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을 좋아하는 제 아버지는 지금도 가족 외식을 할 때 꼭 술을 주문합니다. 한창 일할 적엔 일주일에 절반 이상 술 냄새와 함께 귀가했던 것 같습니다. 그런 아버지가 은근히 자부심을 가진 원칙이 있다면 낮술은 절대 마시지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제 부모도 못 알아본다는 게 낮술”이라는 이유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학생 시절 저는 이렇게 대꾸하곤 했습니다. “그럼 뭐 해? 밤에 왕창 마시면서….” 이런 말도 했습니다. “일할 때 술 안 먹는 게 상식 아니야? 왜 당연한 걸 대단한 것처럼 말해?”
옛 기사를 찾아보면 낮술 문화는 제법 보편적이었던 것 같습니다. 10여 년 전인 2013년, 취업포털 잡코리아와 커리어가 각각 직장인의 낮술 경험을 조사한 결과를 다룬 기사 제목은 이렇습니다. “직장인 10명 중 4명 ‘근무시간 낮술 마셔봤다’” “직장인 58%, 일 때문에 ‘낮술’”
하지만 이때를 기점으로 이런 기사를 더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시대가 변해 제 주변 또래들에게 낮술 경험을 물어보면 대부분 고개를 젓습니다. 예외가 있다면 프리랜서나 사람을 많이 만나는 광고·영업직군, 그리고 국회의원, 고위 공무원, 언론사 기자 정도입니다.
2022년 방영한 티브이엔(tvN) 드라마 <작은 아씨들>의 등장인물인 ‘오인경’의 직업은 방송사 기자입니다. 평소 술에 의존하는 그는 정치인의 기자회견에서 의혹을 제기하는데, 그 전에 낮술을 마셨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정직 1개월 처분을 받습니다. 저는 “현실 고증이 하나도 안 돼 있다”며 깔깔거렸습니다. 기자들 대부분은 점심을 먹으면서 술을 한두 잔 마셔본 경험이 있으니까요. 하지만 기자가 아닌 친구는 싸늘한 말투로 “그게 상식적이라고 생각하느냐”고 했습니다. 꽤 충격을 받았습니다. 낮에 한 잔이라도 술을 마시고 일하는 건 사회의 보편적 인식과 거리가 멀다는 것, 그리고 이를 제가 인지하지 못했다는 점 때문에요.
어쩌면 한국 사회가 알코올중독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는 것도, 우리 사회의 주요 의사결정권자들이 술에 대한 민감도가 낮기 때문일 겁니다. 진보와 보수를 가릴 것 없이, 당장 대통령선거 기간만 해도 그렇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2021년 입당 여부를 두고 신경전을 벌이던 이준석 국민의힘 당시 대표와 ‘맥주 회동’을 하며 갈등을 봉합하는 모양새를 보였습니다. 문재인 전 대통령도 대선 후보 시절 “퇴근길 남대문시장에서 국민과 소주 한잔하겠다”고 공언한 적 있습니다. 이는 다른 나라 정치인과 공인은 좀처럼 보여주지 않는 모습이라고 합니다.
다른 사람에게 뭐라고 하기 전에 저부터 잘해야겠습니다. 어느 날 회사 동료들과 낮술을 마신 제게 아버지는 “아비도 안 먹는 낮술을 딸내미가 먹는구나”라고 말씀하셨거든요. 올해는 알코올에 ‘절인’ 뇌를 회복해보겠습니다.
서혜미 기자 ham@hani.co.kr
*21토크ㅡ지난호 <한겨레21> 표지 기사의 뒷이야기를 전합니다.
“안녕하세요, 알코올중독자 김입니다” 어쩌면 당신의 이야기
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4977.html
만취한 사회가 술 마시라고 권했잖아? 그래 안 그래?
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4982.html
“한국은 ‘일하는 알코올중독자’가 많은 나라”
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4981.html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언제까지 들어줄 것인가 [그림판]
일본 미야자키현 규모 6.9 지진…난카이 대지진 관련성 조사
포고령에 없던 “한겨레 단전·단수”…윤석열 ‘사전 지시’였나
법조계 “경호처 지휘부, 윤석열 영장 막다 부상자 나오면 최고 35년”
”윤석열 체포 협조하면 선처”…경호처 설득 나선 공수처·경찰
“꺾는 노래는 내 것” 나훈아, 좌우로 너무 꺾어버린 고별 무대
“윤석열이 칼이라도 들라고…” 경호처 수뇌부, 제보자 색출 혈안
‘외환죄’ 담긴 내란 특검법 법사위 통과…야, 협상문은 열어놔
한덕수 “계엄 말렸다”…헌재 재판부 “그날 행적 제출하라”
지역화폐 인센티브 지급 않는 고양시…“파주·김포서 장 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