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킹맘은 하루 종일 회사에서 일하고, 집에 들어선 순간 또 다른 일들이 시작됩니다. 집안일과 아이 돌보는 일. 힘든 일을 할 때 가장 필요한 것은 ‘내 몸과 마음이 조금이라도 더 편한 시스템 구축’입니다. 시스템을 잘 갖춰놓으면 불필요한 감정노동이나 육체노동을 덜 하지요. 아이를 보육기관에 맡길 때도 부모가 몸과 마음이 편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두 아이를 키우는 워킹맘인 저는 두 아이를 초등학교 보내기 전까지 같은 어린이집에 보냈습니다. 주변을 둘러보면 7살 때 어린이집에서 유치원으로 옮기는 경우도 있지만, 저는 두 아이를 각각 다른 기관으로 보냈을 때 예상되는 많은 일이 떠올라 애당초 옮길 생각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예를 들어 등·하원 차량 시간이 다르거나, 행사 날짜가 겹치거나 다르면 양육자는 이리 뛰고 저리 뛰어야 합니다. 보육기관마다 각각 고유의 시스템이 있는데, 두 교육기관의 시스템을 익히고 선생님들도 알아가야 하고요. 다행히도 ‘누리과정’ 제도를 통해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은 같은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아이를 키울 때 예측할 수 없는 일이 얼마나 많이 터지던가요? 설사 내가 원한 기관으로 옮기더라도 큰아이가 그곳에서 잘 적응하리란 보장도 없습니다. 영·유아에게 중요한 것은 규칙적이고 안정감 있는 생활인데, 익숙한 환경에서 다른 환경으로 옮기는 것은 아이에게도 부모에게도 큰 모험이죠.
햄릿맘이 육아휴직 뒤 복귀하시면 육아도우미가 이 험난한 일들을 해야 합니다. 내가 해도 힘든 일인데, 육아도우미가 두 보육기관으로 등·하원을 시키면 더 힘들어할지 모릅니다. 육아도우미가 너무 힘들어 그만두고 싶어 할 수도 있고요.
지금 어린이집에서 아이가 적응을 못하거나 선생님들의 교육 방식이 정말 도저히 못 참겠다 싶을 정도이거나, 교육기관에 전혀 신뢰가 가지 않는 경우가 아니라면, 저는 굳이 두 아이를 다른 기관에 보내는 것은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오히려 두 아이를 같은 기관에 보내면 장점이 많습니다. 이미 어린이집의 시스템을 잘 아는 큰아이가 동생이 잘 적응하도록 도와줄 수도 있고, 그 과정에서 큰아이의 자존감이 올라갑니다. 둘째아이는 어린이집 생활에 빨리 적응하고요. 최대한 햄릿맘께서 덜 힘든 방향으로 선택하세요.
양선아 삶과행복팀 기자 anmadang@hani.co.kr*여러분, 워킹맘 양 기자와 육아 고민 나누세요. 전자우편(anmadang@hani.co.kr)으로 고민 상담하시면 됩니다. 이 글은 육아 웹진 ‘베이비트리’(http://babytree.hani.co.kr)에도 동시 게재됩니다.전화신청▶ 02-2013-1300 (월납 가능)
인터넷신청▶ http://bit.ly/1HZ0DmD
카톡 선물하기▶ http://bit.ly/1UELpok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계엄날 아무 일 없었다는 윤석열 “호수 위 달그림자…”
이진우 전 사령관 “계엄날 폰 3개로 지휘, 내가 뭔 말한지 몰라”
김용현 반박한 곽종근 “의원 말고 빼낼 ‘요원’ 없었다”
전한길과 정반대…한국사 스타 강사 강민성 “부끄럽다”
구준엽, 아내 하늘 보내며 마지막 키스…“통곡에 가슴 찢어져”
15억 인조잔디 5분 만에 쑥대밭 만든 드리프트…돈은 준비됐겠지
무속인 비단 아씨 “김용현 생년월일 가져온 노상원” [영상]
[단독] “구속기한 만료돼 불법구금”…윤석열 구속취소 청구
중국, 구글·캘빈클라인 때리고 보복관세+수출통제…미국에 총반격
‘전광훈 교회’ 또다른 전도사 체포…“법원에 빨갱이 잡으러 침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