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자식 간에도 ‘거리두기’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 고향 부모님 뵈러 가는 길은 조심스럽고, 자식들 얼굴 보러 움직이는 것도 부담스럽게 느껴집니다. 이젠 ‘민족 대이동’이란 말도 농경사회 유물로 남을 판입니다.
그래서 <한겨레21>이 ‘우동뉴스’(우리동네뉴스)를 준비했습니다. 명절에도 발이 묶여 옴짝달싹 못하는 독자들을 위해 <한겨레> 전국부 소속 기자 14명이 우리 동네의 따끈한 소식을 친절하고 맛깔스럽게 들려줍니다. 고향 소식에 목마른 독자에게 ‘꽃소식’이 되길 바랍니다. _편집자주
경남 창원시 마산 앞바다에는 축구장 90개 규모의 국내 최대 인공섬이 있습니다. 창원시는 이 섬에 신도시를 세우려고 ‘마산해양신도시’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하지만 인공섬은 2019년 말 완공 이후 현재까지 15개월째 허허벌판 상태입니다. 애초 신도시를 건설하기 위해 인공섬을 만든 게 아니라, 기왕에 만든 인공섬에 신도시를 조성하기로 결정하면서 아직도 신도시 조성 방안을 확정하지 못했기 때문이죠.
‘마산해양신도시 개발사업’의 케케묵은 논란에 올해는 마침표를 찍을 수 있을까요? 창원시는 2월3일 “마산해양신도시에 2022년 상반기 토목공사를 시작하고, 하반기엔 건축공사도 착공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마산해양신도시를 개발할 우선협상대상자를 4월 선정해, 7월 실시협약을 맺을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서 창원시는 2020년 12월15일부터 2021년 3월25일까지 100일 동안 마산해양신도시를 개발할 민간사업자를 공모하고 있습니다. 창원시 해양사업과 담당자는 “2월2일 현재 8개 민간사업자가 사업참가의향서를 냈다. 이들 업체로부터 3월25일까지 사업계획서를 받아 심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마산해양신도시의 출발점은 20년 가까이 거슬러 올라가야 합니다. 해양수산부와 창원시(옛 마산시)는 2003년부터 국책사업으로 마산항 서항과 가포지구를 개발하는 마산항 개발사업을 추진했습니다. 2004~2015년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있던 옛 가포해수욕장을 매립해 컨테이너 전용 부두 2개 선석(선박 접안 장소)과 다목적 부두 2개 선석을 갖춘 마산가포신항을 건설했습니다. 또 마산가포신항에 3만t급 선박이 드나들 수 있도록 항로 수심 12.5m로 마산만 바닥을 준설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생긴 준설토를 버릴 공간이 필요했는데, 시간과 경비를 아끼기 위해 마산가포신항에서 불과 1㎞가량 떨어진 마산 앞바다에 준설토 투기장을 조성했습니다.
마산만 훼손, 해양 수질오염, 도시경관 훼손 등 여러 문제가 불거졌죠.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창원 시민들이 거세게 반발하자, 2013년 창원시는 준설토 투기장을 64만2167㎡ 넓이의 인공섬으로 조성해 해양신도시로 개발하는 ‘마산해양신도시 개발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인공섬 건설엔 민간자본 3403억원이 들어갔습니다.
그러나 마산해양신도시 개발은 창원시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창원시는 2013~2018년 세 차례 민간개발 공모사업을 추진했으나, 모두 무산됐습니다. 민간개발자가 원하는 수익성과 창원시·창원시민이 원하는 공공성 사이에 큰 차이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민간사업자는 단기수익성이 가장 높은 아파트 건설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데, 3천~4천 가구 규모의 아파트단지를 건설하려는 민간사업자의 구상은 시민들의 공감을 얻을 수 없었습니다. 게다가 마산가포신항마저 제구실을 못하자, 시민사회단체들은 사업의 필요성과 개발 방향에 대해 많은 문제점과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이 때문에 창원시는 시민 공감대를 바탕으로 공공성이 확보되는 새로운 개발계획을 세워야 할 처지에 놓였습니다. 창원시의 고민은 공공성과 수익성이라는 두 가치의 조화, 원도심과 해양신도시의 조화를 어떻게 이루느냐에 집중됩니다. 여기에 더해 단순히 해양관광지가 아닌 창원시의 발전적 미래를 이끌 기대효과와 파급력까지 확보해야 할 것입니다.
허성무 창원시장은 2020년 10월13일 “스마트 기술을 기반으로 삼는 세계적 감성 도시를 건설하겠다”고 마산해양신도시 개발 방향을 발표했습니다. 핵심 내용은 인공섬 전체 면적의 32%(20만3119㎡)를 민간자본 유치구역, 68%(43만9048㎡)를 자연친화·지속가능 공공구역으로 구분해 개발한다는 것입니다.
민간자본 유치구역엔 ‘24시간 세계와 소통하는 스마트시티’라는 기본 개념에 맞춰 숙박·컨벤션·관광·상업 시설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창원시는 인공섬 건설비인 3403억원보다 많은 돈을 받고 민간사업자에게 이 구역을 팔 계획입니다. 민간사업자 선정심의위원회는 1천 점 만점으로 평가해, 지역 활성화 시설 도입 계획엔 최고 70점을 더 주고, 아파트 등 주거시설 도입 계획에는 최고 100점을 깎는 등 아파트 조성 비율이 높은 계획서를 내는 민간사업자에겐 낮은 점수를 줄 방침입니다. 공모에 참여하는 사업자는 호텔 등 관광숙박 시설과 문화관광 복합시설 개발을 사업계획에 반드시 넣어야 합니다.
공공구역엔 국·도·시비를 투자해 공원·정원·미술관·도서관·디지털캠퍼스 등을 조성합니다. 마산해양신도시 둘레에는 1960년 마산에서 일어난 3·15 의거를 상징하는 3.15㎞ 길이의 해변 산책로가 조성됩니다. 마산해양신도시는 왕복 6차로 다리 2개와 100m 길이 보도교 1개로 육지와 연결됩니다. 인근 돝섬과 연결하는 500m 길이의 다리(월영교) 건설도 추진됩니다. 맞은편 육지 쪽 해변에는 400m 길이의 모래사장도 조성합니다.
창원시 계획에 대해 환경단체인 창원물생명시민연대는 “인공섬 개발 방향이 공사비 3400억원을 회수하는 것에 맞춰져서는 안 된다”고 비판합니다. 이 단체는 “시민 모두의 것인 마산만 바다를 메워서 만든 인공섬이 일부 돈 있는 사람들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모든 시민의 공간으로 제대로 설 수 있도록 다시 한번 고민할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습니다.
마산·창원·진해 환경운동연합도 “예전보다는 시민 목소리가 많이 반영됐지만, 우리가 처한 심각한 기후위기 상황을 고려한다면 아쉬운 부분이 많다”고 밝혔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환경수도를 자처하는 창원시는 에너지 자립, 쓰레기 제로 도시로 마산해양신도시를 설계하기 바란다. 이제는 창원시의 노력과 의지가 필요한 때”라고 덧붙였습니다.
환경단체 “에너지 자립, 쓰레기 없는 도시로”허성무 창원시장은 “옛 마산시는 시민들의 거센 반대를 무시하고 마산 앞바다에 준설토 투기장을 건설했다. 이후 마산 시민들은 이곳에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건설될 계획이라는 소식을 접하고 절망했다. 이제 시민들은 절망의 땅을 희망의 땅으로 바꿔줄 것을 열망하고 있다. 마산해양신도시를 조화·상생 그리고 미래혁신 성장을 이끌 스마트도시로 조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 이를 위해 중앙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습니다.
창원=최상원 <한겨레> 기자 csw@hani.co.kr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속보] 군 경비 뚫은 공수처, 관저 건물 앞 경호처와 3시간째 대치
경호처 직원들, 끝까지 비겁한 윤석열에게 인생 걸 텐가? [1월3일 뉴스뷰리핑]
“대통령실·경호처가 판단”…최, ‘윤석열 체포 집행’ 한덕수 길 걷나
공조본, 윤석열 체포영장 제시…경호처장, 경호법 이유로 수색불허
“윤석열이 대한민국”…‘내란선전’ 윤상현 제명청원 12만명 넘어
목숨 건 짝짓기 [그림판]
윤석열의 ‘철통’ 액막이… [그림판]
김흥국 “박정희·전두환보다 윤석열이 더 잘해…오야붕 지키자”
[속보] 공수처, 대통령 관저 진입…윤석열 체포영장 집행 시작
“경호처, 목숨 걸고 지켜라” 공수처 관저 진입 소식에 지지자들 격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