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태초에 말씀이 있었다, 라고 누군가 주장했다. 말씀을 옮기고 퍼뜨리며 권위를 참칭하여 사람들을 다스렸다. 정치가 탄생했다. 처음엔 종교, 나중엔 민주주의의 탈을 썼다. 정치가 탄생하던 날, 사람들은 갈색 사슴처럼 숨죽인 채 숲으로 들어갔다. 겁을 집어먹은 그들은 고개 숙이고 땅을 보았다.
언론의 뿌리는 정치와 문학에말씀 아래 살아가게 된 사람들은 말씀과 상관없는 말을 나눴다. 살고 죽고 사랑하고 헤어지는 일을 이야기했다. 삶은 하늘에 있지 않고 땅에 있었다. 문학이 태어났다. 처음엔 입으로 전했고 나중엔 글로 적었다. 문학이 태어나던 날, 사람들은 버석거리는 잉걸을 모아 불꽃을 피워올렸다. 모여 앉은 그들은 웃다가 울다가 했다.
말씀에 대해 말해보자고 누군가 말했다. 이슬을 튕기는 이파리 사이로 아침 햇볕이 폭포수처럼 흘렀다. 말씀 뒤에 의도가 있다고 용기 있게 말하는 이가 있었다. 말씀이 있어도 여전히 배고프고 춥다고 또 다른 이가 더 큰 용기를 내어 말했다. 언론이 생겨났다. 그들의 말은 잎을 흔들고 숲을 가로질러 벌판으로 달려가는 바람이 되었다. 사람들은 말의 힘을 알아차렸다. 하늘의 말씀과 땅의 삶에 대한 말을 나누며, 사람들은 생솔가지를 꺾어 불을 붙였다. 말씀으로 치장한 궁전을 향해 그들은 초록 악어처럼 진격했다.
수천 년의 문명을 한 호흡에 추상하여 그 족보를 설명하자면, 언론의 뿌리는 정치와 문학에 걸쳐 있다. 삶에 대해 말할 때 언론은 문학에 가깝다. 권력에 대해 말할 때 언론은 정치를 향한다. 삶을 말하려는 기자도 있고 권력을 말하려는 기자도 있다. 삶을 쓰는 기자는 가끔 문학을 썼고 권력을 쓰는 기자는 종종 권력자가 됐다.
19세기의 언론은 정치에 가깝고 문학과 멀었다. 신문은 소수 명망가가 발행하는 정치 선전물이었다. 카를 마르크스가 의 런던 특파원으로 활동했던 시기도 이와 겹친다. 그의 기사가 최근 국내에 번역 출간됐다. 매우 어렵다. 무슨 말인지 알기 힘들다. 그 시절 언론의 언어는 엘리트적이었다. 여러 사람이 두루 읽을 것을 의도하지 않았다.
필부들은 신문 말고 소설을 읽었다. 19세기 대중의 미디어는 소설이었다. 영국 소설가 찰스 디킨스, 미국 소설가 마크 트웨인 등이 그 대표 격이다. 디킨스는 등을 썼다. 트웨인은 등을 썼다. 그들은 가난하고 힘없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썼다. 빈곤의 실상을 알리고 사회 모순을 고발 또는 풍자했다.
그런데 이들은 기자였다. 찰스 디킨스는 의회 담당 기자였다. 마크 트웨인은 지역 신문에서 수습기자부터 칼럼니스트까지 두루 경험했다. 그들은 엘리트의 미디어인 신문에 칼럼을 쓰고, 대중의 미디어인 소설에 현실을 기록했다. 1830년대 페니신문(Penny Paper)이 미국에 등장한 뒤에야 언론은 대중을 향했다. 1페니만 내면 누구나 신문을 보는 시대가 열렸다. 기자들은 정치인의 후원 대신 대중의 푼돈을 모아 신문을 발행했다. 가난하고 무지한 노동자도 쉽게 알 수 있도록 ‘간명하게’(Clear and Concise) 기사 쓰는 일이 확산됐다. ‘스트레이트’ 기사의 시초다. 가난한 이들의 미디어가 된 신문은 정치 대신 삶을 보도했다. 평론과 주장을 밀어내고, 각종 사건·사고에 대한 기사를 쓰기 시작했다.
‘객관성’의 시대, ‘르포르타주’ 전성시대20세기 초반, 대중 신문에 대한 반성이 일었다. 흥미 위주의 사건·사고 보도, 권력 고발을 빙자한 추정 보도 등 선정보도(Yellow Journalism)를 성찰했다. ‘객관성’의 시대가 열렸다. 한국 언론의 객관성은 이쪽저쪽 의견을 하나씩 반영하는 수준으로 곧잘 격하된다. 그 본래 의미는 충분한 근거를 확보해 보도하자는 데 있다. 이것은 결정적 차이다.
객관성의 흐름을 타고 ‘르포르타주’의 전성시대가 열렸다. 분명한 근거를 확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보고 듣는 것이었다. 잭 런던의 , 조지 오웰의 등의 빈곤 르포는 대부분 20세기 초반에 쓰였다. 흔히 소설가로 알려진 그들 역시 원래는 기자 또는 칼럼니스트였다.
오늘날까지도 세계 3대 르포르타주로 불리는 (존 리드), (조지 오웰>, (에드거 스노)도 20세기 초·중반에 탄생했다. 객관성의 허울만 부여잡은 한국 기자들의 취재 현장은 브리핑룸에 갇혀 있지만, 그 시절 서구의 기자들은 전쟁과 혁명의 공간으로 달려갔다. 현장에서 보고 듣고 체험한 것을 옮기는 데 열을 올렸다. 삶의 가장 극적인 순간인 전쟁과 혁명에 대한 그들의 글에서 문학과 언론은 경계를 허물었다.
언론의 주류 언어가 평론에서 사건 보도로, 다시 르포르타주로 옮겨가는 동안, 디킨스와 트웨인의 후예들은 새 경로를 개척하고 있었다. 존 스타인벡과 어니스트 헤밍웨이가 대표적이다. 두 사람 모두 기자였다. 현장을 취재해 르포르타주를 신문에 내고, 이를 바탕으로 소설을 썼다.
프리랜서 기자였던 스타인벡은 에 캘리포니아 이주 농민들에 대한 르포 기사를 연재했다. 이를 바탕으로 1930년대 미국 대공황기 빈농의 참혹한 실상을 다룬 소설 를 썼다. 역시 프리랜서 기자로 활약했던 헤밍웨이는 북미신문협회(NANA)와 계약을 맺고 스페인 내전을 취재해 기사를 송고했다. 나중엔 이를 바탕으로 소설 를 썼다.
이들을 유명하게 만든 것은 그들의 기사가 아니라 소설이었다. 실은 그게 소설을 쓰는 이유이기도 했다. 비록 그것이 명성에 대한 개인의 야심에 기초한 것이라 할지라도 스타인벡과 헤밍웨이는 더 많은 대중을 향해 말하고 싶었던 것이다. 문학은 여전히 대중의 미디어였다.
기자가 문학의 영역을 넘보자, 소설가는 언론의 영역을 침범했다. 취재한 사실을 기사에만 쓰고 더 풍부한 이야기는 소설로 옮겨 담는 ‘이중의 글쓰기’가 굳이 필요할까. 그냥 사실 그 자체로 가득한 소설을 쓰면 되지 않을까. 미국 소설가 트루먼 커포티는 야심을 품었다.
경계비이자 기념비1959년 11월 미국 캔자스시티의 작은 마을에서 일가족 4명이 강도에게 살해당했다. 커포티는 이 사건에 대한 단신 기사를 읽고 흥미를 느꼈다. 이후 6년여 동안 피해자·살인자·목격자·수사관 등 수백 명을 직접 인터뷰해 주간지 에 사건 기사를 연재했고, 1966년 단행본 (In Cold Blood)을 펴냈다. 그의 글은 많은 사람들을 당혹시켰다. 이 글은 무엇인가? 소설인가? 기사인가?
기대만큼 재미있진 않다는 ‘개인적 리뷰’를 전제하고 말하자면, 커포티의 은 경계비이자 기념비다. 사실주의 문학의 전형이자 뉴저널리즘의 표상이며 내러티브 저널리즘의 원천이다.
문학계에서는 이를 소설이라 불렀다. 은 ‘논픽션 소설’, 즉 사실을 옮긴 소설의 효시로 평가된다. 커포티 자신도 소설로 여겼다. “오랫동안 꿈꾸었던 일을 해냈다. 오직 사실로만 이뤄진 소설을 썼다”고 말했다.
언론계에선 이를 기사로 보았다. 미국의 기자 톰 울프는 을 극찬하면서 “이제 문학은 저널리즘에서 미래를 찾아야 한다”고 선언했다. 그는 ‘뉴저널리즘’이라는 말의 창시자이기도 하다. 1973년 이라는 책을 펴냈다. 이 책에는 톰 울프를 비롯해 헌터 톰슨, 게이 탈레시 등 ‘실명으로 이뤄진 이야기’를 추구했던 당대 기자들의 기사가 담겨 있다.
소설가의 논픽션을 기자들이 열렬히 반긴 이유가 있다. 1960~70년대에 언론의 역할에 대한 근본적 회의가 팽배했다. 베트남 전쟁 등의 진실을 언론이 제대로 보도하지 못한다는 성찰이 일었다. 언론의 자양분인 대중이 언론을 외면하기 시작했다.
진실을 어떻게 드러내야 다시 대중과 만날 것인가. 그 고민에 대한 답이 뉴저널리즘이었다. 그것은 사실주의 문학과 르포르타주의 혼융이었다. 문학의 방식으로, 대신 허구가 아닌 사실을 토대로, 생생하게 현실을 보도하자는 기치였다.
당시 뉴저널리스트들은 특정 사건에 대해 ‘한 권의 책을 써낼 분량으로’ 기사를 썼다. 그래야 사건의 전모를 전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 진앙지이자 둥지는 등 주간지였다. 이 시기는 매거진의 전성기와 겹친다. (‘매거진’을 잡지로 번역한 것은 참 잡스러운 일이다. 그 어원인 아랍어 ‘makhzin’은 ‘저장소·창고’라는 뜻이고, 특히 여러 물건을 차곡차곡 쌓아둔 장소를 말한다. 이 왜 ‘잡스러운 종이’(잡지)겠는가. 이 매체는 지식과 정보와 영감의 보고다.)
뉴저널리즘-탐사보도-내러티브 저널리즘뉴저널리즘은 주로 프리랜서 작가들의 무기가 됐다. (귄터 발라프), (캐서린 부) 등 국내에 번역된 대부분의 빈곤 르포는 특정 뉴스룸에 긴박되지 않은 이들의 성취다. 기자들의 스트레이트는 하루 만에 자취 없이 사라져도, 그들의 뉴저널리즘은 수십 년 뒤까지 생명력을 발휘하고 있다.
그러나 매거진이 구현해낸 뉴저널리즘은 미국 언론의 주류가 되지는 못했다. 당시 미국 기자들이 봉착한 문제는 분명한 근거에 기초한 사실 보도 및 그 사실의 맥락과 의미를 전달하는 진실 보도의 방법이었다. 그 화두 앞에서 등 유력 일간지들은 뉴저널리즘이 아닌 탐사저널리즘에 몰두하고 있었다.
‘탐사보도’(Investigative Report)는 당국의 수사 발표에 기대지 않고 기자들이 직접 수사해 증거를 수집하고 제대로 고발하자는 ‘수사’ 취재 기법이다. 그 절정은 1972년 의 ‘워터게이트’ 보도다. 그들은 검사의 눈높이로 권력의 범죄 사실을 취재했다. 한동안 미국의 주류 언론은 수사 보도에 열광했다.
그들이 문학에 눈을 돌린 것은 이로부터 20여 년이 지난 1990년대 후반이다. 1980년대 이후 탐사보도는 각종 통계분석을 기초로 하는 사회과학방법론을 받아들여, 조사보도 또는 정밀보도의 방식으로 진화했다. 올해 초,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의 세계 조세회피처 폭로 보도가 대표적이다. ICIJ는 다양한 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해 방대한 자료를 뒤졌다.
그런데 문제가 불거졌다. 그 엄밀성과 정확성에도 불구하고 대중이 읽지 않았다. 너무 어려웠던 것이다. 미국 주류 언론은 그제야 ‘언어 전략’을 새로 고민했다. 숫자가 주장보다 강력할 수는 있지만, 이야기보다 매력적이진 않다는 것을 뒤늦게 알아차렸다. 그들은 과거 뉴저널리즘의 기치를 다시 들춰보았다.
이를 탐사보도에 적용한 ‘내러티브 저널리즘’이 1990년대 후반 태동했다. 그 중심지는 미국 하버드대학 니먼재단이다. 2001년부터 매년 미국 전역의 기자와 학자를 모아 ‘내러티브 저널리즘 콘퍼런스’를 열고 있다.
내러티브의 동사형은 ‘narrate’(이야기하다)이고 그 어원은 그리스어 ‘알다’라는 뜻의 ‘gnarus’다. 어원으로 보자면 ‘know’의 사촌이다. 내러티브는 그저 이야기를 말하는(Story Telling) 게 아니라, 무엇인가를 제대로 알 수 있도록 이야기해준다는 뜻이다.
뉴저널리즘의 현대적 복권인 내러티브 저널리즘을 대표하는 책으로 2005년 출간된 이 있다(과 마찬가지로 국내에 번역 출간되진 않았다). 내러티브 저널리즘을 적용한 최근의 여러 기사를 편집했다.
톰 울프의 에 대한 오마주인 셈인데, 저자는 ‘뉴저널리즘’과 ‘뉴뉴저널리즘’의 차이에 대해 “기발한 기삿거리를 찾기보다는 권력 고발의 전통과 소외된 자들의 평범한 연대기에 더 다가가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빈곤의 현실에 주목했던 사실주의 문학, 문학의 기법을 기사에 적용한 뉴저널리즘, 그리고 권력을 수사고발하려는 탐사보도의 ‘삼위일체’를 추구하겠다는 것이다.
2009년 가을, 은 물경 2세기에 걸친 그 역사를 한국에서 재현해보려 했다. (염치 불구하고 소개하자면) 당시 연재를 시작한 ‘노동 OTL’은 잠입 현장 취재에 기초한 빈곤 르포이자 그들의 삶을 있는 그대로 재현하려는 내러티브 저널리즘의 시도였다.
전업 기자를 위협해달라그리고 ‘손바닥문학상’은 그런 시도가 더 많은 이들에게 퍼지고 번지길 의도하는 봉화였다. 특히 문학과 언론의 경계에서 현실을 고발하려는 (잠재적 또는 미래의) 프리랜서 기자들에게 보내는 작은 초대장이었다. 저 높은 곳의 말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필부의 관심사는 살고 죽고 사랑하고 헤어지는 데 있으므로, 그것으로부터 우리의 이야기를 시작하자는 제안이었다.
미국 언론이 쉼없이 성찰하고 진화한 것은 전업 기자의 혁신 이전에 그 외곽의 프리랜서들 덕분이다. 그들은 때로 르포르타주, 때로 소설을 통해 정치 중심의 단발 보도에 안주하려는 전업 기자들을 계속 위협했다. 대중은 언제나 이야기를 사랑했으므로, 기자의 스트레이트 기사보다 프리랜서의 르포와 소설에 더 열광했다.
그래서 우리는 귀기울이며 기다린다. 사슴의 눈으로 화톳불 앞에 앉아 사는 일의 고단함을 이야기하는 당신. 그대의 영토는 아직 땅에 있고 숲에 깃들어 있지만, 문학의 눈으로 일상을 헤집어 언론의 방식으로 사실을 드러내는 작은 글을 당신은 쓸 수 있다. 그런 글이 모이면 우리 마침내 악어 떼가 되어 정치를 향해 진격할 것이다.
안수찬 기자 ahn@hani.co.kr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이승환, ‘구미 사태’ 후 공연 요청 줄이어…“7월까지 ‘헤븐’ 투어”
[단독] 입법조사처 ‘한덕수, 총리 직무로 탄핵하면 151명이 정족수’
[단독] ‘총선 전 계엄’ 윤석열 발언 당일 신원식, 김용현 불러 대책 논의
‘내란 비선’ 노상원 수첩에 정치인·언론인 ‘사살’ 표현 있었다
대만 전자산업노조 “삼성 반도체 경쟁력 부족은 근로시간 아닌 기업무능 탓”
북 충돌 빌미로 계엄 노린 듯…노상원 수첩엔 ‘NLL서 공격 유도’
[단독] 윤석열, 3월 말 “조만간 계엄”…국방장관·국정원장·경호처장에 밝혀
세계서 가장 높이나는 새, ‘줄기러기’가 한국에 오다니
12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윤석열 쪽 “엄연한 대통령인데, 밀폐 공간에서 수사 받으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