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젠더를 트랜스하라!

반복된 수행 통해 ‘만들어진 젠더’ 주창한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
등록 2020-01-03 11:51 수정 2020-05-03 04:29
한겨레 자료

한겨레 자료

2019년 9월 엠넷의 서바이벌 프로그램 에서 걸그룹 에이오에이(A.O.A.)는 통이 넓은 바지를 입고 를 불렀다. 무대 위로 보깅(1960년대 미국 뉴욕 할렘가 내 게이 커뮤니티에서 형성된 춤) 댄서를 불러냈다. 그들은 하이힐을 신고 곱게 화장한 남성 댄서였다. 여장을 한 그들은 여성다움을 무대에서 보여줌으로써 젠더의 경계를 무너뜨렸다. 이 공연을 보고 미국의 젠더 이론가인 주디스 버틀러(사진)가 드래그(여장)를 통해 설명하려던 ‘젠더 수행성’(성적 정체성은 반복적인 수행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진다는 개념)이 떠올랐다.

A.O.A.가 부른 는 버틀러적 젠더 전환

주디스 버틀러가 말한 ‘젠더 수행성’을 담은 책이 1990년 발표한 이다. 이 책은 페미니즘의 젠더적 전환을 이루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프로이트, 보부아르, 이리가레이, 크리스테바 등 정신분석학과 페미니즘을 넘나들며 ‘여성’과 젠더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젠더가 구성된다는 버틀러의 명제는 페미니즘과 퀴어 이론, 문화연구,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버틀러 이후 여성 주체를 상상하는 방식이 달라졌다고 할 만큼의 족적을 남겼다.

버틀러는 여성/남성이라는 성별 이원론이 생물학적으로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문화적·역사적으로 구성됐고, 반복된 수행으로 만들어졌다고 지적한다. 즉, 섹스는 ‘실재적인 것’이고 젠더는 문화적으로 각인된 것이라는 이분법적 사고는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상징질서는 반복해서 여성다움과 남성다움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여기게 한다.

한 예로 여자아이가 태어나면 분홍색 옷을 입히고, ‘공주님입니다’라고 말한다. 반면 남자아이가 태어나면 파란색 옷을 입히고 ‘왕자님입니다’라고 선언하는 순간부터 사회규범은 여성다움과 남성다움을 규정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생물학적으로 타고난 것과 사회적, 문화적으로 습득한 것을 구분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설명을 통해 버틀러가 강조하는 건 생물학적 성차를 본질화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섹스와 젠더, 섹슈얼리티는 사람들의 수행으로 만들어지고 언제나 생성되는 과정 중의 구성물이며, 몸과 젠더는 분리돼야 한다는 것이다. “젠더는 존재론의 양식으로 젠더를 구성하는 정치적 매개변수들을 그려내는 계보학적 탐구의 대상이다.”

젠더 정체성은 ‘과정’… 위반·교란으로 재의미화

버틀러의 설명은 ‘여자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여자로 자란다’는 보부아르의 유명한 명제를 떠오르게 한다. 하지만 버틀러는 보부아르의 명제에서 옳은 점은 여성이 과정 중에 있다는 것을 지적한 거라고 설명한다. 정체성은 타고나면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과정 중에 있고, 이러한 주체 개념은 다양한 위반이나 교란을 가능하게 한다. 걸그룹이 슈트를 입고 남성 댄서가 립스틱을 바르는 것은, 역전된 젠더를 TV에서 공연한 것이었다. 이러한 패러디를 버틀러는 젠더의 가장 큰 특징으로 명명한다. 우리 일상은 일종의 퍼포먼스로 구성돼 있다. 여성은 되는 과정 중에 있는 주체로서, 젠더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의미를 지울 수 있게 된다. 이 근본적 전환을 버틀러는 ‘젠더는 수행(performance)’이라고 명명한다. “목적한 정체성을 스스로 구성한다”는 의미에서 “젠더는 언제나 행위이다”.

“주어진 젠더가 되어야 한다는 명령은 필연적인 실패, 즉 다양한 비일관적 배치물들을 만들어낸다. (중략) 좋은 엄마 되기, 이성애적으로 바람직한 대상 되기, 적합한 노동자 되기” 등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 한국전쟁 당시 국가는 훌륭한 어머니가 되기 위해서 전쟁터에 아들을 내보내라고 명령했다. 전쟁에 나간 아들이 위험에 처한다는 것을 알지만, ‘훌륭한 어머니’는 기꺼이 아들을 군인으로 키우는 어머니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모순은 젠더 규범의 장에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버틀러는 페미니즘이나 퀴어 연구의 주요한 성과는 법적·군사적·정신분석학적 규범을 분석하고, 젠더가 어떻게 규제되고 있는지, 그런 규범이 어떻게 고안됐는지, 그리고 어떻게 주체의 삶에 체화됐는지를 밝히는 작업이었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버틀러에게 젠더는 법과 같이 규칙으로 설명될 수 있는 규범이 아니다. 젠더는 남성다움과 여자다움을 규범적인 것으로 만들어 정상과 비정상으로 구분한다. 하지만 이 규범이 사람들이 사회적으로 만들어내고 역사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라면, 주어진 규범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정상적이고’ ‘자연스러운’ 것처럼 보이는 젠더 규범을 해체할 수도 있다. 남성이 여성성을, 여성이 남성성을 수행하는 드래그처럼 말이다. 드래그퀸 혹은 드래그킹의 과장된 여성성과 남성성은 우리가 자연스럽다고 생각했던 것들이, 일종의 연기이자 행위임을 보여준다. 트랜스젠더 역시 남성 혹은 여성으로 이분화된 정체성을 지속해서 변화시키고, 젠더화된 정체성을 의문시하게 만든다. ‘정상성’이 인간의 반복되는 행위로 만들어진 것이라면, 이는 곧 다른 행위를 수행함으로써 ‘정상성’을 무너뜨릴 수도 있다는 말이 된다.

“남녀 이분법으론 여성 억압 해결 못해”

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젠더 규범을 자연적인 것으로 인식하는 걸까. 버틀러는 “나는 성적 관행의 형식이 특정한 젠더를 생산한다고 주장하려는 것이 아니라, 규범적 이성애의 조건하에서 젠더를 통제하는 것이 때로 이성애를 안정되게 만드는 한 방법으로 활용된다고 주장하려는 것뿐이다”라는 말로 이 질문에 답한다. 섹스와 젠더, 여성과 남성의 이분법을 ‘자연스러운 질서’로 삼는 것은, 젠더 규범을 통제함으로써 이성애 질서를 굳건히 하는 것이다. 여성이라는 범주를 단단히 고정된 것으로 상상할수록 젠더 이분법은 강화되고, 그 짝패로서 남성 범주가 강력해진다. 성차에 대한 페미니즘적 접근이 여성성을 이론화하려 할 때 범하는 오류가 바로 이것이다.

그렇다면 남성과 여성의 경계가 확실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버틀러는 이 구분이 이성애 중심주의를 유지하기 위해 요구된다고 설명한다. 젠더 이분법이 없다면, 동성애는 억압될 필요가 없고, 이성애 역시 자연화·정상화될 수 없다. 젠더 이분법은 이성애 중심주의를 위한 “수고로운 구성물”이다. 버틀러는 여성성을 강조하는 페미니즘의 경향 역시 그런 점에서 여성과 남성이라는 이분법은 해체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버틀러의 주장을 두고 ‘여자 없는 페미니즘’이라고 비판한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버틀러는 남성과 여성이라는 이분법이 유지되는 한, 여성 억압이라는 근본적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 이분법을 해체하고, 젠더를 일종의 가면이자 패러디로서 인지할 때에야, 비로소 우리는 성별에서 자유로운 주체와 만날 수 있다는 것이다.

허윤 문학연구자·부경대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