하던 안치행의 모습을 본 사람도 있을지 모른다. 안치행과 최헌이 운명적으로 만난 것도 이곳이었다(이인성은 당대 최고의 ‘기타 솔리스트’였고, 1980년대에는 전자음악가로 변신하였다).
영사운드는 독특한 존재였다. 당시 그룹사운드 대부분이 팝송을 원곡 그대로 연주하거나 번안곡으로 만족하던 무렵, 창작곡 그것도 자작곡을 많이 연주했기 때문이다. 안치행이 만들고 영사운드가 연주한 과 는 ‘그룹사운드 히트곡’의 표본 같은 곡이었다. 이 곡들은 작곡도 작곡이려니와 복선(더블 스트링) 주법을 적절히 이용한 안치행의 감각적인 기타 사운드와 젊은 남자들의 하모니가 어우러진 신선하고 독창적 음악이었다. 안치행이 그룹사운드계의 인물로서는 이례적으로 가사도(전라남도 진도 옆의 조그만 섬) 출신이라는 사실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그의 음악적 ‘전향’을 어떻게 볼 것인가
의 경우 동양방송의 라는 프로그램에서 입상했다는 흥미로운 이력도 따라 다닌다. 응모를 통해 당선된 작사(작사가는 김주명)에 작곡가 세명이 경합해서 1위를 결정하는 식이었는데, 당시 새로운 가요를 보급하기 위한 방송국의 행태가 어떤 것이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아무튼 이게 연이 되어 영사운드는 동양방송의 프로그램 의 전속 밴드를 맡았다. 1973~74년에 방영된 는 ‘쇼 연출의 귀재’라는 평을 들었던 조용호 PD가 제작·연출을 맡고 파릇파릇한 시절의 서유석과 양희은이 MC를 보던 프로그램으로, 당시 도회적 감성의 젊은이들에게 ‘컬트’의 대상이었다.
안치행이 연주인에서 제작자로 인생의 궤도를 수정한 것은 1975년께 영사운드의 두 번째 음반을 발표한 다음이다(영사운드는 그 뒤 보컬 유영춘을 주축으로 활동을 계속한다). ‘히식스’ ‘신중현과 더멘’ ‘검은나비’를 거치면서 이합집산하던 최헌, 김기표, 이태현과 더불어 시작한 사업이 안타프로덕션이다. 그룹사운드 출신의 음악인이 전문 프로덕션을 차린 것은 아마도 이게 처음일 것이다. 그리고 안타는 이름대로 ‘히트’를 계속하면서 성공을 거두었다. 그의 작곡 스타일이 변한 것도 이 무렵부터다.
신현준 | 대중음악평론가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윤석열 구속되면 수용복 입고 ‘머그샷’
“역시 오실 줄 알았거든”…윤석열 출석 소식에 지지자들 격앙
윤석열, 1시54분 서부지법 도착…구속영장심사 출석
‘윤석열 수호’ JK김동욱, 고발되자 “표현의 자유 억압”
‘윤석열 영장집행 방해’ 이광우 체포…“정당한 임무일 뿐”
윤석열 쪽 “헌재는 능력 없다” 무시 일관…법조계 “불리한 전략”
[단독] HID 요원, 계엄 때 ‘노상원 경호·선관위원 위협’ 임무
경호처 ‘윤석열, 하늘이 보낸 대통령’ 원곡자 “정말 당혹”
공수처 검사들, 서부지법 도착…지지자 불어나며 충돌 조짐도
‘아메리칸 파이’는 윤석열의 미래를 예언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