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붓던 비가 그치고 해가 난다. 날이 푹푹 찐다. 달아오른 공기 속 물방울이 보이는 거 같다. 장마가 시작됐다.
텃밭 농사꾼에게 장마는 봄철 농사가 마무리됐음을 뜻한다. 이르게는 2월 말에서 3월 초 거름을 넣고 밭을 만드는 것으로 봄철 농사를 시작한다. 봄 농사는 흔히 ‘게을러야 한다’고 한다. 날이 풀려야 작물이 버틸 온도가 되고 때가 돼 심어야 잘 자라기 때문이다. 조금이라도 부지런을 떨었다간 늦서리에 심어놓은 모종이 제명을 다하지 못하기 십상이다.
지난해 봄 농사를 시작할 무렵엔 이런저런 일로 마음이 분주했다. 10여 년째 텃밭의 대소사를 도맡아온 ‘밭장’도 여러모로 농사에 신경 쓸 겨를이 없었다. 잎채소는 부실했고 열매채소는 부족했다. 여름이 다가오면서 잡아주지 않은 풀이 어른 키만큼 자라 엉망이 된 밭을 가을 농사 시작 무렵에야 예초기를 동원해 간신히 정리했다.
올핸 달랐다. 겨울이 채 가기 전부터 자주 만나 막걸릿잔 기울이며 심기일전을 다짐했다. 일찌감치 밭을 만들고 차근차근 씨를 뿌리고 모종을 냈다. 상추 등 쌈채소 모종을 2주 간격으로 세 고랑이나 심었다. 또 한 고랑엔 ‘모둠 쌈채소’ 씨앗 한 봉지를 뿌렸다.
지난 4월 말께 첫 수확을 시작해 6월 말까지 두 달간 물리도록 쌈을 즐겼다. 지난 주말 웃자라 쌉쌀해진 쌈채소 한 고랑을 정리했고, 남은 고랑도 다가오는 주말 정리하기로 했다. 쌈 외에 고수, 쑥갓, 아욱 등 다른 잎채소도 풍성했다. 반 고랑 나마 처음 뿌려본 양배추는 결구(속이 차 포기가 됨)에 실패했지만, 여린 잎 자체로 큰 기쁨을 줬다.
지난해 소홀했던 열매채소도 올핸 다양하게 심었다. 고추는 맵기 정도를 달리하는 것과 멸치와 볶아 먹을 꽈리고추까지 네 종류를 두 고랑 심었다. 한 고랑 심은 가지는 지난주 첫 수확을 했다. 잘 자란 키에 줄기도 나무처럼 단단해져 이대로만 유지하면 찬 바람 불 때까지 수확을 이어갈 수 있을 것 같다. 아직 수확을 시작하지 못한 방울토마토는 초록빛 열매를 주렁주렁 매달고 있어 기대감을 키운다. 고추·가지·토마토는 모두 ‘가지과 작물’이란 공통점이 있다. 연작이 좋지 않다는 말을 들은 언젠가부터 덩굴 채소와 한 해씩 돌려 심고 있다.
잘될 때는 뭐 하나 빠지지 않는다. 올핸 덩굴 채소도 기가 막히게 컸다. 오이는 벌써 3주째 수확했는데, “팔아도 되겠다”는 말이 절로 나온다. 2주 전 수확을 시작한 조선호박은 잎은 쪄 쌈으로, 열매는 숭숭 썬 뒤 새우젓을 곁들여 볶음으로 즐기고 있다. 오이와 호박 곁엔 2m 넘게 세워준 철제 지주대를 타고 작두콩이 씩씩하게 줄기를 뻗고 있다.
오랜만에 뿌린 옥수수 씨앗은 100%에 가까운 발아율을 뽐냈다. 어느새 어른 키보다 크게 자랐고 줄기도 500원짜리 동전만큼 굵어졌다. 아직 꽃대가 올라오지 않는 게 마음에 걸리지만 주말농장의 ‘랜드마크’ 노릇만으로도 종잣값은 너끈하다.
장마가 시작됐으니 잎채소는 끝물이다. 병해만 피한다면 열매채소는 가을까지 버텨줄 터다. 올봄 농사, 이만하면 됐다.
##경기 고양 편글·사진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농사꾼들: 농사를 크게 작게 지으면서 생기는 일을 들려주는 칼럼입니다. 지역이 다른 네 명의 필자가 돌아가며 매주 연재.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덕유산 ‘눈꽃 명소’ 상제루…2시간 만에 잿더미로
체감 -21도 ‘코끝 매운’ 입춘 한파 온다…6일 다다를수록 추워
법치 근간 흔드는 윤석열·국힘…헌재 협공해 ‘불복 판짜기’
도올 “윤석열 계엄에 감사하다” 말한 까닭은
캐나다·멕시코, 미국에 보복 관세 맞불…‘관세 전쟁’
‘오징어 게임2’ 배우 이주실 별세…위암 투병 석달 만에
일본, 1시간 일해 빅맥 두 개 산다…한국은?
기어이 ‘관세 전쟁’ 트럼프의 속내…38년 전 광고엔 대놓고
최상목, 위헌 논란 자초하나…헌재 선고 나와도 “법무부와 논의”
반도체·철강까지 관세폭탄 사정권…한국경제 직격 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