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불미스런 ‘정교 커넥션’

한채윤 성소수자 인권운동가가 말하는 기독교계와 정치인들의 차별 담합
등록 2017-11-11 01:52 수정 2020-05-03 04:28
‘지금 여기의 페미니즘×민주주의’ 네 번째 강의 ‘나중에 정치: 종교화된 정치, 정치화된 종교’가 11월2일 서울 마포구 청년문화공간JU동교동에서 열렸다.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활동가이자 비온뒤무지개재단 상임이사로 20년간 한국 성소수자 인권운동을 해온 한채윤 활동가가 한국 사회에서 정치와 종교의 ‘불미스러운 커넥션’에 대해 ‘증언’했다. _편집자
[%%IMAGE1%%]

선거철이 되면,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는 ‘현충원’급이 된다. 2017년 2월13일, 문재인 대통령은 당시 예비후보로 등록한 날, 한기총·한국교회연합·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를 찾아갔다. 이런 풍경은 여야를 가리지 않는다.

정치인이 교회 따라다니는 까닭

정치인이 종교단체를 찾아가게 된 건 언제부터일까. 1945년 해방 뒤 미군정이 시작되면서 미군정에 발탁된 한국 정치인의 70%가 개신교도였다. 당시 한국의 개신교도 비율은 0.5%였다. 이승만 초대 대통령도 독실한 개신교인이었다. 미군정은 영어를 할 수 있고, 비슷한 종교를 가진 사람들에게 권력을 준 셈이다. 이승만 정부는 기독교에 대단한 지원을 한다. 1949년에는 크리스마스가 공휴일이 됐다. 개신교가 국교가 아닌데 이례적인 일이다. 최초의 민간 방송은 기독교방송과 극동방송이었다. 1951년 여러 종교 가운데 최초로 군대에 개신교 목사를 두게 했다. 군대가 전도의 장이 되고, 군대 내 종교 커넥션이 만들어졌다. 1987년은 종교가 정치에 우위를 점하게 된 시기였다. 대통령 직선제를 하면서 정치인들은 표 줄 사람을 찾아다녀야 했다. 대형 교회 목사들을 만나기 시작한다.

선거철마다 보는 풍경은 ‘입장 바꾸기’다. 유엔 역대 사무총장 가운데 성소수자 인권 활동과 발언을 활발하게 해온 반기문 전 사무총장을 보자. 대선 후보로 거론되며 사무총장 임기를 마치고 한국에 오자마자 “동성애 지지는 아니고, 인권 차별하면 안 된다는 생각뿐이다”라고 말했다.

이렇게 정치인들이 종교인 입맛에 예민하게 행동한 것의 대가는 아마도 표일 것이다. 그렇다면 종교계는 무엇을 얻을까. 대표적인 것이 ‘종교인 과세 금지’다. 한국기독교언론포럼이 지난 4월 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차기 대통령이 다뤄야 할 한국 교회 최우선 과제’는 1위 ‘종교인 납세’ (26.2%), 2위 ‘국정교과서 기독교 관련 서술’(19%), 3위 ‘동성애’(16.4%)였다.

프레임 넓혀 싸우자

어쩌면 종교계는 1위 과제인 납세 유예를 위해 3위 과제인 동성애 혐오와 반대를 내세우는 게 아닐까. 동성애자의 인권과 여성의 인권은 같은 문제다. 젠더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민주시민으로 산다는 건 모든 차별과 평등에 반응하는 것이다. 다만, 애당초 이 논의가 왜 전개됐는지를 살피면 프레임을 넓혀 혐오와 싸울 수 있지 않을까.

박수진 기자 jin21@hani.co.kr
사진
박승화 기자 eyeshoot@hani.co.kr




독자  퍼스트  언론,    정기구독으로  응원하기!


전화신청▶ 02-2013-1300 (월납 가능)
인터넷신청▶ http://bit.ly/1HZ0DmD
카톡 선물하기▶ http://bit.ly/1UELpok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