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은 혁명이다. 블록체인은 ‘플랫폼’의 존재 이유에 근본적 의문을 제기한다. 서비스와 재화를 매개하는 플랫폼을 건너뛰고, 개인끼리 직접 거래(P2P)하자고 말한다. 개인 간 거래 증명은 블록체인 알고리즘이 맡는다. 이 시스템을 돌리는 데는 거대한 컴퓨팅 자원이 들어간다. 슈퍼컴퓨터나 서버 대신 개인은 자신의 자원, 즉 PC나 휴대기기 등을 시스템의 일부로 제공한다. 이 노드(개인)들이 얽히고설켜 거대한 분산 시스템을 이룬다. 플랫폼을 쥔 주인이 없기에 누군가 시스템에 개입하거나 남용할 여지도 줄어든다. 자원을 제공하는 개인은 그 대가로 가상화폐를 받는다. 대표적인 게 비트코인이다. 플랫폼 없는 P2P 거래, 말하자면 네이버 없이 뉴스를 읽고 은행 없이 돈거래를 하자는 거다. 인터넷 탄생 이래 이런 혁신이 있었던가.
블록체인은 거품이다. 적어도 지금 상황은 그렇다. 현재 블록체인을 말하는 이들은 혁신적 시스템 위에 새로운 서비스를 얹는 데는 큰 관심이 없어 보인다. 대부분은 시스템의 부산물인 ‘○○코인’ 몸값에만 촉각을 곤두세운다. 이 코인은 안전장치가 없다. 널뛰기하는 몸값에 편승해 치고 빠지기식 투기만 난무한다. 세상에 없던 서비스를 만들기보다 가상화폐공개(ICO)로 목돈을 끌어모을 것에 골몰한다. 지금 블록체인과 비트코인을 칭송하는 이들에게선 혁신이 아니라 흑심만 보인다.
한쪽에선 새로운 시도도 보인다. ‘시빌’(Civil)이 그렇다. 시빌은 블록체인 기반 뉴스 플랫폼이다. 시빌에선 언론사 사주도, 광고국도 없다. 데스크와 기자로 이뤄진 전통 편집국 조직도 없다. 이를테면 오픈마켓이다. 기자와 독자가 기사를 매개로 거래할 수 있게 돕는 곳이다. 누구든 기자로 등록해 기사를 올릴 수 있다. 독자는 기사를 보고 마음에 들면 가상화폐 ‘CVL 토큰’으로 기사를 구입해 읽는다. 거래 정보는 해당 기사 블록체인에 저장되고, 일정 수수료를 떼고 기자에게 지급된다.
시빌은 기자와 독자를 매개할 뿐 기사 내용에는 개입하지 않는다. 기사 정보가 개별 단말기(노드)에 저장돼 있으므로, 한쪽에서 임의로 내용을 수정할 수도 없다. 특정 자본이나 정치적 입김이 개입할 여지를 시스템 안에서 차단해버린 것이다. 저널리즘 자문위원회와 팩트체커도 따로 두고 있다. 기사 거래와 구독을 결합한 수익모델도 블록체인과 가상화폐로 자연스레 해결했다. 시빌은 최근 500만달러(약 56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2018년 초 공식 출범할 예정이다.
중국 스타트업 ‘에너고랩스’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개인 간 전력 거래를 할 수 있는 P2P 에너지 거래 시스템을 만들었다. 분산형 자율 에너지 커뮤니티를 만들어, 이들이 자체 생산해 쓰고 남은 전력을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에서 개인끼리 거래하도록 한 것이다. 한국저작권위원회는 저작권료 정산·분배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 중이다. 거래 참여자 모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고 거래될 때마다 이를 대조해서 데이터 위조를 막고 거래 투명성을 보장하자는 취지다.
블록체인은 민주적 디지털 시스템이다. 그 명제가 증명되려면 현실에 먼저 적용돼야 한다. ‘블록체인=투기판’이란 등식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 이는 가설일 뿐이다. 분산형 거래 시스템, 이를 구현할 광장을 도모할 때다. 비즈니스야 ‘업계’ 몫이라 쳐도, 공익 플랫폼을 도모하는 일에 분산된 우리 지혜를 모아볼 순 있지 않겠는가. 그것이 플랫폼이 저물고 ‘연결’이 지배하는 시대를 준비하는 우리의 자세다.
이희욱 편집장 asadal@bloter.net전화신청▶ 02-2013-1300 (월납 가능)
인터넷신청▶ http://bit.ly/1HZ0DmD
카톡 선물하기▶ http://bit.ly/1UELp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