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봉화 영풍석포제련소 전경. 김진수 기자
그 마을엔 아픈 사람이 많았다. 백혈병에 걸렸다는 사람, 귀가 잘 안 들린다는 사람, 허리를 다쳤는데 치료를 못 받았다는 사람, 화상 입고 병원에 입원했다는 사람, 이가 삭았다는 사람…. 한두 마디 질문에도 저마다 육체적 고통에 관한 이야기를 쏟아냈다. 이들은 모두 경북 봉화군 영풍석포제련소에서 하청노동자로 일했다. 제련소 기계의 찢어질 듯한 소음과 흩날리는 분진, 지독한 냄새를 그들은 자세히 기억했다.
후회와 자책의 말이 많았다. “ 오래 일할 곳이 아니란 건 알았지만 우리 나이에 어디 갈 데가 없었다.” “괜히 더 일하겠다고 욕심부려 몸이 망가져버렸다.” 원망하는 말도 있었다. “회사에서 마스크라도 제대로 된 걸 줬으면 이가 이렇게까지 되진 않았을 것이다.” “분명히 산업재해가 맞는데 증명이 안 되니 억울해 죽겠다.”
어떤 이는 긴 소송 끝에 산업재해를 인정받았다. 2023년 4월 60대 노동자의 소음성 난청이, 2023년 11월엔 70대 노동자의 백혈병이 근로복지공단 기각 결정을 뒤집고 법원에서 산재로 인정됐다. 어떤 이는 산재를 신청했거나 공단의 기각 결정을 취소해달라는 소송을 시작했다. 어떤 이는 산재를 신청하려다 직무관련성을 긍정하는 의사 소견서를 구하지 못해 포기했다. 모두 한 직장에서 아프고 병들었지만 산재 인정이라는 높은 벽을 넘은 사람은 아주 적었다.
광고
신다은 기자 downy@hani.co.kr
“시나브로 이가 다 빠져버렸어” 영풍석포제련소 퇴직자의 호소
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4744.html
“발암 수증기 마시며 일한 뒤 백혈병 걸렸다”
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4743.html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영상] 윤석열, 헌재 판단도 깡그리 부정하며 93분 ‘궤변 퍼레이드’
[단독] 윤석열, 나랏돈으로 캣타워 500만원에 ‘히노키 욕조’ 2천만원
윤석열 대답 떠먹여준 지귀연…직업 대독하자 윤 ‘고개만 끄덕’
동작 그만, 캣타워 빼가기냐? [그림판]
스포츠윤리센터, 유승민 징계 요청…“탁구협회 후원금 유치 근거 없어”
윤석열, 법정서 “모든 혐의 부인…군정·쿠데타 상상도 안 했다”
윤석열 40분간 “계엄은 평화적 메시지”…판사도 발언 ‘시간조절’ 당부
공수처 인사위원이 한덕수 고소…“검사 7명 임명 미뤄 직무유기”
주 52시간제 폐지하며 4.5일 근무 도입? “국힘, 모순으로 국민 호도”
[영상] 윤석열 “모든 혐의를 부인한다”…79분 내내 책임전가, 모르쇠 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