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진수 선임기자
“미국에서 추진하는 학자금 부채 탕감 정책은 ‘투자’로 보는 게 맞죠.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예요.”
2022년 10월27일 서울 관악구 한 카페에서 만난 이정우 전 한국장학재단 이사장(2018~2021년)의 말이다. 그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인당 최대 1만달러(약 1330만원) 학자금대출을 탕감하겠다고 발표한 것과 관련해 “뭔가 대책 강구가 필요한 문제였다”고 말했다. “미국 학자금대출은 우리나라보다 훨씬 심각한 사회문제입니다. 몇 년 전에도 미국 학자금대출 연체율이 14%였어요. 우리나라는 2%대(2021년 기준)니까 훨씬 심하죠.”
이정우 전 이사장은 ‘소득분배론’을 연구한 경제학자(경북대 명예교수)다. 참여정부 때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냈고, 한국장학재단 이사장으로 재직하며 저소득층 학생 지원에 집중했다. 한국장학재단은 ‘경제적 여건과 관계없이 누구나 고등교육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설립 취지에 맞춰 국가장학금·학자금대출·생활비대출 등 다양한 사업을 운용한다.
광고
경제적 여건에서 비롯한 교육 불평등, 이로 인한 빈부격차 악화에 관심이 많은 그는 경북대 교수일 때 불과 5점 차이로 성적장학금을 못 받게 된 저소득층의 뛰어난 학생을 위해 학교와 싸우기도 했다. “교육경제학에서 ‘장학금’을 누구에게 줘야 하느냐, 그런 연구가 있어요. 메리트베이스트(Merit-based·성적장학금)가 맞느냐 니드베이스트(Need-based·저소득층장학금)가 맞느냐. 장학금은 니드베이스트가 맞아요. 실제로 미국 장학금은 가난한 학생 위주로 줍니다. 성적은 별로 안 봐요.”
2009년 설립된 한국장학재단의 역할이 커지면서, 서민·중산층 대학생 약 100만 명이 평균 등록금 절반 이상을 국가장학금으로 지원받는 수준까지 왔다. 그래서 이 전 이사장은 당장 ‘학자금 부채 탕감’을 주장하는 것은 조심스러워했다. “탕감해주면 (대출을) 성실히 갚아온 사람은 억울할 수 있잖아요. 기본소득 같은 방식으로 ‘청소년 모두에게 얼마씩 주겠다. 빚을 갚아야 하는 사람은 빚 갚는 데 쓰라’고 하면 억울한 사람 없이 할 수 있겠죠.”
이 전 이사장은 한국도 “학비가 비싼 영미형(고등교육 모델)을 탈출해 무상 고등교육을 지향하는 유럽 쪽으로 가는 게 이상적”이라고 말했다. “유럽 쪽은 대학 등록금 부담이 없죠. 그런데 우리는 영미형이에요. 유럽형으로 가려면 예산이 많이 필요한데 우리 국민은 조세저항이 너무 심해요. 여야 할 것 없이 세금 깎아준다고 하고, 그럼 국민은 당장은 좋아하죠. (무상교육이나 증세가 안 되는 건) 정치인들 책임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손고운 기자 songon11@hani.co.kr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단독] 이재명 항소심 재판부, 대법원 최신판례로 무죄 선고했다
“민주당이 뭘 해줬나”…이재명, ‘경선 투표율’ 비상 호남서 총력전
유언대로 소박한 교황의 관, 6㎞ 마지막 길…영원한 안식에 들다
민주 경선 호남 투표율 53%…이재명 득표율은 4년 전보다 ‘껑충’
“한덕수 출마 언짢나”…안철수 O, 김문수·한동훈·홍준표 X
전광훈 “2년 안에 윤석열 대통령 복귀” “국힘에 희망이 있어 보이나”
간부 딸 결혼식서 ‘꽃가마’ 들었다…코레일 직원들 가마꾼 동원 논란
이란 항구 대규모 폭발 최소 516명 다쳐
전 세계 애도 속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미사 엄수…영면하소서
김계리 “윤상현 개XX, ‘내가 윤심이다’ ‘윤어게인 적통이다’ 이 지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