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할 것은 별로 없어요. 하루에 다섯 번 사료급여기에 사료를 채우고 서너 마리 폐사하는 닭을 수거하는 게 전부죠.” 문을 열자, 숨이 막히고 귀가 따가웠다. 닭들이 울부짖을 때마다 가라앉은 먼지가 뿌옇게 떠올랐다. 거미줄로 포박된 닭들의 아파트, 날아다니는 하얀 먼지의 심원 속에 대왕거미라도 사는 것 같았다. 돈이 되는 것이라면 뭐든 잡아먹는 괴물 기계처럼 공장식 축산은 동물의 삶을 포박해 들어갔다. 미국 시카고 도축 공장으로부터 150여 년이 흘렀고, 나는 공장식 축산의 완성품 앞에 서 있었다.
<font size="4"><font color="#008ABD">아파트에 사는 닭</font></font>수도권의 한 산란계 농장. 닭들이 사는 곳은 ‘배터리 케이지’라고 하는 아파트형 밀집 닭장이다. 4층, 5층 심지어 10층 넘는 케이지도 있다는데 내가 본 곳은 4층짜리 배터리 케이지였다. 이런 케이지가 어두운 ‘공장’ 속에 여덟 줄 있었다. 닭 세 마리가 케이지 하나에 들어가 포개져 있었다.
날개도 펼 수 없고 발 디딜 곳도 충분치 않았다. 닭들은 몸을 비틀며 먼지 낀 철창에 비벼댔다. 닭 한 마리에게 허용되는 공간은 A4용지(0.062㎡) 크기보다 좁았다. 정부는 2018년 축산법 시행령을 개정해 앞으로 사육시설을 설치하는 농가에 현행 마리당 적정 사육 면적 0.05㎡를 1.5배 넓은 0.075㎡로 늘리도록 했지만, 모든 농가가 이런 기준을 적용받는 건 2025년 8월부터다.
천장에는 사료급여기가 달려 있었다. 기계가 사료를 쏟아놓으면, 닭들은 철창 사이로 고개를 내밀고 쪼아 먹었다. 그래서인지 닭들은 대개 목 주변 털이 빠져 분홍빛 속살을 드러냈다. 다른 부위에도 듬성듬성 털이 빠진 닭이 많았다. 좁은 공간의 압박 속에 서로를 무시무시하게 쪼아댔다. 케이지 각층 아래로는 컨베이어벨트가 도랑처럼 흘러가고 있었다. 벨트는 아주 천천히 움직이며 떨어지는 달걀을 하나둘 모았다. 이 아파트에 사는 닭은 ‘알 낳는 닭’, 즉 산란계다. 과거에는 일주일에 한두 개를 낳는 게 보통이었지만, 지금은 하루에 한 알을 낳는다. 농장주는 캑캑거리는 나를 보고는 말했다.
“닭한테는 고통스러운 환경이지요. 방사해서 길러보고도 싶지만, 건물을 다시 지어야 하는데 이문이 남지 않아요.”
소, 닭, 돼지 중에서 공장식 축산 시스템의 가장 깊은 곳에 자리잡은 동물이 닭이다. 놀라지 마시라! 닭고기는 불과 100년 전까지만 해도 소고기보다 비쌌다. 달걀도 일회용품 쓰듯 부엌에 상비된 식재료가 아니었다. 집 앞마당에서 몇 마리 키우는 게 대부분이어서 생산량이 많지 않았다.
<font size="4"><font color="#008ABD">진흙·꼬리 없애 ‘생산장치’로 </font></font>이는 동물의 삶을 완전히 통제해서 이룬 결과였다. 그중 핵심은 배터리 케이지 같은 ‘밀집형 가축사육시설’이었다. 20세기 중반부터 미국 등 서구에서 시작된 밀집형 사육시설을 중심으로 한 사육 방식은 기존 방식과 여러 면에서 달랐다.
첫째, 작은 공간에 최대한 많은 개체를 넣어 사육 밀도를 높였다. 동물은 콘크리트 벽과 바닥으로 된 ‘공장’에 들어가 살았다. 닭에게는 몰래 가서 알을 낳던 자리가 사라졌다. 돼지에게는 구를 수 있는 진흙 목욕탕이 없어졌다(돼지는 원래 이렇게 체온을 식힌다). 작은 공간에 많은 개체를 넣다보니 동물의 면역력이 약해졌다. 각종 질환이 생기면 삽시간에 번졌다. 폐사 개체수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돼지의 경우 어릴 때 꼬리를 잘랐다. 스트레스를 받은 돼지가 다른 돼지의 꼬리를 물기 때문이다. 임신한 암퇘지와 분만한 암퇘지는 따로 모아 ‘스톨’이라는 감금틀에 넣었다. 몸을 한 바퀴 돌 수도, 밖으로 나갈 수도 없는 이 작은 철제 우리에서 돼지는 그저 일자로 누워 있어야 한다. 어미돼지가 새끼를 깔아뭉갤 수 있어 만든 사육 장치다.
둘째, 생명공학을 이용한 사육 기법이 적용됐다. 과학자와 농장주들은 적은 비용으로 높은 품질을 만드는 데 주력했다. 사료에는 가장 좋은 품질의 고기와 생산물이 나올 수 있도록 원료를 배합했다. 칼슘, 인, 비타민 등 영양소를 어떻게 배합하느냐가 달걀 품질을 좌우했다. 과거에는 닭을 실내에서 키울 수 없었다. 실내에서는 자라지 않고 알 낳는 능력도 떨어졌다. 그러나 비타민D의 발견은 실내에서도 24시간 닭을 사육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셋째, 농장은 기계화와 자동화로 움직이는 첨단 공장 시설로 변모했다. 먹이를 자동으로 줄 뿐만 아니라 온도와 습도, 광량을 자동 조절해 동물은 흡사 온실에 사는 화초와 비슷해졌다. ‘무창계사’라고 하는 첨단 자동화 공장은 아예 사람이 들어갈 필요조차 없다. 환기구 없이 자동으로 공기를 순환시키고, 닭 수만 마리를 인부 한 명이 관리한다. 사람이 들어갈 때는 단 한 번, 계사를 비우는 날이다.
인간이나 동물은 모두 정서적인 주체다. 둘 다 고통을 느끼고 희로애락을 표현할 줄 안다. 정서적인 두 주체의 몸이 만나는 지점에서 영향력이 교환된다. 그 영향력이란 서로를 움직이는 힘이다. 사랑·귀여움·애착·혐오 등의 감정을 일으키고, 안고 쓰다듬고 피하고 도망치는 등의 행위를 일으킨다. 이렇게 몸과 몸을 연계하는 에너지 혹은 능력을 ‘정동’(Affect)이라고 한다.
공장식 축산의 형성은 바로 인간과 동물의 만남을 소거하는 과정이었다. 불과 몇십 년 전까지만 해도 인간은 닭과 마당에서 만났다. 닭은 집 구석구석에 알 낳는 자리를 봐두었고, 인간은 닭에게 이름을 붙여주었다. 외양간에선 소가 살았고, 아침에는 쇠죽을 끓이는 냄새가 퍼졌다. 그러나 자본주의가 본격화되고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동물은 물리적으로 격리됐다. 동물은 만원버스 같은 공장에 입주했다.
<font size="4"><font color="#008ABD">소거된 인간과 동물의 만남</font></font>미국의 동물보호 운동가이자 변호사인 짐 메이슨은 전통적인 미국의 농가에서 자랐다. 그는 12년 동안 손으로 소젖을 짰다. 이것을 공장식 축산 체제의 젖소와 비교해보자. 공장식 축산에서 소젖 짜기는 착유기가 대신한다. 사람과 동물의 몸과 몸의 부딪침, 긴밀한 만남은 사라지고 없다. 만약 손으로 젖을 짰다면, 설사 그것이 젖을 훔치는 행위라고 하더라도, 약간의 불편함이나 미안함을 느낄 것이다. 이것이 바로 몸과 몸이 만났을 때 나오는 힘, 동물이 주는 정동의 힘이다.
공장식 축산은 정동의 힘을 소거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비가시적 영역으로 동물을 이동시켜 착취를 은폐하고 만남을 제한하자, 인간의 죄의식은 말라버렸다. 우리는 양념치킨 한 마리가 담긴 종이상자를 열면서, 좁은 공간에 갇혀 6주 만에 생을 마감한 어느 닭의 슬픈 삶을 연상하지 못한다. 이거야말로 공장식 축산이 가진 가장 큰 폐단이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미 대선 막 올랐다…초박빙 승패 윤곽 이르면 6일 낮 나올 수도
3번째 ‘김건희 특검법’ 국회 법사위 소위 통과
‘살얼음 대선’ 미국, 옥상 저격수·감시드론…폭력사태 대비한다
9살 손잡고 “떨어지면 편입”…대치동 그 학원 1800명 북새통
한양대 교수들 시국선언…“윤, 민생 파탄내고 전쟁위기 조장” [전문]
미국 대선 투표장 둘러싼 긴 줄…오늘 분위기는 [포토]
백종원 믿고 갔는데…“전쟁 나면 밥 이렇게 먹겠구나”
패싱 당한 한동훈 “국민 눈높이 맞는 담화 기대, 반드시 그래야”
로제 ‘아파트’ 빌보드 글로벌 2주째 1위
“대통령으로 자격 있는 거야?” 묻고 싶은 건 국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