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자살 유족의 자살률, 22.5배 높다…교통사고 유족보다도 3배

등록 2023-08-19 00:34 수정 2023-09-19 07:05
정부가 제5차 자살예방기본계획을 확정한 지난 4월 서울 마포대교 위에 SOS 생명의 전화 안내판이 설치돼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제5차 자살예방기본계획을 확정한 지난 4월 서울 마포대교 위에 SOS 생명의 전화 안내판이 설치돼 있다. 연합뉴스

자살 사별 경험은 개인의 정신건강과 자살행동에 유의미한 변수가 된다. 실제로 2022년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진 교수 연구팀은 자살사망자의 유족 자살률이 일반인구 집단보다 20배 이상 높다는 연구결과를 얻었다. 국내에서 모든 자살사망자와 그 유족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는 이 연구가 처음이다.

이 결과는 국제학술지 <정신의학 프런티어스>에 2022년 10월 발표됐다. 유족 범위는 배우자, 부모, 형제자매, 자녀로만 한정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과 통계청 자료를 이용해 2008~2017년 자살사망자 13만3386명과, 비자살사망자 가운데 연령·성별을 일대일로 무작위 할당했다. 그 뒤 자살 유족 42만331명과 비자살 유족 42만978명을 대조해 두 집단의 자살률을 비교했다. 자살 유족의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586명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일반인구 자살률인 인구 10만 명당 26명보다 22.5배 더 높은 수치다. 특히 남편을 잃은 부인의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2457명으로, 일반인구 자살률과 견주면 94.5배 더 높았다.

또 자살과 교통사고를 경험한 유족의 자살률을 비교해보니, 자살 유족이 자살로 숨진 비율이 약 3배 더 높았다. 교통사고 사망은 ‘갑작스러운 죽음’이라는 점에서 자살 사망과 공통점이 있다. 자살 유족이 자살로 사망하는 비율은 전체 사망 원인 가운데 15.5%였다. 반면 교통사고 사망자의 유족이 자살로 숨진 비율은 5.7%, 자살이외 사망자 유족인 경우는 5%였다.

가족 구성원이 자살로 사망한 뒤 남은 유족이 자살하기까지 기간은 평균 25.4개월이었다. 남편이나 자녀를 잃은 여성의 경우 평균 2년 미만이었고, 자녀와 형제자매, 아버지를 잃은 경우는 3년이었다. 연구팀은 “가족이 자살한 시점부터 2~3년 동안은 자살 위험이 높기 때문에 적극적인 치료 개입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서혜미 기자 ham@hani.co.kr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으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 자살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 전화하면 24시간 전문가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