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1~5권〉
출판시장에서 한국사를 꼼꼼하게 정리한 교양서는 세계사나 그리스·로마 신화 등을 말하는 책보다 그 수가 적다. 이런 가운데 한국사 식견을 깊이 하겠다 마음먹은 독자에게 하나의 선택지가 더 생겼다. 1~5권은 1993년 3권으로 나온 를 전면 개정한 것이다. 각 분야의 전문가 17명은 좌나 우에 치우치지 않은, 건강한 관점으로 역사 서술을 시도했다.
〈21세기 지식인의 길, 육두피아〉
신라의 육두품은 신라 후반의 정치적 혼란과 골품제의 모순을 맹렬하게 비판한 이들이다. 지은이 정영훈은 이 시대의 육두품은 누구일까 고민한다. 그에 따르면 바쁜 일상에 쫓기며 살아도 공동체의 미래를 위해 묵혀두었던 개혁 의지를 다시 꺼내들 수 있는 이들이다. 최치원, 최승우, 정몽주, 정약용, 이익, 신채호, 사마천, 토머스 모어 등 우리나라와 동서양 각 시대의 ‘육두품’들을 역사에서 불러내 대담하며 이 나라의 미래를 함께 고민한다.
〈김상곤, 행복한 학교 유쾌한 교육 혁신을 말하다〉
과열한 경쟁과 억압이 횡행하는 교실은 학생들에게 감옥이다. 이에 김상곤 경기도 교육감은 ‘교육혁신 화두 3제’(혁신학교·학생인권·학생복지)로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꾸겠노라 말한다. “아이들을 한 줄로 해서 뛰게 하면 거기엔 당연히 한 줄로 서열이 생길 수밖에 없다. …그런데 아이들을 둥그런 원 안에서 출발해 360도 방향 어디든 자기가 원하는 방향으로 뛰게 한다면 자기의 소질과 소양에 따라 자기가 잘할 수 있는 방향으로 뛰게 될 것이다.”
〈게이컬처홀릭〉
게이의, 게이에 의한, 모두를 위한 책이 나왔다.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가 게이문화 안내서를 펴냈다. 한국 최초로 동성애 문화 전반을 다룬 이 책에는 음악·영화·패션 등 다양한 장르가 포함됐다. 의 이송희일 영화감독, 김도훈 기자 등 필자들이 남성동성애자 특유의 문화를 소개한다. 여기에 게이 100여 명이 참여한 설문조사도 담겨 있다. 동성애 문화 여행을 떠나는 당신을 위한 안내서다.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계엄·포고령·국회장악…하나라도 중대 위헌이면 윤석열 파면
‘MBC 적대’ 이진숙, 지상파 재허가 심사 강행
아이유, 극우 ‘좌파 아이유’ 조롱에 “감당해야 할 부분”
한덕수·최상목·이복현 ‘눈치게임’ 시작 [그림판]
“저희 어무니 가게, 도와주세요” 1억 클릭…거기가 어딥니까
초등학교서 마시멜로 태우며 화산 실험…14명 병원행
세상의 적대에도 우아한 68살 배우 “트랜스젠더인 내가 좋다”
부산 남구 6급 공무원, 계엄 옹호 의원·국힘 비판했다 중징계 위기
케이블타이에 감긴 기자, 입 열다…계엄군 “가져와” 하더니 [영상]
4·2 재보선 최종 투표율 26.55% 잠정 집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