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여름 밭일을 하다보면 뙤약볕이 화살처럼 날아와 살 속에 내리꽂힌다. 내 몸은 화살촉 수만큼의 땀방울을 쭉쭉 배출한다. 그 힘을 버티고 이기려다간 큰일 난다. 일사병으로 쓰러진다. 여차하면 생명이 위험하다. 그럴 땐 30~40분마다 그늘에 들어가 쉬며 물을 마셔줘야 한다. 반대로 밭에서 일하다 갑자기 소나기라도 내리면 잠깐 비를 그을 곳이 필요하다. 차에 들어가 있거나 우산을 쓰고 밭 한 귀퉁이에 쪼그려 앉아 있다보면 모양새 빠진다는 느낌에 좌절한다.
내게도 농막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 밭은 내 것이 아니다. 내가 이 밭에 농막을 설치하면 ‘불법 적치물’이 된다. 남의 땅을 돈 주고 빌려 짓는 소작농의 운명이다. 대한민국헌법은 “국가는 농지에 관하여 경자유전의 원칙이 달성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하며, 농지의 소작제도는 금지된다”(제121조 1항)고 하는데, 나는 나라 땅 소작농이다.
농막은 안 돼도 평상은 되지 않을까? 4년여 전, 앞서 내게 땅을 빌려준 한국자산관리공사에 전화해 물었다. 건축법상 지붕과 벽이 없는, 그래서 철거가 손쉬운 평상은 괜찮다는 대답을 들었다. 바로 제작에 들어갔다. 몇십만원 돈 주고 살 수도 있지만 그건 내 성미에 맞지 않는다. 자신에게 필요한 모든 걸 돈 주고 사기만 하는 이 자본주의 질서가 난 싫다.
인터넷에서 내게 맞는 평상의 설계도를 검색했다. 가로와 세로가 2.4m인 정사각형 모양으로 만들기로 마음먹었다. 읍내 목재상과 철물점에서 방부목 등 목재와 그 목재를 자를 목공톱, 조립에 필요한 나사못을 돈 주고 샀다. 두 나절 동안 두 아들을 보조 일꾼으로 동원해 자르고 조립했다. 만날 잔소리하는 것보다 무언가를 함께 만드는 것이 아이들과 결속력을 다지는 데 훨씬 낫다는 걸 배웠다. 나름의 성취감은 덤이다. 이십 몇만원 주고 살 수 없는 경험이다.
그렇게 만든 평상은 지붕을 얹지 못해 계속 아쉬웠다. 민물낚시 다닐 때 쓰던 파라솔을 펴 비와 햇볕을 막았는데, 아무래도 제대로 된 지붕엔 미치지 못했다. 결국 지난해 봄에 망가진 텐트의 사각 뼈대에 캠핑용 그늘막인 타프를 얹어 케이블타이로 고정한 형태의 간이 지붕을 만들었다. 아쉬운 대로 비와 햇볕을 80% 이상 막아주며 한 철 쓸 만한 쉼터 구실을 했다.
수십 년 낚시꾼이자 캠퍼로서, 나는 진작 예상했다. 후려치듯 달려드는 태풍과 돌풍을 이겨내지 못하리란 것을…. 이런 형태의 구조는 바람에 취약하다. 들판의 이런 천막은 사실상 큰 연 또는 돛과 같다. 아니나 다를까, 영근 고추를 한창 수확할 즈음 타프는 이미 이리 찢기고 저리 뜯겨 너덜너덜해졌다. 뼈대만 남았다. 그걸 바라보는 내 마음은 어쩔 수 없는 상황에 대한 분노와 자신을 향한 연민으로 울렁였다.
2022년 새해 농사를 궁리하는 내 머릿속은 복잡하다. 올핸 나무를 사다 태풍 따위에 끄떡없는 지붕을 올려야 하나? 아니야, 소작 5년차에 접어든 이 밭을 언제까지 지을지도 알 수 없는데 계속 투자하는 게 맞나? 아니 그럼, 도대체 쇄도하는 햇살 촉은 어떻게 피할 건데?
글·사진 전종휘 <한겨레> 사회에디터 symbio@hani.co.kr
*농사꾼들: 주말농장을 크게 작게 하면서 생기는 일을 들려주는 칼럼입니다. 김송은 송송책방 대표, <한겨레> 김완, 전종휘 기자가 돌아가며 매주 연재.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세계 5번째 긴 ‘해저터널 특수’ 극과 극…보령 ‘북적’, 태안 ‘썰렁’
민주 “국힘 조은희 공천은 ‘윤 장모 무죄’ 성공보수 의혹…명태균 관여”
‘한동훈 가족’이 썼는지 안 밝히고…친한 “한동훈 죽이기” 방어막
포스코 포항제철소, 2주 전 불난 공장 또 불…인명 피해 없어
로제의 고백, ‘훈련된 완벽한 소녀’에서 탈피…“나를 찾으려 한다”
[사설] 의혹만 더 키운 대통령 관저 ‘유령 건물’ 해명
‘득남’ 문가비, 아버지 언급 안했지만…정우성 “아이에 최선 다할 것”
한국 불참한 사도광산 추도식…‘강제동원 삭제’ 굴욕외교가 부른 파행
선거법위반 1심 중형 받은 이재명, 25일 위증교사 혐의 1심에 촉각
정의선, 연구원 질식사 사과…“연구원분과 가족분들께 너무 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