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endorse는 ‘지지하다’는 뜻이다. 라틴어원을 보면, 서류 뒷면(dossum=back)에 제 이름을 적는(en=put on) 데서 비롯했다. 이름을 걸고 문서 내용을 보증한다는 의미이겠다.
서구 언론, 특히 미국 언론은 대선 때마다 ‘지지 사설’(endorsement editorial)을 쓴다. 크게 두 단계로 나뉜다. 민주당 또는 공화당의 예비경선이 치러지면 각 정당 대선 후보 한 명을 선택하는 사설을 쓴다. 양당의 대선 후보가 확정되면, 그 가운데 한 명을 지지하는 사설을 다시 내보낸다.
몇몇 변형도 있다. ‘반대 사설’(anti-endorsement)을 통해 누구를 반대하는지만 쓰기도 하고, 지지 후보가 없다고 공표하기도 한다. 매번 지지 사설을 싣는 매체가 있는가 하면, 어지간해선 지지 사설을 내보내지 않는 매체도 있다. 경선 단계는 생략하고 본선에서만 지지 후보를 밝히기도 한다.
효시는 다. 1860년 10월11일 ‘에이브러햄 링컨 공화당 후보가 대통령이 되는 게 마땅하다’고 밝힌 이후 지금까지 150여 년 동안 모든 대선에서 지지 후보를 발표해왔다. 민주당 후보 지지 28차례, 공화당 후보 지지 12차례다. 1960년 대선 이후엔 줄곧 민주당 후보만 지지했다.
지난해 대선에서도 9월24일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를 지지하는 사설을 쓰고, 이튿날인 9월25일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가 대통령이 되어선 안 되는 이유를 사설로 썼다. 이쯤 되면 ‘편파 매체’라는 공격이 먹힐 법하겠지만, (세계가 인정하듯이) 는 정파 매체가 아니라 정론 매체로 통한다. 지지 사설이 집필되는 엄정한 과정 때문이다.
모든 사설이 그렇지만, 특히 지지 사설은 논설위원실이 독립적으로 결정한다. 이를 위해 논설위원들은 각 후보의 공약을 검토하고 여러 차례 토론한다. 대선 후보를 직접 불러 일종의 청문회를 열기도 한다. 이 과정은 경영진 및 편집국에 공개하지 않는다. 철저한 보안과 비밀 속에 진행된 최근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탄핵 평의와 같다.
‘사실과 의견의 분리’라는 공정보도 원칙도 여기에서 비롯했는데, (한국의 정치·언론 환경에선 이해하기 어렵겠지만) 논설위원실이 누구를 지지하건 각 후보에 대한 기자들의 보도는 중립적일 수 있고 그래야 한다는 게 미국적 공정보도 원칙이다. 또한 누구를 지지했건 당선 이후 비판과 감시를 소홀히 하지 않는 태도가 그 공정성을 뒷받침한다.
논란이 없지는 않다. 한 미국 언론학자의 2000년대 초반 연구를 보면, 미국 유권자의 83%는 ‘지지 사설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답했고, 10%만 ‘일부 영향을 받는다’고 답했다. 반면 지지 또는 반대 사설이 나갈 때마다 특정 후보 지지자의 절독 사태는 피할 수 없다. 정치적으로 별 효용이 없고, 상업적으로는 손해가 분명한 셈이다.
이에 착안한 [USA투데이]는 1982년 창간 이후 ‘지지 사설을 쓰지 않는다’는 원칙(no-endorsement policy)을 지켜왔다. 공정보도 명분을 내걸긴 했지만, 지지 사설의 전통을 이끌어온 등 기존 유력지와 차별화를 노린 상업적 계산도 있다.
34년 동안 지속된 그 원칙을 파기한 것은, 그래서 특별했다. 대선을 40여 일 앞둔 2016년 9월29일, [USA투데이]는 ‘트럼프는 대통령으로 부적절하다’(Trump is unfit for the presidency)는 제목으로 약 8천 자 분량의 사설을 썼다. 한국 신문으로 치면, 한 면 전체를 털어 트럼프를 반대한 셈이다. 그 도입은 대략 이렇다.
“우리는 지난 34년 동안 대선에서 어느 편을 든 적이 없다. 주요 이슈에 대한 의견은 표명했지만, 누가 대통령으로 적합할지 독자에게 제시한 적은 없다. 이 원칙을 4년마다 재검토했지만, 이를 변화시킬 이유를 찾지 못했다. 지금까지는 그랬다. …이제 우리의 전통을 깬다.” 이어지는 글에서 이들은 ‘변덕스럽고, 편견으로 가득하고, 불투명한 이력을 갖고 있고, 국가적 담론을 어지럽히는 심각한 거짓말쟁이’인 트럼프가 대통령이 되면 안 되는 8가지 이유를 조목조목 적었다.
지지 사설의 이면에는 ‘엘리트주의’가 있다. 언론이 독자의 선택을 한발 앞서 촉구하면서 가르치려 들기 때문이다. 동시에 ‘도덕적 프로페셔널리즘’도 내장돼 있다. 대선 후보를 직접 취재하고 검증한 언론인들이 어떤 판단을 하고 있는지 공개하는 것이 (효용이 있건 없건) 독자에 대한 의무라고 그들은 생각한다.
대선 특집판 연속 발행을 궁리하던 2월 초, 은 ‘특정 후보 공개 지지’ 여부를 두고 토론했다. 기자들의 상당수는 주저했다. 어느 기자는 이렇게도 말했다. “신중해야 한다고 봅니다. (특정 후보 지지가) 화제가 되긴 하겠지만, 매체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어떤 도움이 될지 생각해봐야죠. 우리는 공정하게 보도했더라도 많은 사람이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 수 있으니까요.”
결론은 내려지지 않았다. 절차적·법률적 어려움도 있다. 미국 거대 언론사와 달리 은 논설위원실과 뉴스룸이 분리돼 있지 않다. 기자와 편집장은 취재보도를 책임지는 동시에 각종 칼럼도 직접 집필하거나 관리한다. ‘사실과 의견의 물리적 분리’가 어려운 것이다.
무엇보다 한국의 현행법이 이를 가로막고 있다. “언론사 차원에서, 또는 매체를 대표하는 언론인이 특정 대선 후보를 지지하는 글을 써도 되느냐”는 의 질문에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는 당혹스러워했다. 기자가 개인 신분으로 주변 사람에게 누구를 지지한다고 말할 수는 있지만, 공개적 기사나 칼럼을 통해 특정 후보의 지지·반대 의사를 표명하는 건 선거법상 공정보도 의무에 반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 그런 전례가 없어, 명확한 판단은 어렵다는 단서를 달았다.
미국에서 [USA투데이]는 상업주의 매체로 통한다. 의도적으로 ‘기계적 중립성’을 강조해왔다. 그런 매체가 오랜 내부 원칙을 파기하면서까지 트럼프를 반대한 것은 ‘특별하고 역사적이며 결정적인 선거’라는 위기의식 때문이었다. 2017년 5월9일, 한국의 대선은 다른가. 이번 대선은 미국의 2016년 대선만큼 특별하지 않은가. 관성과 전통의 경계를 시험해서라도 ‘프로페셔널리즘의 도덕성’을 발휘해야 할 때가 마침내 도래한 것은 아닐까.
[USA투데이]의 반대 사설 마지막은 대략 이렇다. “유권자를 위한 우리의 최소한의 충고는 이것이다. 당신의 판결에 충실하라. 그러나 당신이 무엇을 하건, 위험한 선동에 대한 경고음에 저항하라. 어떤 경우건 투표하라. 다만 도널드 트럼프를 찍지는 말라.”
이 정도의 ‘반대 사설’도 불가능하다면, 언론이 왜 존재해야 하는가. 5월9일 대선 전, 독자에게 우리의 판단, 적어도 편집장인 나의 판단을 전하고 싶다. 현행 법률이 규정한 ‘공정보도’의 경계를 직접 시험할 계기도 될 것이다. 독자 여러분의 의견과 제안을 기다린다.
안수찬 편집장 ahn@hani.co.kr전화신청▶ 02-2013-1300 (월납 가능)
인터넷신청▶ http://bit.ly/1HZ0DmD
카톡 선물하기▶ http://bit.ly/1UELpok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버티는 경호처, 윤석열 체포영장 막으면 ‘내란 수비대’ 전락
체포 저지 집회 등장한 김흥국 “윤석열 지키기, 좀만 더 힘내고 뭉치자”
국힘 김민전 “가는 곳마다 중국인들이 탄핵 찬성…이게 본질”
꽝꽝꽝꽝꽝...KBS 촬영팀, 세계유산 병산서원 못질 훼손
‘윤석열 체포’ 요구 평화 시위…“따뜻한 방에서 메시지 내는 비겁자”
윤석열의 ‘철통’ 액막이… [그림판]
“대통령실·경호처가 판단”…최, ‘윤석열 체포 집행’ 한덕수 길 걷나
이재명 살해·당사 폭파 협박 ‘극우 준동’…민주, 의원 국회대기령
‘경호처는 물러서라’…윤석열 체포영장 집행 길 튼 법원
[단독] ‘형소법 110·111조’는 물건 압수용…“윤석열 체포엔 ‘적용 예외’ 당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