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그 말은 ‘인종주의’입니다, 정확하게 말해요

정회옥 교수 <한 번은 불러보았다>, 예술사회학자 이라영 <말을 부수는 말>
등록 2022-10-11 17:36 수정 2022-10-13 08:48

‘흑인들은 동양인보다도 미련하고 흰 인종보다는 매우 천한지라.’ 1897년 6월24일 <독립신문>에 실린 사설의 일부다. 흑인을 열등한 존재로 간주한 서양의 차별적인 시선이 국내 언론 기사에도 그대로 녹아 있다. 한 세기가 훌쩍 지났다. 지금의 한국은 어떨까.

‘흑형’.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이 단어는 얼핏 흑인에게 친근감을 드러내는 단어처럼 보인다. 그러나 <한 번은 불러보았다>(위즈덤하우스 펴냄)의 저자인 정회옥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흑형’이 흑인을 지칭하는 인종차별적 표현이라고 지적한다. 흑인을 독립된 개인이자 인간으로 보는 대신 ‘운동 잘하는 집단’이나 ‘음악적 재능이 있는 집단’ 등으로 간주하는 것은 일종의 편견이다. 단적으로 ‘황형’ ‘백형’이라는 단어가 없지 않나. ‘흑형’은 국가인권위원회에서도 혐오표현이라고 적시했다.

저자는 “한국인에게는 인종 콤플렉스가 있다”고 주장한다. 인종이 대화 주제로 나오는 것을 꺼리는 동시에 내심 사람들을 인종적으로 위계화하는 것, ‘한국식 인종주의’다.

‘흑형’처럼 우리 사회에 인종차별이 여전함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단어가 있는가 하면, 권력관계를 그대로 드러내는 표현도 있다. 흔히 예술가의 작업이 얼마나 어려운지 보여줄 때 ‘창작의 고통’이라고 표현한다. 반면 ‘노동의 고통’이라는 표현은 낯설다. 예술사회학 연구자 이라영은 <말을 부수는 말>(한겨레출판 펴냄)에서 “창작과 노동이 사회에서 가지는 위상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고통의 표현이 때로 그 고통을 권력으로 바꾸”는 지점이다.

책은 고통부터 아름다움까지 21가지 화두를 통해 ‘권력의 말’과 이에 맞서는 ‘저항의 말’을 분석한다. 이를테면 ‘젠더 갈등’이라는 표현은 성차별을 은폐하는 권력의 언어다. 마땅히 ‘성차별’이라고 명명해야 할 상황에서 등장한 ‘젠더 갈등’이라는 언어는 억압과 차별이라는 개념을 갈등이나 갈라치기로 표현해 오직 양성의 대립 구도만 있는 듯한 착시효과를 만들어낸다.

저자의 바람대로 권력의 말을 부수는 저항의 말이 더 많이 울리는 사회가 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저항의 언어’는 정확한 언어에 가깝다. 정확하게 말하려고 애쓴다는 것은 권력이 정해준 언어에 의구심을 품는다는 것이다.”

류석우 기자 raintin@hani.co.kr

21이 찜한 새 책

민트 돔 아래에서

송경화 지음, 한겨레출판 펴냄, 1만5800원

“여기 정치부야. 보이는 대로 막 다 취재하는 곳 아니야.” 사회부에서 특종을 연달아 터뜨린 송가을이 이번엔 정치부에 발을 디뎠다. 한층 성숙해진 송가을은 욕망이 넘실대는 여의도에서 어떤 기사를 써내려갈까. <고도일보 송가을인데요>를 통해 초짜 기자의 성장기를 그려낸 송경화 기자의 후속작.

에브리-바디

올리비아 랭 지음, 김병화 옮김, 어크로스 펴냄, 1만7800원

낙태의 자유가 철회되고 게이가 수용소에 갇힌다. 20세기의 위대한 해방운동이 실패하는 것처럼 보였을 때 지은이는 철학자이자 정신분석가 빌헬름 라이히를 떠올렸다. ‘몸’ 자체를 이해하고 싶었던 라이히를 안내자로 삼아 신체적 자유를 제약하는 힘을 이해하기 위한 여정에 나선다.

땅은 잘못 없다

신민재 지음, 도서출판 집 펴냄, 2만2천원

조각난 땅에도 집을 지을 수 있을까. 자투리땅에 생긴 건물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각각의 사연을 지닌 ‘얇은 집’엔 도시 변화의 물결이 새겨져 있다. 1970~1980년대 고도성장기에 유년기를 보낸 젊은 건축가가 직접 관찰하고 분석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60여 개의 ‘얇은 집’ 이야기를 묶었다.

잠자는 숲속의 소녀들

수잰 오설리번 지음, 서진희 옮김, 한겨레출판 펴냄, 1만9천원

스웨덴에서만 169명의 아이가 수년째 잠에 빠져 깨어나지 못한 ‘체념증후군’. 유독 망명을 원하는 가족의 자녀들에게서 나타났다. 영국의 저명한 신경과학자가 스웨덴을 포함해 니카라과와 카자흐스탄 등에서 심인성 장애를 겪는 공동체를 기록했다. 설명할 수 없는 고통에 관한 이야기.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