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쇠붉은뺨멧새는 봄가을 이동 시기에 우리나라를 흔하게 통과하는 나그네새다. 초지나 농경지 주변 잡목림 등 사방이 트인 곳에서 풀씨를 먹을 때 포식자에게 잡히지 않으려고 작은 인기척에도 예민하게 반응한다.
평생 내가 직접 본 새는 모두 몇 종이나 될까 ? 새 사진을 처음 찍은 1996 년부터 새를 찾아다닌 기억을 더듬어봤다 . 국내 조류도감인 <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2022 년 개정증보판 ) 기준에 따르면 한반도에서 기록된 새는 모두 584 종인데 이 중 360 종 정도를 관찰했다 . 봄이면 많은 새가 섬을 징검다리 삼아 먼 거리를 이동한다 . 아직 만나지 못한 새를 보기 위해 2023년 5월2일 섬 탐조 1 번지인 전북 군산시 어청도로 향했다 . 매년 번식과 월동을 위해 이주하는 지구상 9 개의 주요 철새 이동 경로 중 ‘ 동아시아 ~ 대양주 철새 이동 경로’ (EastAsia Australia Flyway) 의 중간쯤 위치한 우리나라에서는 북상하는 여름철새와 나그네새뿐 아니라 길 잃은 새 등 다양한 유형의 새가 관찰된다 .
변화무쌍한 바다 날씨만큼 많은 새가 섬으로 날아들었다 . 비가 내리고 안개가 자욱한 날에는 1 만 마리 넘는 귀제비 , 제비 , 갈색제비 무리가 섬을 가득 메웠다 . 또 뭍에 여름을 전하는 개개비 , 꾀꼬리 , 휘파람새를 포함해 엿새 동안 섬에서 관찰한 새가 무려 102 종이나 됐다 . 예상치 못한 바람과 해무 때문에 배가 뜨지 않아 탐조 기간이 늘어났지만 , 흰등밭종다리와 검은지빠귀 2 종을 ‘내가 본 새’ 목록에 추가할 수 있었다 .
모든 새를 오롯이 혼자 힘으로 찾아낸 것은 아니었다 . 섬에서 새를 관찰하던 사람들 사이에서 귀동냥한 새도 여럿이다 . 또 스스로 동정 ( 생물의 분류학상 소속이나 명칭을 바르게 정하는 일 ) 하지 못한 채 찍어둔 사진을 조류 전문가에게 확인을 부탁해 신원을 밝힌, 낯선 개체도 있었다 .
광고
폐교를 앞둔 어청도초등학교 운동장 잡풀 사이에 숨어 있던 쇠붉은뺨멧새를 지켜보던 ‘ 나 홀로 탐조 ’의 기억도 새롭다 . 이 새는 촉새와 함께 봄에 섬 탐조 때면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종이다 . 작은 인기척에 놀라 먹이 찾기를 중단하고 황급히 도망치던 덩치 작은 새들과 달리, 쇠붉은뺨멧새 한 마리가 좁쌀 같은 꽃이 노랗게 핀 잔개자리 사이에서 살짝 몸을 낮춰 주변을 살피고 있었다 . 운동장에 새를 찍기 위해 낮춘 카메라 삼각대를 최대한 높이고 까치발을 하고서야 풀 사이로 숨은 새가 눈에 들어왔다 . 학교 다니는 아이처럼 숨바꼭질이라도 하려는 걸까 ? 속으로 외쳤다 . “ 못 찾겠다 , 쇠·붉 · 멧 ( 쇠붉은뺨멧새 ).”
사진 · 글 김진수 선임기자 jsk@hani.co.kr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계엄·포고령·국회장악…하나라도 중대 위헌이면 윤석열 파면
아이유, 극우 ‘좌파 아이유’ 조롱에 “감당해야 할 부분”
‘MBC 적대’ 이진숙, 지상파 재허가 심사 강행
“윤석열, 국민 무서운줄 몰라” 시민들, 만장일치 파면 촉구
초등학교서 마시멜로 태우며 화산 실험…14명 병원행
“저희 어무니 가게, 도와주세요” 1억 클릭…거기가 어딥니까
한덕수·최상목·이복현 ‘눈치게임’ 시작 [그림판]
윤석열 운명, ‘헌법 수호 의지·국민 신임’ 두 잣대에 달렸다
이복현 “사의 표명했지만 부총리가 경거망동 안 된다며 만류”
국힘 박충권 “마은혁은 공산주의자” 고함에 몸싸움 직전까지 간 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