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운 날씨에 일찍 문 연 해수욕장. 여름의 상징인 해수욕장도 대부분 처서가 지나면 문 닫기 마련이지만, 일부 해수욕장은 폐장일을 늦추며 피서객을 맞이한다. 2024년 8월27일 오후 인천 중구 용유동 선녀바위 해수욕장. 따사로운 햇살과 치우지 못한 파라솔. 지는 해를 보며 이야기를 나누려는 시민들이 백사장에 앉아 있다.](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586/imgdb/original/2024/0829/20240829504131.jpg)
더운 날씨에 일찍 문 연 해수욕장. 여름의 상징인 해수욕장도 대부분 처서가 지나면 문 닫기 마련이지만, 일부 해수욕장은 폐장일을 늦추며 피서객을 맞이한다. 2024년 8월27일 오후 인천 중구 용유동 선녀바위 해수욕장. 따사로운 햇살과 치우지 못한 파라솔. 지는 해를 보며 이야기를 나누려는 시민들이 백사장에 앉아 있다.
먼 훗날에는 외려 시원했던 여름으로 기억될 수도 있는 2024년 여름이 물러가는 것 같다.
![8월27일 오후 문 닫은 서울 영등포구 한강공원 여의도 수영장 안 샤워 시설.](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647/imgdb/original/2024/0829/20240829504134.jpg)
8월27일 오후 문 닫은 서울 영등포구 한강공원 여의도 수영장 안 샤워 시설.
지난 100년 사이 한반도 기온은 1.6도 올랐다. ‘폭염의 일상화’가 이어지면서 내년, 후년 그리고 그다음 해는 더 더워질 듯싶어, 앞으로 1년 중 절반이 여름일 거란 예측이 괜한 말도 아닐 듯하다.
![8월27일 오후 영등포구 여의도 한강 샛강 습지에서 `샛강 숲길을 걷는 사람들'과 어린이들이 모내기한 논에 허수아비가 서 있다.](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647/imgdb/original/2024/0829/20240829504132.jpg)
8월27일 오후 영등포구 여의도 한강 샛강 습지에서 `샛강 숲길을 걷는 사람들'과 어린이들이 모내기한 논에 허수아비가 서 있다.
2024년 여름의 가장 특이했던 점은 긴 열대야다. 밤 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인 날인 열대야 일수는 2024년 8월28일까지 전국은 19.8일, 서울은 38일 발생했다. 전국 기준 5일 정도에 불과했던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견줘 세 배가 넘는 수치다.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면서 여름이 당장 물러가는 것 같아도, 더위가 9월까지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아울러 겨울 또한 혹독한 한파가 더 많이 일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기후위기로 기온이 올라가는 추세인 만큼 봄과 가을은 점점 짧아지고, 더워진 여름과 추워진 겨울은 길어지고 있는 것이다.
![가을옷으로 갈아입은 서울 중구 명동의 한 의류 매장.](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602/imgdb/original/2024/0829/20240829504133.jpg)
가을옷으로 갈아입은 서울 중구 명동의 한 의류 매장.
![누군가의 밤잠을 설치게 해 눈총을 받았을 매미가 떨어져 있다. 한 달 남짓 짝을 찾고 생을 마감하기 전 온몸으로 울던 소리는 애절했다.](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654/imgdb/original/2024/0829/20240829504129.jpg)
누군가의 밤잠을 설치게 해 눈총을 받았을 매미가 떨어져 있다. 한 달 남짓 짝을 찾고 생을 마감하기 전 온몸으로 울던 소리는 애절했다.
![8월26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하늘공원 표주박터널.](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635/imgdb/original/2024/0829/20240829504130.jpg)
8월26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하늘공원 표주박터널.
이마에 송골송골 맺힌 땀방울을 연신 닦던 손놀림도, 밤잠을 설치던 새벽도, 밤바다도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2024년 여름이기에 언젠가는 빛바랜 사진처럼 누군가에겐 잊지 못할 추억이 될 것이다. 그 장면을 몇 개 담아봤다.
사진·글 이종근 선임기자 root2@hani.co.kr
![서울 송파구 한 아파트 감나무 모습](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630/imgdb/original/2024/0829/20240829504135.jpg)
서울 송파구 한 아파트 감나무 모습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대왕고래 아닌 대왕구라였다”… 국정 브리핑 1호의 몰락
‘해뜰날’ 가수 송대관 별세
“부당 지시 왜 따랐냐 묻는 윤석열, 사람 바닥 보는 듯”
[영상] 1분15초 만에 들통난 윤석열 ‘거짓말 영상’, 실소 터진 민주당
“부당 지시 왜 따랐냐”…윤석열 ‘유체이탈’ [2월7일 뉴스뷰리핑]
박지원 “대관아! 이렇게 황망하게 가느냐” 애도
[속보] 검찰, ‘타지마할 외유성 출장’ 의혹 김정숙 여사 무혐의
“더 시추해야” “문재인 때 계획”…국힘, 대왕고래 실패에 당혹
윤석열 “헌재 나가보니 너무 곡해된 것 알겠더라”
그리스 산토리니 비상사태 선포…“열흘간 7700회 지진 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