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욕망을 버리려고 물건까지 버려야 할까. 2021년 진짜 신박한 정리를 제안한다. ‘마인드 미니멀리즘’이다. 나를 파괴하는 욕망, 욕구, 습관, 집착 따위는 2020년에 묻어두자. 기자들도 소소한 실천을 해봤다. 육식, 플라스틱 빨대, 하루 한 잔의 술, 게임 현질(아이템을 돈 주고 사는 것), 배달음식을 버렸다. 정말로 버리니 비로소 보이는 것이 있다. 버리는 것은 끝없는 투쟁이라는 사실. _편집자주
‘하루 한 잔’은 아마도 대학 시절부터의 버릇인 것 같다. 세상 물정 모르던 고등학생은 대학에 들어가자마자 술의 마력에 빠져들었다. 맥주 1ℓ를 겨우 마시던 형편없는 주량이었고, 선배들의 폭압적인 술 강요에 시달렸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그게 그리 고통스럽지 않았다. 시위를 마치고 난 저녁, 선후배들과 둘러앉아 한 잔 마시며 하루의 무용담을 떠들어대는 일도 즐거웠다. 수업은 밥 먹듯 빼먹었지만, 술자리는 별로 빼먹은 기억이 없다.
‘하루 한 잔’이란 버릇을 고질로 만든 것은 신문사였다. 취재원과의 술자리를 권장하고 낮술을 책망하지 않는 관대한 음주 문화가 ‘하루 한 잔’을 단단히 뿌리내리게 했다. 기분 좋게 마감하고 퇴근길에 들르던 단골 맥줏집이나 긴 야근을 마친 새벽에 야근자들끼리 모여 마시던 서울 청진동 같은 곳은 내 청춘의 주요 무대였다. 코로나 시대에도 재택근무 뒤 어스름에 한 캔 까먹는 재미는 여전히 달콤하다.
그러나 새해엔 달라지려고 한다. 누군가 그랬다. 늙은 주당의 행복은 세 가지에서 나온다고. 술 한 잔 살 돈과 술 한 잔 함께 마실 벗, 그리고 가장 중요한, 술 한 잔 마실 ‘건강’에서 나온다고 말이다. 늙은 주당으로서의 행복을 위해 오랜 고질이자 즐거움을 잠시 버리고자 한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휴대전화 화면에 뜬 이 문구 앞에서 또 망설인다. 색깔별로 퍼즐을 모아 터뜨리며 미션을 달성하는 게임이다. 2년 전 시작한 이 게임에서 내 레벨은 4600이다. 미션 4600개를 달성했다는 뜻이다. (이렇게 꾸준히 뭐라도 했더라면, 흠흠.) 게임은 텔레비전을 볼 때, 퇴근길에, 기사가 잘 안 써져 멍때리고 싶을 때 한다. ‘레벨 컴플리티드’(레벨 달성)라는 단어는 매혹적이다.
게임은 게임이고 문제는 현질(아이템을 돈 주고 사는 것)이다. 라이프(생명)를 소진한 뒤 게임을 이어가려면 코인을 사야 한다. 라이프 5개 얻기 위해 필요한 코인은 25개. 코인 40개를 사려면 2500원, 125개는 5900원, 코인 25개보다 125개를 사는 게 ‘합리적’이다. (물론 사지 않는 게 가장 합리적이다.) 살 것인가 말 것인가 고민하면, 귓가에 음악이 들리는 것 같다. “따단딴 따단딴 따단딴 딴따다단.” 그리고 나 홀로 ‘인생극장’을 찍는다. ‘그래, 결심했어. 커피 한 잔 값에 스트레스가 풀린다면 사도 돼’ ‘아니야, 하루 한 번씩만 사도 한 달이면 15만원이야’라며.
합리화와 ‘합리적 선택’ 앞에 망설이다 지난 주말 또 세 번이나 결제하고야 말았다. 12월에 결제한 금액을 찾아봤다. 1만원, 2만원, 3만원…. 세다가 그만뒀다. 더 세면 스트레스 받을 것 같아서. 스트레스 풀려다가 스트레스 받을 현질은 그만해야지. 티끌 모아 티끌이라지만, 2021년엔 현질 할 돈 모아 아이패드 사야지.
장수경 기자 flying710@hani.co.kr
*[새해 결심 실천편] 2021년에는 버리자, 이 습관 ① 에서 이어집니다.
http://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49714.html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덕유산 ‘눈꽃 명소’ 상제루…2시간 만에 잿더미로
체감 -21도 ‘코끝 매운’ 입춘 한파 온다…6일 다다를수록 추워
법치 근간 흔드는 윤석열·국힘…헌재 협공해 ‘불복 판짜기’
도올 “윤석열 계엄에 감사하다” 말한 까닭은
캐나다·멕시코, 미국에 보복 관세 맞불…‘관세 전쟁’
‘오징어 게임2’ 배우 이주실 별세…위암 투병 석달 만에
일본, 1시간 일해 빅맥 두 개 산다…한국은?
기어이 ‘관세 전쟁’ 트럼프의 속내…38년 전 광고엔 대놓고
최상목, 위헌 논란 자초하나…헌재 선고 나와도 “법무부와 논의”
반도체·철강까지 관세폭탄 사정권…한국경제 직격 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