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예리하고 우아한 어떤 ‘인식’

아직 밝혀지지 않은 실존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은희경의 새 장편
<태연한 인생>
등록 2012-07-06 16:49 수정 2020-05-03 04:26

문학작품에는 몇 가지 가치가 있으며 이를 각각 인식적·미학적·정서적 가치로 명명해볼 수 있다고 다른 지면에 적었는데, 이 가치들의 우열관계가 시대별로 어떻게 변동하는지를 통시적으로 언급하지는 못했다. 거칠게 말하자면 이렇다. 어떤 시대에 사람들은 소설로 세계를 ‘인식’하는 방법을 배우려고 한다. 그 시대가 저물면 그 반작용처럼 소설의 ‘미학’적 본질에 관심을 기울이는 때가 온다. 그런가 하면 요즘처럼 멘토·공감·힐링 등의 어휘가 유행하는 시절에는 소설도 그런 ‘정서’적 맥락에서 많이 읽힌다. 이런 식으로 그 상대적 우열관계가 변하며 소설의 특정 가치는 주목되거나 간과되거나 한다.

어디까지나 상대적으로 그렇다는 것을 전제하고 하는 얘기지만, 근래 한국 소설에서 인식적 가치는 다른 가치들에 비해 힘을 잃은 듯이 보인다. 그런 상황이 조금 답답하던 차에 읽은 은희경의 새 장편 은 우리가 사회학·심리학·철학 등에서 기대하는 것과는 다른 종류의 인식에 자주 힘있게 도달해서 인상적이다. 밑줄을 치고 싶은 문장이 많다는 정도의 얘기가 아니다. 물론 이 소설에는 그런 문장이 무수히 많으며 그것은 그 자체로 미덕이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인식’을 ‘생산’해내는 데 성공했느냐 아니냐에 걸려 있다. ‘인식의 생산’이 없는 아포리즘의 수명이 짧다는 것을 이 작가는 잘 안다.

밀란 쿤데라는 3장에서 이런 말을 한다. 중년의 나이쯤 되면 특정한 단어가 각자의 사전에서 서로 전혀 다른 것을 의미하게 된다는 것. 그래서 그는 ‘이해받지 못한 말들의 조그만 어휘집’이라는 부제하에, 자신이 창조한 주인공들이 특정 단어를 어떻게 달리 이해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등장인물들의 성격을 구축해낸다. 어떻게 보면 전체가 ‘가벼움과 무거움’이라는 어휘를 각자 달리 이해하고 살아내는 인간(삶)의 몇 가지 유형을 보여주기 위해 씌었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것은 소설이 인식을 생산해내는 방법의 한 사례다.

은희경의 이번 소설의 두 중심인물인 ‘류’(여)와 ‘요셉’(남)에게도 각자를 위한 열쇳말들과 그 은유적 대응물이 배당돼 있다. ‘류’의 경우 열쇳말은 ‘고통과 고독’이고, 그의 은유체계는 ‘영화적’(극장과 배우)이다. 류의 서사는 부모의 첫 만남에서부터 결혼 생활의 파국과 그것이 그녀에게 끼친 영향을 순차적으로 기술하는 방식으로 씌었다. 부모의 삶을 통해 타인 있는 삶의 고통과 타인 없는 삶의 고독을 함께 배운 류가 그 두 함정 사이의 좁은 길을 걷는 모습을 작가는 시종 담담히 관찰한다. 이런 방식의 서술은, 우리 삶의 어떤 영역이, 이미 결정된 극장에서 특정한 배역을 떠맡는 것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성찰하게 한다.

‘요셉’의 경우 열쇳말은 ‘패턴과 고유성’이고, 그의 은유체계는 ‘소설적’(플롯과 인물)이다. 패턴을 따르는 삶은 따분한 플롯과 진부한 인물로 이루어진 소설을 닮는다는 것, 집단의 패턴에 맞서 개인의 고유성을 사수해야 한다는 것. 류와는 달리 요셉은 자신의 이런 열쇳말로 세계의 여러 인식의 문을 거침없이 열어젖힌다. 작가가 주인공인 소설에 질색하는 독자가 적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고 그럴 만하다고도 생각하지만 이 소설은 다르다. 상상력의 빈곤을 작가의 일상사로 대체하지 않는다. ‘패턴과 고유성’에 대한 인식을 생산해내는 데에 소설가라는 직업의 은유체계가 효율적이기 때문에 선택된 것이다.

둘 중 한 인물을 실제 작가와 동일시하고 싶은 유혹을 받게 되는 소설이다. 그러나 작가는 가끔 류의 열쇳말로 요셉의 삶을 열어보기도 하고 요셉의 은유체계로 류의 삶을 이해하기도 하며 균형을 잡는다. 요셉의 목소리가 통렬하게 독자를 압도하지만 류의 침묵에 더 귀기울일 독자도 있을 것이다. 두 인물 모두 작가의 일부이겠지만 어떤 인물도 완전히 그녀와 일치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시 쿤데라를 인용하자면, 소설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실존의 어떤 가능성”을 탐구해보는 장소다. 소설은 실험실이고 작가는 실험한다. 그리고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그 실험 보고서의 인식적 가치다. 은희경의 이번 보고서는 예리하고 우아하다.

문학평론가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