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이산하 시인의 22년만의 시집 <악의 평범성>

“악의 비범성이 없는 것이 악의 평범성”
등록 2021-02-13 16:13 수정 2021-02-18 23:08

“혓바닥을 깨물 통곡 없이는 갈 수 없는 땅/ 발가락을 자를 분노 없이는 오를 수 없는 산/ (…)/ 오늘도 잠들지 않는 남도 한라산/ 그 아름다운 제주도의 신혼여행지들은 모두/ 우리가 묵념해야 할 학살의 장소이다/ 그곳에 뜬 별들은 여전히 눈부시고/ 그곳에 핀 유채꽃들은 여전히 아름답다/ 그러나 그 별들과 꽃들은/ 모두 칼날을 물고 잠들어 있다”(이산하, 시집 <한라산> 서시 중에서)

군부 독재 시절이던 1987년 3월, 한 편의 서사시가 한국 사회를 발칵 뒤집어놓았다. 4·3 제주 항쟁의 역사적 정당성을 외치고 군경의 참혹한 양민학살을 적나라하게 폭로한 ‘한라산’. 시에는 ‘불온’ 딱지가 붙었고, 시인은 국가보안법으로 옥고를 치렀다. 한동안 펜이 꺾였던 시인 이산하는 12년 뒤 <천둥 같은 그리움으로>를 발표했으나, 다시 오랫동안 침묵했다. 안으로 더욱 단단하고 깊어지는 성찰의 시간이었다. 그렇게 벼린 22년이 지나, 시인이 세 번째 시집 <악의 평범성>(창비 펴냄)을 내놨다.

시인은 “약 40년이나 시를 썼지만/ 아직도 내 언어의 날에는 푸른빛이 어리지 않았다”(‘푸른빛’ 중에서)고 했다. 그러나 직설과 은유가 교차하는 이번 시들도 여전히 시퍼런 날이 섰으되, 행간의 사유가 뭉근하고 정직해서 더 아리다. “꽃이 대충 피더냐/ 이 세상에 대충 피는 꽃은 하나도 없다/ 꽃이 소리 내며 피더냐/ 이 세상에 시끄럽게 피는 꽃은 하나도 없다/ (…) / 이 세상의 모든 꽃은/ 언제나 최초로 피고 최후로 진다”(‘나에게 묻는다’ 중에서)

시인은 표제시 연작에서, 5·18 광주항쟁과 세월호 참사 희생자를 조롱하고 희화화하는 이들이 “모두 한번쯤 옷깃을 스쳤을 우리 이웃”이라며 “가장 보이지 않는 범인은 내 안의 또 다른 나”(‘악의 평범성 1’)라고 경계한다. “악의 비범성이 없는 것이 악의 평범성이다/ 우리의 혀는 여기서 한 치도 벗어나지 않았다”(‘악의 평범성 2’)는 것이다.

2016년 겨울부터 이듬해 봄까지 이어진 ‘촛불 시위’ 이후에 대해서도 비판적이거나 비관적이다. “아날로그 촛불은 자기 온몸을 태우고 녹지만/ 디지털(LED) 촛불은 장렬하게 전사할 심지와 근육이 없다/ (…) / 그래서 낮 촛불이 타오를수록 더욱 슬프다”(‘촛불은 갇혀 있다’ 중에서)

시인이 시집 맨 말미에 또 한 편의 시처럼 붙인 말은 잠들지 않는 각성이자 강렬한 경구로 읽힌다.

“자기를 처형하라는 글이 쓰인 것도 모른 채/ 봉인된 밀서를 전하러 가는 ‘다윗의 편지’처럼/ 시를 쓴다는 것도 도시의 빈소에/ 꽃 하나 바치며 조문하는 것과 같은 건지도 모른다/ 22년여 만에 그 조화들을 모아 불태운다/ 내 영혼의 잿더미 위에 단테의 <신곡> 중 이런 구절이 새겨진다/ “여기 들어오는 자, 모든 희망을 버려라”/ 내 시집에는 ‘희망’이라는 단어가 하나도 없다”

조일준 기자 iljun@hani.co.kr

21이 찜한 새 책

동물을 위해 책을 읽습니다

김보경 지음, 책공장더불어 펴냄, 1만3천원

우리가 사랑하고 먹고 입고 즐기는 동물과의 올바른 관계 맺기를 이야기하는 책. 동물 학대는 “저항할 수 없고, 신고할 수도 없는 무고한 존재에게 폭력을 가하고 타자의 감정을 무시하는 법을 학습하는 과정”이라고 질타한다. “동물이 그들의 자리에서 안전해야 인간도 안전할 수 있다.”

병명은 가족

류희주 지음, 생각정원 펴냄, 1만7천원

정신과 전문의가 많은 환자 관찰을 토대로 정신질환과 가족의 상관관계를 설명한다. 알코올 의존, 거식증, 공황장애 등 현대인의 정신질환은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뿐 아니라 ‘가족’ 관계에서도 비롯한다. 가족이 때론 정신건강의 족쇄가 되지만 치유의 힘 역시 가족에 있다.

보부아르, 여성의 탄생

케이트 커크패트릭 지음, 이세진 옮김, 교양인 펴냄, 2만8천원

페미니즘의 고전 <제2의 성>에서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되는 것이다”라고 갈파한 철학자 시몬 보부아르(1908~1986)의 일생을 조명한 평전. 장 폴 사르트르와의 전위적 사랑, 조국 프랑스의 국가폭력에 대한 저항, 여성/남성을 넘어 자기 자신이 되기까지 불꽃 같은 삶이 펼쳐진다.

쌀 재난 국가

이철승 지음, 문학과지성사 펴냄, 1만7천원

사회학자인 지은이가 한국의 불평등 문제를 ‘쌀, 재난, 국가’라는 세 가지 열쇳말로 분석하고 해법을 모색한다. 고대국가 시기부터 지금까지 동아시아의 쌀 경작 문화권에서 형성되고 발달한 사회 제도와 습속이 지금의 위계와 불평등 구조를 어떻게 형성했는지 추적하는 접근이 독특하고 흥미롭다.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