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응모하기 : https://url.kr/na1e2j (구글 폼에서 응모)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2023년 계묘년(검은 토끼의 해)이 밝았습니다. 새해만큼은 지난날의 과오와 아픔을 잊고 새롭게 거듭나기를 바라봅니다.
올해도 설 특대호에서 여러 가지 선물 꾸러미와 함께 퀴즈큰잔치를 이어갑니다. 설과 한가위, 1년에 두 번씩 독자에게 고마운 마음을 담아 드리는 선물입니다.
2022년 설 특대호와 한가위 특대호에 이어 이번에도 응모 방식이 조금 달라졌습니다. 종이 엽서는 없어졌으니, 잡지 어디에 엽서가 끼워져 있는지 찾지 않으셔도 됩니다.
상당수의 경품은 정기구독자만 응모할 수 있습니다. 6개월 이상 <한겨레21>을 정기구독한 독자는 제한 없이 모든 경품에 응모할 수 있습니다(경품을 추첨한 뒤 정기구독 여부를 확인하니 구독자 이름으로 응모 부탁드립니다).
이번에도 어김없이 자동차 선물이 나갑니다. 행운의 주인공은 현대자동차 캐스퍼를 선물로 받습니다. 요즘처럼 미세먼지가 심각한 때 여러분 주변의 공기를 맑게 해줄 가전제품 LG 에어로퍼니처도 독자를 기다립니다. 더플라자 뷔페와 SK 상품권, 흑삼정, 캠핑용품 등 총 17가지 선물을 141명에게 드립니다.
퀴즈 응모 기한(1월31일)까지 새롭게 <한겨레21> 구독을 신청하는 정기구독자(1년 이상 정기구독 의무, 중도 해지 불가능)나 아직 정기구독을 시작한 지 6개월이 되지 않은 독자를 위한 선물도 준비했습니다.
새로 단장한 <한겨레21> 누리집(h21.hani.co.kr) 열혈 이용자, 매주 수요일 낮 12시 전자우편으로 배달되는 뉴스레터 ‘썸싱21’ 구독자, 독자오픈채팅방 ‘한겨레21 독자들과 함께’ 가입자를 위한 선물도 준비했으니 지면을 꼼꼼히 확인하신 뒤 응답해주세요!
퀴즈 정답은 ‘구글 폼(form) 설문지’에 입력하면 됩니다.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주소(https://url.kr/na1e2j)에 접속하시면 됩니다. 본문의 정보무늬(QR코드)로 들어오셔도 됩니다.

본문 하단에 있는 퀴즈 고개를 넘으면 17가지 상품을 받을 대상자가 되실 수 있습니다. 첫 번째 고개의 힌트는 <한겨레21> 지난 표지들입니다. 2022년 한가위 직후 발간된 제1430호부터 가장 최근에 나온 제1446호까지 17개의 <한겨레21> 표지를 죽 늘어놓으면 정답이 보입니다. 제목(큰 글씨 기준)에 두 번씩 들어간 명사가 세 개 있습니다. 두 번째 고개는 <한겨레21> 기자들이 출제한 사지선다형 문제입니다. 역시 최근 발간된 <한겨레21> 기사들에 정답이 숨어 있습니다. 응모 기한은 1월16일부터 1월31일까지 16일 동안입니다. 정답률이 높은 분이 우선 추첨 대상자가 됩니다. 당첨자는 <한겨레21> 제1450호와 2월10일 누리집에서 발표합니다. 문의사항은 전자우편(han21@hani.co.kr)으로 보내주세요.<한겨레21> 퀴즈 출제위원회
첫 번째 고개- 그동안 표지 제목에 두 번씩 나온 단어는?!

[문제] 2022년 한가위 직후 발간된 제1430호부터 가장 최근에 나온 제1446호까지 17개의 <한겨레21> 표지를 죽 늘어놓으면 정답이 보입니다. 제목(큰 글씨 기준)에 두 번씩 들어간 명사가 세 개 있습니다. 셋 다 두 글자입니다. 아래 ○○에 들어갈 단어는 무엇일까요?
[정답] 정답은 ○○와 ○○, ○○입니다.
두 번째 고개- 정답은 <한겨레21> 제1430호~제1446호에 있어요
1. 2022년 10월 농민들이 ‘이것’의 시장가격이 1977년 이후 최대로 하락해서 손해를 많이 봤다고 합니다. 농민들은 ‘이것’의 하락 조짐이 1년 전부터 나타났는데 정부가 손 놓고 있었다며 대책 마련을 요구하기도 했는데요. 우리가 주식으로 먹기도 하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제1433호 참조)
① 밀 ② 보리 ③ 귀리 ④ 쌀
2. 영국은 2018년부터 ‘외로움부’ 장관을 임명하고 사회적 ○○ 문제를 국가 차원에서 대응하고 있습니다. <○○의 시대>란 책을 펴낸 영국의 정치학자 노리나 허츠 역시 외로움이 사회적 문제임을 인식하고 “○○될수록 포용적인 민주주의를 연습할 기회가 줄어든다”고 말했습니다. ○○에 들어갈 말은 무엇일까요? (제1434호 참조)
① 고독 ② 고립 ③ 고사 ④ 고양
3. ‘○○발자국’은 지구를 아프게 합니다. 개인 또는 단체가 직간접으로 발생시키는 온실기체의 총량으로, 지구의 미래를 위해 반드시 줄여야 합니다. 핀란드의 한 연구팀이 2022년 9월 공기를 미생물에게 먹여 만든 ‘공기단백질’의 시판 승인을 받았습니다. 공기단백질의 ○○발자국은 실제 고기의 100분의 1에 불과해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에 들어갈 말은 무엇일까요? (제1438호 참조)
① 질소 ② 산소 ③ 미소 ④ 탄소
4. 2022년 11월30일 모로코 라바트에서 열린 유네스코 회의에서 북한의 신청에 따라 무형문화유산에 오른 한반도의 음식은 무엇일까요? 이 음식은 놋그릇에 메밀국수를 담아 고기와 김치, 채소, 과일 등 고명을 얹은 뒤 시원한 고깃국물이나 동치미국물을 부어 만듭니다. (제1441호 참조)
① 함흥냉면 ② 해주냉면 ③ 평양냉면 ④ 진주냉면
5. 국민 주거복지 향상과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설립된 국토교통부 산하 공기업으로, 국내 유일의 주택보증 전문기관인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영문 약자는 무엇일까요? 주거약자를 따뜻한 마음으로 껴안겠다는 의미입니다. (제1445호 참조)
① PUG ② BUG ③ HUG ④ RUG
6. 추운 날이면 생각나는 간식 ○○빵이 요즘 인기입니다. 밀가루, 콩기름, 팥 등의 가격이 오르면서 ○○빵 가격도 많이 올라 ‘금○○’라는 이야기까지 나옵니다. 길거리 음식 위치를 알려주는 애플리케이션(앱) ‘가슴속3천원’에 접속하면 ○○빵을 찾는 게 수월하다고 합니다. ○○에 들어갈 말은 무엇일까요? (제1443호 참조)
① 피자 ② 생선 ③ 크림 ④ 붕어
7. ‘지구’라는 주제로 공모를 받은 2022년 제14회 손바닥문학상에는 대상 1편과 우수상 2편 등 모두 3편이 선정됐습니다. 다음 중 제14회 손바닥문학상 수상작이 아닌 것은 무엇일까요? (제1444호 참조)
① 우주를 방랑하는 유서가 되어 ② 카스피주엽나무
③ 홀수 인간 ④ 짝수 인간
8.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면서 집값이 전셋값보다 떨어지는 ‘○○주택’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집값보다 높은 전세보증금을 받아 가로채는 전세사기도 퍼져 세입자의 주의가 요구됩니다. ○○에 들어갈 말은 무엇일까요? (제1445호 참조)
① 거품 ② 깡통 ③ 공동 ④ 견본
9. 에너지 빈곤층의 냉난방 비용을 지원하는 에너지○○○ 제도가 있지만 지원 대상이 한정돼 있습니다. ○○○의 대상은 생계·의료급여 수급 가구 가운데 노인, 장애인, 영유아, 임산부, 중증·희귀·중증난치 질환자, 한부모가정, 소년소녀가장이 포함된 가구인데요. ○○○ 안에 들어갈 말은 무엇일까요? (제1442호 참조)
① 도우미 ② 사우나
③ 바우처 ④ 중개사
10. 2022년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전쟁이 해를 넘겨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제사회의 예상을 깨고 우크라이나의 항전을 성공적으로 진두지휘하면서 리더십을 재평가받는 우크라이나의 코미디언 출신 대통령은 누구일까요? (제1446호 참조)
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② 블라디미르 제트스키
③ 블라디미르 푸틴 ④ 페트로 포로셴코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방어막 찢고 수직하강 ‘북극 한파’…2월에도 급습할까
부처간 조율조차 않고 발표했다 철회…‘비동의 강간죄’ 뭐길래
사슴 사라진 작은 섬, 늑대는 ‘해달’ 먹고 버텼다
김여정 “미 주력탱크 불타 파철더미 될 것”…우크라 지원 규탄
‘미스터 션샤인’ 유진 초이 실존인물 유해, 100년 만에 고국으로
통학 버스선 무조건 마스크…실내 합창·응원때도 ‘착용 적극 권고’
혈당·혈압 낮추려면…60분 주기 “NO”, 30분마다 5분씩 걸어라
한라산에 눈 53㎝ 쌓였다…강한 ‘급변풍’ 불면서 또 결항 속출
‘완판’ 언급에 김건희 여사 “비싼 옷도 못 사 입는데…”
윤 대통령 친분 ‘천공’, IPTV 진출 노렸으나 결국 무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