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 수확을 마치고 나니 굳이 밭에 갈 일이 사라졌다. 날이 추워지기도 했고 바쁜 일이 겹치기도 해서 3주간 진부에 가지 않았다. 본격적으로 추워지기 전에 물탱크의 물도 비우고 배추밭의 비닐도 벗겨버리고 나름 겨울날 준비를 해놓고 오기도 했다. 올여름엔 거의 매주, 못해도 2주에 한 번씩은 다녔던 터라 이젠 좀 맘 놓고 쉬자 싶기도 했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음식물쓰레기(음쓰) 처리.
제1455호 농사꾼들에 썼듯이, 나는 음쓰를 모아 밭에서 퇴비를 만들고 있다. 처음엔 흙 한 켜, 음쓰 한 켜 번갈아 통에 담았는데, 매번 밭에서 흙을 퍼오는 것이 번거롭고 음쓰통도 무거워 다른 방법을 찾았다. 다이소에서 물 배출 구멍이 있는 5천원짜리 양동이 두 개를 샀다. 음쓰 담고 퇴비 제조용 미생물 분말 가루를 뿌려두면 발효 과정에서 물이 생기는데, 물 배출 구멍으로 빼준다. 이건 희석해 액비로도 쓸 수 있다는데 따로 모으는 게 일이라 그냥 버린다. 이런 식으로 음쓰를 가득 채워두면 썩지 않고 시큼한 냄새를 풍기며 발효된다. 이렇게 만드는 걸 ‘보카시 퇴비’라고 한단다.
보통 2주간 두 통을 채워 밭에 갈 때 가져가 나무 패널(팔레트)로 만든 퇴비장에 버리고 흙으로 덮는다. 지천으로 널린 풀을 마구 뽑아 덮기도 한다. 이렇게 해두고 2주 뒤 와보면 쌓였던 흙더미가 쑥 주저앉아 있다. 음식물이 분해되면서 양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사실 냉장고에서 이미 반쯤 썩은 채소를 넣기도 하고, 짠 음식을 헹궈 넣기도 하고, 고양이가 토한 사료도 넣고 하여간에 썩을 것 같은 물질은 다 넣어 가져다 버리는데 이게 과연 퇴비가 될까 의구심이 들기도 했다. 지난가을 수확을 마친 밭에 퇴비장의 퇴비를 섞어보기로 했다. (이게 무엇이든 간에) 더 많은 흙과 섞이면 낫겠지 싶었다.
삽으로 위쪽에 쌓인― 그러니까 최신의― 퇴비를 옆으로 걷어내고 중간 지점부터 퍼서 외발수레에 담았다. 두 삽쯤 뜨고 비명을 내질렀다. 흙 속에 바글바글한 지렁이가 삽날에 끊어졌기 때문이다. 조심한다고 될 일이 아닐 정도로 음쓰였던 흙에 지렁이가 많았다. 퇴비가 될까 싶었는데 아주 잘되고 있었다. 이때부터 확신을 가지고 음쓰 퇴비화에 더 열을 올렸다. 커피찌꺼기, 과일씨앗 한 알까지 ‘모으면 양분’이라는 생각으로 음쓰통에 차곡차곡 모으고 있다.
밭에 못 간 지 3주가 되니, 음쓰통 두 개는 꽉 찼고, 따로 모은 채소 껍질이 비닐봉지에 가득 찼다. 지난 토요일 바람도 쐴 겸 당일로 진부에 다녀왔다. 엄마가 우리 옆 묵은 밭에 나물이 있을 거라며 신이 나 동행했다. 이상고온이 계속되는 겨울 초입, 밭은 봄날처럼 따뜻했다. 나는 음쓰통을 비우고 마른풀을 모아 잘 덮어줬다. 엄마는 기어이 달맞이 꽃대를 한 봉지 뜯어 무쳐 먹을 생각에 입맛을 다셨다.
안다. 자연의 순환이라 해도 음쓰를 버리기 위해 150㎞를 달려가는 게 환경에 더 악영향을 미친다는 걸. 내가 한 주에 2~3ℓ쯤 음쓰를 버리지 않아도 거대한 음쓰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는 걸. 그래서 꿈꾼다. 모두가 다섯 평쯤 텃밭을 끼고 사는 세상을. 자기가 만든 쓰레기는 스스로 순환할 수 있는 환경을. 도시를 벗어나 멀리 갈수록 땅은 많고 사람은 드물다. 수도권에 아파트 공급만 늘리지 말고 저 넓은 땅을 어떻게 활용해볼 수는 없을까.
글·사진 김송은 송송책방 대표
*농사꾼들: 농사를 크게 작게 지으면서 생기는 일을 들려주는 칼럼입니다. 지역이 다른 네 명의 필자가 돌아가며 매주 연재.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계엄의 밤, 사라진 이장우 대전시장의 11시간…“집사람과 밤새워”
28시간 만에 시민들이 뚫었다...트랙터 시위대, 한남동 관저로 [영상]
[단독] 노상원 ‘사조직’이 정보사 장악…부대 책임자 출입도 막아
“안귀령의 강철 같은 빛”…BBC가 꼽은 ‘올해의 이 순간’
롯데리아 내란 모의…세계가 알게 됐다
조진웅 “내란수괴가 판칠 뻔… 진정한 영웅은 국민들”
‘28시간 경찰 차벽’ 뚫은 트랙터 시위, 시민 1만명 마중 나왔다
“역시 석열이 형은 법보다 밥이야”…모두가 행복했을 텐데
공조본, 윤석열 개인폰 통화내역 확보…‘내란의 밤’ 선명해지나
술자리 잦은 연말, 심장은 박자를 잃는다? [건강한겨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