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활동시 불가피하게 따르는 민간인 피해를 이르는 ‘부수적 피해’라는 미국 군사용어를 확장해 현대사회 전반을 진단했다. ‘부수적’이라는 말 속에 도사리는 ‘고의는 아니다’라는 무책임함은 사회문제의 본질을 희석하며, 권리와 기회에 이미 존재하는 불평등을 암묵적으로 가정한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비정규직과 더불어 대표적인 사회적 약자로 언급되는 ‘을 중의 을’, 특수고용노동자들에 대한 르포르타주. 대표적 특수고용직인 화물트레일러 기사나 학습지 교사부터 다소 낯선 프랜차이즈 헤어숍 디자이너와 채권추심원까지, 11명의 특수고용노동자들을 밀착해서 인터뷰하고 글과 사진으로 기록했다. 그들은 묻는다. “우리는 왜 노동자가 아닌가요?”
현대 인도 사회에서 실천된, 또는 실천되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정치적 변혁운동을 소개하는 책. 카스트제도 등의 오랜 악습과 식민 잔재에 급격한 자본주의 경제 이식에 따른 부작용으로 신음하는 인도를 배경으로, 억압받던 기층 민중, 하위 주체, 즉 서발턴(Subaltern)이 주축이 되어 전개한 대안적 사회운동들과 그 부침을 그려 보인다.
저자는 ‘가상현실’과 ‘사이보그’로 대변되는 현대 과학기술의 도전 앞에서, 오랜 세월 동안 과학과 격리돼온 인문학으로 ‘기술권력’을 제어할 새로운 윤리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한다. 무엇을 위한 과학기술인가? 기술 발전의 대가로 치러야 하는 희생 제물은 무엇인가? 이런 질문을 ‘테크노 인문학’의 이름으로 과학기술에 던져야 한다는 것이다.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쓰고 코치하고 끼어들고…곽종근 나오자 분주해진 윤석열
안희정 쪽 ‘피해자 괴롭히기’ 끝나지 않았다
윤건영 “경호처 ‘생각우체통’ 민원 80%가 김성훈 차장 비리”
140억배럴 산유국 ‘헛꿈’…석유·가스 개발 “원점 재검토해야”
윤석열 ‘대왕고래’ 8달 만에 실패…산업부 “경제성 없다”
최상목 “가로 3번 접혔다”는 계엄 문건…대통령이 준 걸 안 봤다?
[영상] 국힘 강선영 “야!”…국민 듣는데 동료 의원에 폭언
[단독] 이진우, 윤석열 폭음 만찬 직후 ‘한동훈’ 검색…11월 계엄 준비 정황
‘김건희 리스크 궁지’ 10월 계엄군 선발…“장기집권 계획 가능성”
[단독] 내란 군 수뇌부, 설날 ‘떡값’ 550만원씩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