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공원 기본계획’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정부가 10년에 한 번씩 세우는 계획인데, 이걸 보면 그간 국립공원을 대하는 태도가 어떻게 바뀌어왔는지 알 수 있습니다. 2003~2012년 1차 계획 때는 보전 개념이 ‘소극적 보호 및 규제’였지만 2013~2022년 2차 계획에선 ‘적극적 복원 및 복구 개념’으로 바뀌었고, 2023~2032년 3차 계획 땐 ‘자연공원 내외 생태계 연결성을 고려한 포괄적인 보전·복원 개념’으로 확대됐습니다. 그런 흐름에 맞춰 환경부도 2023년 초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의 합의대로, 2030년까지 전 국토의 30%를 국립공원과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여기까진 훌륭합니다. 그런데 발표 한 달도 지나지 않아 설악산 국립공원에 오색케이블카 설치를 조건부로 허가합니다.
케이블카 사업 예정구역을 가서 관찰하고, 전문가들의 이야기와 연구보고서를 검토해 1457호 표지이야기 ‘산양·노루·담비 위 최상위 포식자가 나타난다’에 담았습니다.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미칠 것이라는 ‘환상’에 대해서도 ‘지역 곳간 털어 케이블카 사업자만 배불려’ 기사에서 다뤘습니다.
미처 못 담은 이야기도 있습니다. 케이블카를 찬성하는 이들이 가장 많이 하는 이야기 중 하나는 해외 사례입니다. 특히 자연경관으로 유명한 스위스만 해도 수천 개의 케이블카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맞는 말입니다. 하지만 국립공원엔 한 개도 없습니다. 미국도 마찬가지입니다. 최소한 국립공원은 보호하자는 인식이 깔려 있는 것입니다. 일본은 국립공원에 24개의 케이블카가 있지만, 1970년대 이후 새로 설치된 건 없습니다. “해외 대부분의 국가에서 국립공원 내 케이블카 설치를 최소화하고 있는”(국립공원연구원) 추세입니다. 한국의 경우 국립공원 내 케이블카 개수는 3개입니다. 1989년 허가가 난 덕유산 케이블카 이후 더 지어지지 않았습니다.
장애인과 몸이 불편한 이들도 산에 올라 경관을 감상할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양양군에서 만난 주민 이순녀씨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케이블카를 타기 위해 갈 때, 배려 시설은 생각이나 해봤을까요.” 양양군 쪽은 “장애인 등 이동 약자의 방문 증가를 대비해 특별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했습니다. 양양군에서 하부 정류장이 예정된 지점까지 들어가는 시내버스 노선은 1개입니다.
표지 기사엔 설악산이 터전인 동식물의 목소리가 빠졌다고 썼습니다. 사실 빠진 목소리가 하나 더 있습니다. 후손들의 목소리입니다. 케이블카로 돈을 벌고 지역 경제에도 효과가 있고 좋은 경관을 볼 수 있다 해도, 이에 따라 훼손될 경제적 가치는 계산되지 않았습니다. 미래에 후손들이 오색케이블카를 보면서 어떤 생각을 할까요.
류석우 기자 raintin@hani.co.kr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계엄의 밤, 사라진 이장우 대전시장의 11시간…“집사람과 밤새워”
‘28시간 경찰 차벽’ 뚫은 트랙터 시위, 시민 1만명 마중 나왔다
공조본, 윤석열 개인폰 통화내역 확보…‘내란의 밤’ 선명해지나
탄핵 경고받은 한덕수 “내란·김건희 특검, 24일까지 결정 어렵다”
“강철 같은 빛”…BBC, 계엄군 총 맞선 안귀령 ‘2024 인상적 이미지’ 꼽아
[단독] 노상원 ‘사조직’이 정보사 장악…부대 책임자 출입도 막아
롯데리아 내란 모의…세계가 알게 됐다
[단독] ‘사조직 집결’ 들통날라…정보사, 계엄 날 비상소집 20분만에 해제
조진웅 “내란수괴가 판칠 뻔… 진정한 영웅은 국민들”
“역시 석열이 형은 법보다 밥이야”…모두가 행복했을 텐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