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2008년 6월, 레닌

등록 2008-06-20 00:00 수정 2020-05-03 04:25

지금 우리에게 보다 더 긴요한 책은

▣ 로쟈 인터넷 서평꾼 http://blog.aladdin.co.kr/mramor

지난봄 에서 학회지와 계간지 편집위원들을 상대로 ‘광복 이후 한국 사회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책이 무엇인가’라고 질문을 던지니 마르크스의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고 한다. 이 설문 결과는 개인적으로 좀 의아했다. 이 ‘한국 지식인 사회’에 끼친 영향이라면 몰라도 ‘한국 사회’에 끼친 영향? 얼른 생각해보아도 의 번역본이 나온 것은, 완역본을 기준으로 채 20년도 되지 않는다. 때문에 내게 떠오른 두 가지 의문점. 그 이전 40년 동안에는 한국 사회에 그만한 영향을 끼친 책이 전혀 없었다는 것일까?(가령, 같은 경우는?) 더불어 을 제대로 읽어본 사람은 드물다는 속설에 기대면, 의 영향력은 어떻게 가능했던 것일까?

나로선 뾰족한 대답을 갖고 있지 않은데, 다만 의 출간 타이밍만큼은 절묘하다는 생각이 든다. 국역본 의 초판이 ‘운동권 빵잽이’들의 번역을 통해 나온 게 6월항쟁이 있던 1987년이고, 이번에 그 교정을 맡았던 강신준 교수가 독어판을 새로 번역한 1권을 출간한 시점은 우연찮게도 촛불시위로 한국 민주주의의 새 역사를 쓰고 있는 2008년의 6월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마르크스의 보다도 지금, 우리에게 더 긴요한 책은 (교양인 펴냄)이 아닌가 싶다. 책의 1부 ‘문앞에 다가온 혁명’은 1917년 3월부터 10월까지 러시아혁명 전야에 레닌이 쓴 글들을 모은 것이고, 2부 ‘레닌의 선택’은 그에 대한 철학자 슬라보예 지젝의 ‘주석’이다. 주석의 초점은 여느 책들과 달리 ‘레닌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가 아니라 ‘레닌을 어떻게 반복할 것인가’에 맞춰져 있다.

레닌을 반복한다고? 지젝의 이러한 기획에 대한 반응은 그가 머리말에서 밝히고 있다시피 ‘빈정거리는 폭소’다. ‘자본주의의 힘을 완벽하게 묘사한 상품의 시인’ 마르크스는 오늘날 월스트리트에서도 좋아한다. 하지만 레닌은 뭔가? 마르크스주의를 실천에 옮기려는 노력의 ‘실패’이자 ‘현실사회주의’ 실험이라는 커다란 ‘재앙’의 상징적 인물 아닌가? 하지만 지젝이 다시 건져내고자 하는 레닌은 그러한 ‘낡은 교조적 확실성’을 가리키는 이름이 아니라 재앙에 가까운 상황에 내던져지는 근본적인 경험을 한 레닌이며 그런 상황에서 어쩔 수 없이 마르크스주의를 다시 만들어야 했던 레닌이다. ‘사회적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과학적 무기’로서 을 치켜세우곤 하지만, 레닌은 자신이 직면한 새로운 문제들에 대해 이렇게 토로한 바 있다. “이 문제에 관해서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단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

레닌이 처했던 재앙적 상황이란 1914년의 상황이다. 전 유럽이 군사적 갈등 상황 속에서 둘로 쪼개져 대립하고 있었고, 유럽의 모든 사회민주주의 정당들마저도 ‘애국주의 노선’을 채택해 레닌에게 충격을 던져주었다. 그렇지만 레닌은 그렇게 사회주의 운동 자체가 소멸한 것 같은 절망적인 시점에서 ‘혁명의 독특한 기회’를 포착한다. 알려진 대로 역사학자 홉스봄은 20세기를 자본주의의 평화적 팽창이 끝난 1914년에서 현실사회주의가 붕괴한 1990년까지로 규정했다. 지젝의 제안은 우리가 레닌이 1914년에 대응해 한 일을 1990년에 대응해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가능성은 없어. 민주적 합의에 충실해야 돼”라는 일종의 ‘사고 금지’에 대응해 다시금 생각하기 시작하는 것, 그것이 ‘레닌’이란 이름이 우리에게 상기시켜주는 것이다.

혁명에는 두 가지 모델, 두 가지 양립 불가능한 논리가 있다. 하나는 역사적 진화의 필연성에 따라 ‘적절한 때’를 기다려야 한다는 입장이고, 다른 하나는 ‘적절한 때’라는 것은 따로 없으며 혁명적 기회가 나타나면 ‘정상적인’ 발전 과정을 우회해서라도 놓치지 말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레닌은 1917년 10월에 이렇게 주장했다. “2천만 명은 안 되더라도 1천만 명으로 이루어진 국가기구는 즉시 가동할 수 있다.” 지젝의 말을 빌리면, 이것이 ‘진정한 유토피아’다. 그리고 그가 보기에 우리가 고수해야 하는 것은 레닌주의의 이러한 유토피아적 광기다. 그것은 과연 지금 우리에게도 가능할까?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