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과 가정의 양립이 힘든 한국 문화에서 다싫어맘이 어떤 나날을 보내고 있을지 예상됩니다. 아이들 챙겨서 학교와 어린이집에 보내고, 회사에선 허덕이며 일하고, 퇴근하면서 장보고 아이들 숙제 챙기고…. 1인 3역, 아니 1인 10역을 해내고 있겠지요. 그렇게 하루하루를 버티고 있는데, 회사에서 그런 일이 있다면 얼마나 많은 스트레스를 받을까요. 다 귀찮고 싫은 마음, 충분히 이해합니다.
몸과 마음이 힘들면 판단력이 흐려집니다. 나만 불행한 것 같고, 나 아닌 다른 사람들은 다 행복해 보이기도 합니다. 특히 일과 가정 사이에서 고군분투하는 워킹맘은 ‘전업맘이 되면 나도 더 행복해질 텐데…’라는 착각에 빠지기도 합니다.
이 세상 어느 누구도 항상 행복하거나 항상 불행하지 않습니다. 전업맘이라고 자유 시간이 많거나 스트레스가 없는 것이 아닙니다. 전업맘은 워킹맘을 보며 ‘나도 회사에 나가 일도 하고 돈도 벌면 행복할 텐데…’라고 생각합니다. 과감하게 사표를 내고 전업맘을 선택한 지인은 “막상 전업맘이 돼보니 하루는 금방 가고, 같이 이야기 나눌 대상은 없고, 돈이 아쉽다”는 푸념을 늘어놓더군요. 전업맘이 되면 또 다른 고통과 스트레스가 생기기 마련이지요.
김진수 기자
누구나 슬럼프를 겪습니다. 자식을 키우다보면 엄마 노릇을 포기하고 싶은 생각이 들 때도 있지요. 그런 시기에는 사표나 이직 등 중요한 결정은 잠시 미루고 한 발짝 물러서는 게 저는 좋다고 생각합니다. 엄마 역할도 잘하려 하기보다, 아이들에게 솔직하게 “엄마가 요즘 힘들어. 너희가 엄마를 좀 이해해주고 도와주면 좋겠어” 말하고요. 대신 남편을 비롯한 가족, 믿을 수 있는 친구에게 힘든 마음을 털어놓고 여러 형태의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슬럼프를 이렇게 받아들이면 어떨까요? ‘그동안 너무 나를 보살피지 못했구나. 내가 나에게 사랑해달라고 신호를 보내고 있구나!’라고요. 저는 평소 스마트폰 메모장에 ‘내가 좋아하는 것’ ‘내가 잘하는 것’ ‘나는 언제 행복한가’를 기록합니다. 아주 사소한 것까지요. 힘든 시기에는 힘들다는 생각을 없애려 애쓰기보다, 차라리 내가 좋아하는 것을 더 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해요. 빛을 비추면 어둠이 자연스럽게 사라지는 것처럼 말이죠.
양선아 삶과행복팀 기자 anmadang@hani.co.kr*여러분, 워킹맘 양 기자와 육아 고민 나누세요. 전자우편(anmadang@hani.co.kr)으로 고민 상담하시면 됩니다. 이 글은 육아 웹진 ‘베이비트리’(http://babytree.hani.co.kr)에도 동시 게재됩니다.전화신청▶ 02-2013-1300 (월납 가능)
인터넷신청▶ http://bit.ly/1HZ0DmD
카톡 선물하기▶ http://bit.ly/1UELpok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속보] 배우 김새론 자택서 숨진 채 발견
“여의도 봉쇄” “수거팀 구성”…‘노상원 수첩’ 실제로 이행됐다
[단독] 명태균 “오세훈 ‘나경원 이기는 조사 필요’”…오세훈 쪽 “일방 주장”
LG생활건강, 풋샴푸 광고 ‘순삭’ 전말…젠더 갈등에 끙끙
눈살 찌푸리게 한 금남로 극우집회, 더 단단해진 ‘광주 정신’
[단독] 수사2단, ‘노상원 부정선거 자료’ 보며 선관위 출동 준비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질식해 죽은 산천어 눈엔 피가 맺혔다
국회의원 면전서 “X신”…김용현·여인형의 안하무인, 내란 징후였다
[단독] ‘나도 윤석열처럼’…김용현도 인권위 긴급구제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