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패잔병의 전리품 ‘개복숭아술’

옥수수, 고추, 오이, 호박, 가지가 초토화된 밭에 주렁주렁 열린 복덩이 개복숭아
등록 2022-08-29 22:15 수정 2022-08-30 17:49
밭 한쪽에 옮겨 심은 개복숭아나무에 열매가 주렁주렁 열렸다.

밭 한쪽에 옮겨 심은 개복숭아나무에 열매가 주렁주렁 열렸다.

올해 농사는 망했다. 옥수수, 고추, 오이, 호박, 가지도. 숨넘어갈 듯한 가뭄에 이어 한 치 오차도 없이 들이닥친 장마를 이기지 못했다. 얼치기 농군이 부지런하기라도 했으면 좋으련만, 주말마다 덥다고 안 가고 비 온다고 안 가고 피곤하다고 안 갔더니 밭이 작살났다. 지금 밭을 지배하는 건 내가 아니라 지긋지긋한 그놈의 풀이다. 이미 이 시대에 한 획을 그은 가수 정태춘은 세상을 바꾸려던 목표를 이루지 못한 자신을 ‘패잔병’이라 불렀다는데, 나는 그깟 잡풀 따위에 무릎 꿇은 패잔병이 됐다.

자책과 원망에 사로잡혀 눈물이 그렁그렁하려는 찰나, 밭 한쪽에 가지마다 주렁주렁 매달린 개복숭아가 내 눈에 들어왔다. 이태 전 밭 옆 야산에 자생하는 큰 개복숭아나무 아래에서 기를 펴지 못하고 어금버금하던 어린 개복숭아 세 그루를 밭에 옮겨 심었더니 쑥쑥 크던 한 녀석이 올해 열매를 풍성하게 맺었다. 구슬땀을 훔쳐가며 수확에 나섰다. 양동이 두 개를 꽉 채울 정도로 많다. 씨알이 나름 괜찮다.

초봄에 너무 많은 열매가 맺혔기에 하나 건너 하나꼴로 솎아내기를 해준 덕이리라. 역시 무슨 작물이든 솎아내기 할 땐 과감해야 한다. 무, 양파, 상추도 씨앗을 뿌린 뒤 순이 촘촘하게 고개를 내밀면 두 눈 질끈 감고 솎아주는 게 좋다. 조금이라도 아깝다고 주저하다간 얼마 못 가 골고루 안 자란 녀석들과 대면해야 한다.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광고

개복숭아술을 담가 거실 한쪽에 잘 놓았다.

개복숭아술을 담가 거실 한쪽에 잘 놓았다.

복숭아는 털 관리를 잘해야 한다. 촉감이 까끌까끌할뿐더러 잘 닦아내지 않으면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집에 와서 부엌 개수대에 부으니 꽉 찬다. 주방세제를 뿌린 뒤 계속 뒤집어가며 굴려준다. 깨끗한 물로 서너 번 헹구고 물이 빠지도록 둔다.

동네 마트에서 사온 담금주는 이미 개복숭아를 영접할 채비를 끝냈다. 지지난해까진 흑설탕 혼자 개복숭아를 맞아 효소가 됐고, 지난해엔 절반을 담금주에 내줬다. 그리고 넉 달 뒤 나는 수렁에 빠지고 말았다. 세상에 이토록 그윽한 향을 품은 술이 있단 말인가. 코끝을 쓱 훑고 지나가는 이 깊은 내음을 도대체 어쩌면 좋단 말인가. 나는 단 술을 좋아하지 않는다. 금방 질리는 탓이다. 그런데 설탕 한 꼬집도 넣지 않은 개복숭아술에선 있는 듯 없는 듯 은은한 단맛과 향이 난다. 연한 붉은색의 자태는 또 얼마나 매력적인가. 올해 흑설탕 대신 25도짜리 담금주만 10만여원어치 산 까닭이다. 개복숭아나 매실처럼 수분 함량이 적고 단단한 과일은 알코올 도수가 낮은 술에, 복분자나 딸기처럼 말랑말랑하고 수분이 많은 과일은 높은 도수 술에 담그는 게 좋다.

거실 한쪽에 자리잡은 개복숭아술 담금통을 볼 때마다 올해 가을과 겨울 저녁이 전례 없이 풍족하리라는 기대가 샘솟는다.

광고

글·사진 전종휘 <한겨레> 기자 symbio@hani.co.kr

*주말농장을 크게 작게 하면서 생기는 일을 들려주는 칼럼입니다. 김송은 송송책방 대표, 이아롬 프리랜서 기자, 전종휘 기자가 돌아가며 매주 연재.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광고

4월3일부터 한겨레 로그인만 지원됩니다 기존에 작성하신 소셜 댓글 삭제 및 계정 관련 궁금한 점이 있다면, 라이브리로 연락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