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신혼집은 물론 직장까지 모두 정리하고서 남해로 이주했지만, 여전히 도시에 남은 것이 하나 있다. 바로 가족을 비롯해 그동안 쌓아온 다양한 관계다. 새로 알게 된 사람 몇몇을 제외하면 여전히 남해는 별다른 연고가 없는 낯선 지역일 뿐이다. 가족과 친구 등 실제 더 많이 교류하는 사람은 대부분 남해보다는 서울 등 수도권에 거주해, 부부의 영수증을 정리하다보면 이주 뒤 ‘관계 비용’이 적잖이 고민된다.
이주하기 전에도 경조사나 친지들과의 만남 비용이 가계부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긴 했다. 외식이나 쇼핑을 하는 일이 드물고, 동네에서 자전거를 타거나 도서관 가는 게 제일 좋아하는 취미였으니, 단둘이 생활하는 데 돈이 적게 드는 편이었다. 대신 명절이 끼어 있거나 지인 결혼식, 각종 모임이 있는 달이면 평소와 다르게 한 달 지출을 훌쩍 넘기는 일이 많았다.
물리적으로 같은 도시에 살면서 관계를 유지하는 데 드는 비용과, 멀리 떨어져 살면서 관계를 유지하는 데 드는 비용의 차이는 컸다. 서울에서 살 때는 약속 시각을 정해 만나고 헤어지면 그만이었지만, 남해로 이주한 뒤에는 장거리를 오가는 데 여러 비용이 더해져, 만남의 즐거움보다 만남에 드는 비용에 부담감이 앞서는 때가 많았다.
시골에서 적게 벌고 적게 쓰겠다는 우리 부부의 계획은 여기서 또 한 번 틀어져버렸다. 먼 거리 탓에 그동안 맺은 사회적 관계는 아주 홀쭉해졌다. 그런데도 서울과 남해를 오가야 하는 일이 생각보다 자주 찾아왔다. 생활비를 아껴보려고 매일같이 노력하다가도, 서울에 한 번 다녀오면 말짱 도루묵이었다. 남해에서 서울까지 한 사람 편도 버스비는 3만4900원. 일주일에 2만원으로 부부의 식탁을 차려도 충분했는데, 둘이 함께 버스를 타고 서울에 다녀오면 왕복 교통비가 한 달 식비를 훌쩍 넘겼다. 그동안 장바구니 앞에서 알뜰살뜰 고심해왔던 것이 한순간에 무색해진다.
먼저 귀촌한 몇몇 친구에게 이런 속사정을 털어놓으면 대부분 명절이든 친지 결혼식이든 굳이 먼 길을 나서 찾아가지 않은 지 이미 오래됐다고 했다. 그런 단호함이 부럽기도 하지만, 다른 방법은 없을지 고민이 깊어진다. 어떻게 하면 경제적 부담이 앞서지 않으면서도 소중한 사람들에게 마음을 표현하고 관계를 이어갈 수 있을까.
한번은 이런 일이 있었다. 가까운 지인이 서울에서 결혼식을 앞두고 있었는데, 우리 부부는 이미 서울을 몇 번 오간 터라 몹시 지쳐 있었다. 그래서 얼마간의 축의금과 함께 평소 주고 싶었던 책, 직접 만든 장식품과 편지를 신혼집에 소포로 보냈다. 그것을 받은 친구의 마음은 어떤지 알 수 없지만, 불편함을 안고서 억척스레 식장에 가기보단 작은 소포에 온전히 친구를 축하하는 마음만을 담아 보낼 수 있어서 좋았다. 하지만 여전히 어떻게 관계에 ‘비용’을 들이는 대신 다른 ‘방식’을 더할 수 있을지 잘 모르겠다. 나날이 작지만 다른 틈을 계속 찾아가다보면, 우리가 바라는 시골살이와 어우러지는 관계맺음의 방식을 발견할 수 있을까.
글·사진 권진영 생활인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마은혁 불임명 위헌여부 판단, 핵심증인 신문…윤 탄핵 재판 분수령
윤석열·전광훈이 이끄는 극우 정당, 국힘 하기에 달렸다
도올 “윤석열 계엄에 감사하다” 말한 까닭은
휴일 없이 하루 15시간씩, 내 살을 뜯어먹으며 일했다 [.txt]
경찰, 김성훈·이광우 구속영장 검찰 또 반려에 “수사 방해”
일본, 1시간 일해 빅맥 두 개 산다…한국은?
덕유산 설천봉 명소 ‘상제루’, 1시간50분 만에 잿더미 됐다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주말 ‘윤석열 탄핵’ 10만 깃발…“소중한 이들 지키려 나왔어요”
민주 “국힘, 탄핵 불복 빌드업 즉각 중단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