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주 전 칼럼에서 나는 아래와 같은 가설을 세웠다.
‘~하는 대신’은 원래는 ‘~하는데, 그 대신’(이하 1번 뜻)의 뜻이었으나 번역가들이 영어 ‘instead of ~ing’를 ‘~하는 대신’으로 번역한 탓에 ‘~하는 대신’의 뜻이 ‘~하지 않고서’(이하 2번 뜻)로 변질되었다.
가설을 뒷받침하기 위해 한자 문화권인 중국과 일본의 사례를 찾아보았다. 중국어 번역가 K씨에게 영어 문장에 ‘instead of ~ing’가 나오면 중국어로 어떻게 번역하느냐고 물었더니 그는 ‘与其~不如~’(~하느니 ~하는 것이 낫다)로 한다고 답변했다. 중국어에서 ‘대신’에 해당하는 단어는 ‘代替’인데 명사만을 취할 뿐 한국어처럼 ‘~하는 대신’의 뜻으로 쓰이는 용례는 찾지 못했다. 한편 일본어의 ‘する代(か)わりに’는 ‘~하는 대신’의 뜻인데 사전의 용례는 모두 1번 뜻이었다. 일본어 번역가 S씨에게 K씨에게와 같은 질문을 던졌더니 일본어에서는 ‘~する代わりに’ 또는 ‘~しないで’(~하지 않고서)로 번역한다고 했다. 그렇다면 일본어도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번역 때문에 뜻이 변질된 것 아닐까?
그런데 한국어 문법론을 전공한 경희대 한국어학과 이선웅 교수에게 문의했더니 오히려 2번 뜻이 기본적인 뜻이고 그로부터 1번 뜻이 파생됐을 수도 있다는 답변을 주었다. 그러면서 이 문제를 정확히 해결하려면 문헌의 용례를 찾아보라고 조언했다.
1890년에 출간된 최초의 영한사전인 언더우드의 (영한사전과 한영사전 합본)에서는 ‘instead’를 ‘신’(‘대신’의 고어)으로 풀이했다. 따라서 그 영향을 받기 이전의 용례에서는 ‘대신’을 1번 뜻으로만 쓰다가 영한 번역이 활발히 이루어진 뒤에 2번 뜻이 등장했으리라고 추측할 수 있다. 그래서 코퍼스 언어학 전문가인 서울대 국문학과 박진호 교수의 도움을 받아 문헌을 검색했다. 신소설 에 나오는 “내가 이것을 써쥬 신에 너도 쳥을 아 드러주어야지”(내가 이것을 써주는 대신 너도 내 청을 하나 들어주어야지)라는 문장은 나의 추측을 뒷받침했다. 그런데 16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의 한국어 문헌에서 ‘신’이 쓰인 문장은 1898개인데, ‘관형어 + 대신’의 구조로 이루어진 문장 7개 중에서 5개는 1번 뜻으로 볼 수 있으나 1898년자 에 실린 “젼 현감 황긔인은 중역 신에 류 으로 봉지다”(전 현감 황기인은 무거운 노동형을 하는 대신 귀양 보낼 취지로 임금의 뜻을 받들어 시행하였다)는 2번 뜻, 즉 ‘instead of ~’의 뜻으로 쓰였다.
최초의 영한사전이 출간된 지 8년 만에 ‘대신’의 뜻이 변질된 것일까? 최종 판단을 내리려면 20세기 문헌을 검색하면서 추이를 분석해야 할 텐데, 생계형 번역가에게는 무리다. 일단 앞의 문헌 자료를 http://socoop.net/instead/에 올렸으니 관심 있는 독자는 도전해보시길.노승영 생계형 번역가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윤 대통령, ‘김건희 파우치’ 박장범 KBS 사장 임명안 재가
“명태균에 아들 채용 청탁…대통령실 6급 근무” 주장 나와
“국민 요구 모두 거부하니”…서울 도심서 ‘윤 대통령 거부’ 행진·집회
‘미국 최고 의사’ 84살 김의신 “암에 좋은 음식 따로 없어, 그 대신…”
‘54억 래커 피해’가 뭐길래…갈등 부추기는 동덕여대 보도
탄두가 ‘주렁주렁’…푸틴이 쏜 ‘개암나무’ 신형 미사일 위력은
읽고 쓰고 살고…86살 ‘활자 청춘’ “텍스트힙이 뭐지요?” [.txt]
“대통령 술친구 이긴 ‘김건희 파우치’…낙하산 사장 선임은 무효”
법원, KBS 박장범 임명 효력정지 가처분신청 기각
‘1호 헌법연구관’ 이석연, 이재명 판결에 “부관참시…균형 잃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