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광기가 갑질하는 세상, 책을 읽자

등록 2014-07-18 15:51 수정 2020-05-03 04:27
1

1

이런 게 운명일까. 늦은 밤, 만리재 기슭의 신문사 건물에 앉아 이 글을 쓰면서 문득 그런 생각이 든다.

고등학교 때 친구들이 내게 미래의 꿈을 물으면, 나는 미욱한 사람답게 애매하게 답하곤 했다. “그냥 양옆에 책을 잔뜩 쌓아두고 뭔가를 쓰고 있지 않을까. 그게 소설이든 뭐든 말이야.” 역시 그 무렵이었을 것이다. 안양천 건너 구로공단의 동시개봉 극장에서 본 ‘방화’(邦畵)에서 기자라는 직업을 만난 것은. 영화에서 기자는 베이지색 바바리코트 깃을 세워 바람을 막고, 시외버스를 타고 다녔다. 사람들을 만나 무언가를 묻고, 또 무언가를 향해 떠나는 막연한 뒷모습에 막연한 동경을 품었던 것 같다.

소설가가 되지는 못했지만, 어찌어찌 기자가 되었고, 또 어쩌다보니 책팀에 오게 되어 “양옆에 책을 잔뜩 쌓아두고 뭔가를 쓰고 있”으니 이만하면 꿈이 이뤄진 것일까.

출판계에 와보니 불황이라고 아우성이다. 책 발행도 줄고 소비는 더 줄었다. 책을 읽지 않는 시대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이제 ‘조·중·동’은 더 이상 책 읽자는 말을 하지 않는다. 거실을 서재로 바꾸자며 무슨 새마을운동처럼 캠페인을 벌이던 신문은 이제 더 이상 책이 우리의 미래라는 말을 하지 않는다. 요즘 대학생들이 책을 읽지 않는다며 때만 되면 늘어놓던 잔소리도 사라졌다.

한때 경쟁적으로 ‘북섹션’을 만들며 독서운동에 뛰어들었던 이들 신문의 현재 북섹션은 초라하기 짝이 없다. 일주일에 2~3개 면이 고작이다(는 7개 면, 은 5개 면이다). 혹시 이들은 알아버린 게 아닐까. 출판시장, 특히 인문·사회 분야(때로는 과학 분야도 포함해서)의 책은 자신들과 코드가 맞지 않는다는 것을. 사람들이 책을 읽을수록 자신들의 적이 늘어나리라는 것을.

그러므로 책은, 역설적으로 우리가 붙들어야 할 마지막 보루요 요새가 아닐까. 이성보다 광기가 갑질을 하는 세상에서 기어코 살아남아 인간 구실을 하려면 책을 붙들 수밖에 없다. 해마다 해오던 여름휴가철 책 특집을 소개하면서 너무 거창한 화두를 꺼낸 건 아닐지 쑥스럽다.

퇴계 이황은 장인에게서 1만 권의 책을 물려받은 아버지 이식 덕분에 어려서부터 책에 둘러싸여 살았다고 한다. 그러나 구양수의 삼다(다독·다작·다상량) 가운데 게걸스럽게 읽는 다독보다는 정독과 숙독을 더 중히 여겼다 한다. 무조건 ‘많이’ 읽기보다는 ‘잘’ 읽어야 뼈가 되고 살이 된다는 얘기다.

불황이라고 해도 매주 내 책상에는 적게는 60~70권, 많게는 100여 권의 책이 쌓인다. 이 가운데 독자에게 소개할 만한 책은 10~20%에 지나지 않는다. 여기 소개하는 11권의 책은 가 매주 골라낸 책 중에서도 지난 1년치를 통틀어 다시 골라낸 책들이다. 취향에 맞는 책을 골라 정독 혹은 숙독해보시기 바란다. 당신이 광기의 급류에 휩쓸려 떠내려갈지 모를 때, 손 내밀어 잡을 수 있는 정신적 노끈이 되어줄 것이다.

이재성 문화부 책지성팀장 san@hani.co.kr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