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밝은 뉴스부터 보면, 충남 부여군의 특별한 외국인 농업 노동자 정책, 경기 북부의 외국인 안보 관광객 급증, 부산 광안리해수욕장의 조개 줍기, 거의 1세기 만에 다시 연결된 서울 창경궁과 종묘 기사가 눈에 띄네요.
물론 이번 한가위에도 묵직한 이슈가 있습니다. 제주의 외국인 여행객 입국 제한, 낙동강 8개 보로 수질이 나빠진 경남의 농업, 대구·경북의 수돗물 고민, 국립대에 처음 설치된 대전 충남대의 ‘평화의 소녀상’ 등입니다.
또 경전선 전남 순천역은 그 위치를 두고, 광주에선 대규모 쇼핑몰을 어떻게 할지, 전북 남원에선 산악열차를 놓을지 고민인가봅니다. 충북 청주에선 도청의 공무원 주차장 축소, 강원도에선 세 번째 ‘특별자치도’의 실효성, 경기도는 혁신학교 축소 방침이 논란입니다.
어떻습니까? 올해 한가위에도 엄청난 뉴스가 각 지역에서 쏟아졌지요? 우동뉴스와 함께 즐거운 명절 보내시기 바랍니다. _편집자주
‘구미시와 13년에 걸친 물 분쟁을 종료하고자 합니다.’ 2022년 8월17일 홍준표 대구시장이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입니다. 대구시는 이날 환경부·국무조정실·한국수자원공사·경북도·구미시 등 5개 기관에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 해지를 통보했습니다. 이 협정은 2022년 4월 대구시와 5개 기관이 모여 대구 취수원을 구미 해평취수장으로 옮기고, 대구시는 구미시에 상생기금 100억원 등을 지원하기로 한 내용인데요. 구미시 쪽이 협정 재검토 뜻을 밝히자, 대구시는 구미시가 협정을 이행할 뜻이 없다고 보고 해지를 통보했습니다. 대구시와 구미시의 물 분쟁을 종료시킨 것입니다.
대구시와 구미시의 취수원 갈등은 1991년 낙동강 페놀 유출 사고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낙동강 상류인 구미국가산업단지에 있는 두산전자에서 페놀이 유출되면서 낙동강 하류인 대구와 부산의 상수도 공급까지 비상이 걸렸습니다. 이어 2009년 구미산단에서 발암물질인 1,4-다이옥세인이 낙동강으로 유출되자 대구 취수원을 구미산단보다 상류인 해평취수장으로 옮기자는 요구가 본격적으로 나왔습니다. 2022년 4월 맺은 협정으로 13년 동안 이어진 대구시와 구미시 사이의 취수원 갈등을 매듭짓는 듯했는데요. 2022년 6월 당선된 김장호 구미시장이 협정 체결 당시 구미시민과 구미시의회의 동의를 거치지 않았다며 협정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나섰습니다. 김 시장은 “대구시민과 구미시민 모두 맑은 물을 먹어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며 해평취수장보다 상류로 취수장을 이전하자고 제안했습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이런 구미시의 태도가 협정을 파기하는 것이라고 봤습니다. 8월8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김 시장을 향해 “괘씸하다”며 불편한 기색을 거침없이 드러냈는데요. 협정 해지를 통보한 뒤 자신의 페이스북에도 “구질구질한 협상을 더 하기 싫어 구미 물 분쟁을 단칼에 잘라버렸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대구시는 구미시 쪽에 △구미시 전체 산업단지 오·폐수 정화 시설 강화 △구미5국가산업단지 오·폐수 무방류 시스템 도입 등을 요구하면서 대구 취수원으로 오염원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라는 협조 공문을 보냈습니다.
홍 시장은 동시에 후보 시절 공약했던 안동댐 물을 취수원으로 사용하는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8월11일 홍 시장과 권기창 경북 안동시장은 대구시청에서 만나 안동댐·임하댐 물을 대구 취수원으로 사용하는 데 합의했는데요. 안동댐·임하댐에서부터 약 147㎞의 도수 관로를 설치해 원수를 확보하기로 했습니다. 대구시는 이 사업에 약 1조4천억원이 들 것으로 보고 전액 국비로 추진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물 갈등이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여전히 넘어야 할 산이 많기 때문이죠. 물은 공공재이고 국가 물 관리 사업의 주체는 정부입니다. 최근 환경부는 대구시의 협정 해지 통보에 대해 한 차례 회의를 열었지만 결론을 내리지 않고 숙려 기간을 갖기로 했습니다. 안동시민의 여론 수렴 과정도 필요합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토론과 합의 등 공론화 과정을 차근차근 거쳐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여기에 취수원 상류 이전보다 근본적으로 낙동강 수질 개선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대구환경운동연합 등은 “낙동강으로 유입되는 오염원을 줄이고 수문을 열어 낙동강을 흐르게 해야 한다. 약 800만 영남인의 식수원인 낙동강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대구=김규현 <한겨레> 기자 gyuhyun@hani.co.kr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우원식 “한덕수, ‘내란 특검’ 후보 추천 의무 오늘까지 이행하라”
[속보] 노상원 ‘계엄 수첩’에 “북의 공격 유도”… 정치인·판사 “수거 대상”
“탄핵 반대한다더니, 벌써 들뜬 홍준표…노욕만 가득” 친한계, 일침
[단독] HID·특전사 출신 여군도 체포조에…선관위 여직원 전담팀인 듯
안철수 “한덕수, 내란 특검법은 거부권 행사 않는게 맞다”
[단독] 윤석열, 4·10 총선 전 국방장관·국정원장에 “조만간 계엄”
계엄의 밤, 사라진 이장우 대전시장의 11시간…“집사람과 밤새워”
“내란 직후 임명…자격 없다” 국회 행안위서 바로 쫓겨난 박선영
롯데리아 내란 모의…세계가 알게 됐다
‘내란의 밤’ 4시간 전…그들은 휴가까지 내서 판교에 모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