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한뼘에 삼라만상이 담겼네

과학지식과 생태철학이 융합된,

데이비드 조지 해스컬의 <숲에서 우주를 보다>
등록 2014-07-11 16:51 수정 2020-05-03 04:27

한 남자가 테네시주 산악지대의 오래된 숲에 앉아 있다. 동이 트고 1시간이 지난다. 물음표 끝 같던 노루귀의 닫혔던 꽃봉오리가 열린다. 또 1시간이 지난다. 노루귀의 줄기가 곧게 펴진다. 이제는 물음표가 아니라 느낌표다. 다시 1시간이 지난다. 줄기가 뒤로 기울고 위로 들린다. 갈겨쓴 필기체처럼 변한다. 개화다.

청교도 단풍나무, 횡재한 개미…

아주 작은 땅에서도 생물의 대하드라마가 펼쳐진다. 〈숲에서 우주를 보다〉는 지름 1m의 작은 공간에서 벌어지는 1년간의 이야기를 모았다. 탁기형 선임기자  khtak@hani.co.kr

아주 작은 땅에서도 생물의 대하드라마가 펼쳐진다. 〈숲에서 우주를 보다〉는 지름 1m의 작은 공간에서 벌어지는 1년간의 이야기를 모았다. 탁기형 선임기자 khtak@hani.co.kr

노루귀의 개화를 본 그날의 기다림은 3시간이었으나, 가을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가 울듯 이 남자는 겨울부터 이곳을 드나들었다. 테네시주 시워니대학의 생물학 교수인 데이비드 조지 해스컬은 캠퍼스 내에 위치한 산, 그중 오래된 숲에 지름 1m 약간 넘는 원을 그린다. 그는 한 해 동안 이곳을 관찰하기로 한다. 아무것도 죽이지 않고 어떤 생물도 옮기지 않고. 그는 이 공간을 ‘만다라’라고 칭한다. (노승영 옮김, 에이도스 펴냄, 2만원)는 데이비드 조지 해스컬의 만다라 1년 관찰기다.

‘만다라’란 삼라만상이 담긴 우주다. 동양철학에 해박한 그가 이 공간을 만다라라 칭한 것은 겉멋이 아니다. 노루귀가 개화한 3월13일을 지나 4월22일이 되면 단풍나무와 히코리나무 꽃의 절정을 이룬다. 이 나무 꽃들의 섹스는 꿀과 색깔이 넘쳐나는 일 없이 청교도적이다. 한해살이가 곤충의 눈과 혀를 유혹해야 했지만 이들은 바람이면 된다(만다라는 진화의 갈래가 풍성하다). 나무 그늘에 개화하고 열매를 맺은 노루귀에는 개미 한 마리가 다가간다. 노루귀 열매 끝의 흰색 꼭지에는 엘라이오솜이 있다. 노루귀가 개미를 위해 준비한 별미로 온갖 영양분이 집결돼 있다. 횡재한 개미는 이것을 보금자리로 낑낑거리며 가져가고 못 먹는 씨는 퇴비 더미에 버린다. 발아하기에 가장 최적인 곳에 씨는 자리잡게 된다(만다라에서는 서로를 필요로 한다, 전략적이고 치밀한 방법으로). 최근 마디개미가 외국에서 유입됐는데 이 개미 역시 엘라이솜에 유혹된다. 하지만 마디개미는 씨를 전파하는 데는 젬병이라 씨는 원주인, 그러니까 어미 근처에 머물게 된다. 어미와 자식의 생존경쟁이 시작되는 것이다. 비극은 자식이 종종 패한다는 것(만다라는 가차 없는 생존의 장이다).

책 역시 과학지식과 생태철학과 시적 표현이 융합된 장이다. 저자는 눈(雪)을 보며 자신이 보지 못한 것을 남들이 보게 한 케플러의 통찰을 이야기하고, 식물이 겨울을 나는 일을 칼을 삼키는 묘기에 비유한다. 사슴의 반추위를 이야기하며 반추위와의 평화를 깬, 미생물 조력자를 압살해야 고기를 얻는 목축업에 분노한다.

당신도 당신의 만다라를 만나라

김성호 교수의 이 있고, 미국 생태주의 작가 바버라 킹솔버의 등 차곡차곡 쌓는 방식의 기록들이 있다. 이 책은 무엇보다 ‘자극적’이다. 이정모 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은 이렇게 말한다. “어느 날부턴가 안산과 자락길이 새롭게 보이기 시작했다. …낯선 해변이나 사바나를 탐험하는 게 아닌데도 매일 새로운 자연을 관찰하게 되었다. 이 작은 숲이 내게는 하나의 우주가 된 것이다. 안산은 원래 그대로지만 내가 변했다.” 당신도 당신의 만다라를 만나라.

구둘래 기자 anyone@hani.co.kr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