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책 속의 책] 죽지도 사라지지도 않는 노예상인


서구 다국적기업의 호황 속에 빈곤으로 죽어가는 제3세계 <빼앗긴 대지의 꿈>
등록 2010-07-03 15:03 수정 2020-05-03 04:26
〈빼앗긴 대지의 꿈〉

〈빼앗긴 대지의 꿈〉


장 지글러 지음, 양영란 옮김, 갈라파고스 펴냄, 1만2800원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그건 결코 식량이 모자라서가 아니다. 2008년 4월까지 유엔 인권위원회와 인권이사회 식량특별조사관으로 일했고 지금은 이사회 자문위원인 장 지글러(76)는 2000년에 낸 책에서 자신의 체험을 토대로 그 이유를 실감나게 설명했다. 2007년 말에 번역돼 나온 그 책의 후속작 에서 지글러의 문제의식은 더 깊어졌고 서방의 신자유주의 폭주에 대한 비판의 강도도 더욱 높아졌다. 2008년에 쓴 은 더 절박하다. 원제(‘서양에 대한 증오’)가 말해주듯 이 책에서 지글러는 서방의 과오가 자체 교정 불능의 지경에 이르렀으며 마침내 광범위한 저항을 부를 것이라고 경고한다.

비아프라 사태를 조종한 석유재벌들 

1960년대 후반 아프리카 비극을 상징했던 비아프라 사태. ‘비아프라 내전’이란 말이 더 귀에 익은 그 비극이 단순한 내전이 아니라 실은 서방 석유재벌의 이권 다툼에서 촉발되고 영국·프랑스 정부까지 개입한 20세기형 노예무역 전쟁이요, 식민지 쟁탈 전쟁이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런던과 셸이 지원한 나이지리아 군부 매판세력, 파리와 엘프아키텐이 민 또 다른 매판세력 간의 제국주의 대리전쟁. 30개월이나 지속된 그 전쟁으로 200만 명이 죽고, 수백만 명이 사지 절단 등의 부상을 당했으며, 수백 개의 도시와 마을이 불탔다. 그러곤 그 다국적 석유재벌들끼리 화해하고 다시 석유와 가스를 나눠먹기로 했고 그것으로 비아프라 독립을 내건 전쟁도 끝났다.

그렇게 해서 나이지리아는 지금도 셸과 브리티시피트롤리움(BP), 셰브런, 토탈, 엑손, 엘프아키텐, 아지프 등 서방 석유재벌들이 은밀하게 동의하지 않으면 1966년부터 계속되는 군부통치 맹주들도 선거 한 번 치를 수 없고(이 선거조차 철저히 사전에 밀약한 각본대로 치러지는 완전 부정선거다) 3개월 이상 권력을 유지하기 힘들다. 아프리카 최대인 1억4천만 인구 가운데 70% 이상이 세계은행이 분류한 극빈층에 속한다. 그들 중 54%는 만성 영양실조고 어린이 10명 중 1명은 10살이 되기 전에 사망한다. 2006년 유엔개발계획이 평가한 177개 나라 가운데 나이지리아는 159위. 아프리카 최대, 세계 8위의 산유국이 가장 비참하게 사는 하위 20개 나라에 포함된 것이다. 하루 260만 배럴(2007년)이나 되는 원유를 수출하면서 석유화학 제품은 100% 수입해야 하는 나라, 수도 아부자에서조차 주유소에서 기름을 넣으려는 자동차가 몇 시간씩 줄을 서야 하는 나라.

셸그룹의 자회사가 그런 나이지리아에서 올린 연간 이익은 2007년에 310억달러, 같은 해 엑손모빌의 이익은 무려 406억달러다. 이 외부 석유재벌들이 지난 40년간 나이지리아 군사독재 대부들에게 건네준 돈이 추산으로 3520억달러로, 이 막대한 돈은 대부들이 조종하는 나이지리아 통치체제를 뿌리까지 썩게 만드는 거름이 됐다. 서방 석유재벌은 그 부패의 늪 위에 떠 있다.

“노예상인은 주식투기꾼으로 모습만 바꿔” 

2007년 한 해 동안 빈곤으로 인한 지구촌 사망자는 5700만 명이다. 이는 6년에 걸친 제2차 세계대전 전체 기간의 인명 피해와 맞먹는다. 지글러에 따르면, 이 모든 것을 지속 가능케 한 것이 신자유주의요 그것을 진두지휘한 세계은행이다. 그 배후에 워싱턴이 있다.

울레 시엔 코트디부아르 외무장관이 2001년 9월 공식회의에서 이런 말을 했다. “내리쬐는 뙤약볕 밑에서 또는 빗줄기 속에서 수백만의 농부들이 여러 달 동안 힘들게 노동한 대가로 얻는 상품의 가격이, 에어컨이 돌아가는 사무실에서 농부들의 고통에 대해서는 단 한 번도 생각해볼 필요 없이 컴퓨터만 들여다보는 사람들에 의해 결정되는 상황을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 (노예제 폐지 이후) 방법만 바뀌었을 뿐입니다. …흑인들은 이제 …자기 땅에 머물러 살 수 있죠. 하지만 그들이 자기 땅에서 흘린 피와 땀에 대해서 런던이나 파리, 뉴욕에서 값을 매깁니다. 노예상인들은 죽지 않았습니다. 노예상인들은 주식투기꾼으로 모습만 바꾸었을 뿐입니다.”

이 하고 싶은 얘기가 이 말에 압축돼 있다. 서구의 식민지배 역사는 모습만 바꾼 채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한승동 선임기자 한겨레 문화부문 sdhan@hani.co.kr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