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itv>의 는 지금도 꽤 유명한 오디션 프로그램이다. 각 분야의 아마추어 재능가가 출연해 실력을 뽐내는데, 2007년 첫 회 우승자가 지금도 활발하게 활동하는 클래식 가수 폴 포츠다.
2018년에는 ‘기억력 천재’라고 불리는 41살 회계원 벤 프리드모어가 나왔다. 긴 수염을 기르고 중절모자를 쓴 그가 무대에 앉자,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3번이 장중하게 흘렀다. 대형 화면에는 트럼프 카드가 두 장씩 나타난 뒤 사라졌다. 이렇게 모두 52장이 지나가자, 프리드모어는 기억한 것을 순서대로 꺼내놓았다. “투 스페이드, 파이브 다이아몬드, 스리 다이아몬드…” 마지막까지 그는 정확히 맞혔다.
20대부터 ‘세계 기억력 챔피언’이라는 별명이 따라다녔지만, 정작 프리드모어를 유명하게 한 것은 ‘아유무’라는 이름의 침팬지였다. 에 나오기 10년 전이었다. 신문 방송에는 ‘인간, 기억력에서 침팬지에게 지다’라는 헤드라인 기사가 떴고, 그때 그를 패배의 주인공으로 알게 된 사람이 많았다. 마치 인공지능 알파고와의 대결로 바둑기사 이세돌이 세상에 더 널리 알려졌듯이 말이다.
당시 인간과 침팬지의 세기의 기억력 대결을 붙인 것도 역시 방송사였다. 영국 공중파 방송 의 (Extraordinary Animals)이라는 프로그램이었다. 대결은 아유무의 방식대로 진행됐다. 아유무와 인간이 차례로 컴퓨터 화면 앞에 선다. 다섯 개의 숫자가 임의의 위치에 무작위로 뜬다. 순식간(0.2초)에 하얀 사각형이 숫자를 덮어버린다. (0.2초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이제는 암기 시험을 볼 차례다. 작은 숫자부터 순서대로 정사각형을 손가락으로 눌러야 한다. 순서대로 짚으면 정답이다. 이 대결에서 아유무는 정답률 90%로 33%를 기록한 프리드모어를 큰 차이로 제압했다. 침팬지가 인간보다 기억력이 뛰어나다니! 적어도 직관적 기억력(시각 이미지를 그대로 기억하는 것)은 아유무가 뛰어난 것은 분명했다. 세상은 놀랐다.
침팬지의 기억력이 좋은 이유
아유무가 인간보다 기억력이 뛰어난 이유는 무엇일까? 연구소에서 태어나 평생 지겨운 게임만 했기 때문에? 아니, 절대. 그것은 아유무가 ‘침팬지’이기 때문이다. 숲에 살고 그 환경에 적응해 진화한 침팬지 종의 일원이기 때문이다. 순간적으로 보고 기억하는 것이라면, 침팬지는 인간보다 낫다.
인도네시아 보르네오섬에서 야생 오랑우탄과 함께 살며 연구했던 영장류학자 비루테 갈디카스의 말을 들어보면, 이 말이 무슨 뜻인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오랑우탄에게는 일종의 서식권역이 있는데, 그는 자기 영역 숲속의 모든 것을 안다. 우리가 보기에는 똑같이 생긴 나무도 재질과 길이에 따라 주소를 부여하며, 길짐승과 날짐승 그리고 작은 벌레의 출몰 장소와 이동 경로, 장소에 따른 바람의 질감, 햇빛 각도 따위도 잘 안다. 숲에서 사물들은 아주 미세하게 움직이지만, 그 패턴에 아주 작은 변형이라도 생길 경우, 오랑우탄은 즉각 알아챈다.
침팬지도 마찬가지다. 숲에서 그들의 먹이인 과일은 불규칙적으로 흩어져 있다. 작은 무리 생활을 하는 침팬지는 다른 일을 하다가도 과일을 재빨리 발견하고 그 장소를 기억하고 있어야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다. 침팬지는 그런 환경에서 대대로 살았고 적응했기 때문에, 아유무가 보여준 기억력 신공은 차라리 일반적이다. 물론 아유무는 한 번도 숲에서 살아본 적이 없다. 그러나 선대가 남긴 유전자 덕분에 ‘숲에서 찾기’의 기본 원리를 화면으로 가져온 ‘아유무 게임’에서 그가 (인간이 보기에) 천재적 능력을 발휘한 것이다.
그렇다면 인간은 왜 그런 능력을 가지지 못했을까? 자신도 자폐인이었던 동물학자 템플 그랜딘은 자폐인이 세상을 보는 방식이 동물이 세상을 보는 방식과 비슷하다면서 이렇게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예상하는 것만 보게끔 되어 있다. 자주 일어나는 사건, 보이는 풍경 등 전형적인 패턴에 익숙하고, 그런 패턴을 찾도록 감각이 움직인다. 동시에 익숙한 패턴 밖의 정보는 모두 버림으로써 뇌 작동의 효율성을 기한다. 대신 두뇌 활동의 여유분은 언어적 사고를 하는 데 쓴다. 사실 언어도 패턴과 서사의 집합체이다. 인간은 그렇게 진화해왔다.
반면 동물들은 감각 정보를 다 받아들인다. 예상하는 패턴에 근접하지 않으면 바로 폐기 처분하는 인간과 달리, 사진을 찍듯 시각적 정보를 세세히 확인하고 처리한다. 프리드모어와 아유무 앞에 뜬 화면의 숫자는 무작위로 떴다가 순식간에 사라졌다. 패턴이 없는 영역에서는 인간은 동물을 앞설 수 없다. 인간은 동물보다 우월하지 않다. 동시에 동물도 인간보다 우월하지 않다. 둘은 다를 뿐이다.
바이러스 실험 대상 아닌 것만도…
아유무의 고향은 정글이 아니다. 그는 세계적인 영장류 연구기관인 일본 교토대 영장류연구센터에서 2000년 4월에 태어났다. 그의 엄마 ‘아이’는 아주 잠시나마 ‘야생’을 맛본 적이 있다. 그래봤자 한 달뿐이었다. 1977년 서아프리카 기니의 보수(Bossou) 숲에서 태어나자마자 밀렵꾼에게 잡혀 어미를 잃고 일본에 왔다. 아이와 아유무 연구로 지금은 세계적 학자 반열에 오른 마쓰자와 데쓰로가 신임 연구원이었을 때다. 그는 한 논문에 담담하게 글을 썼다.
“아이는 연구소가 동물상에게 구입한 침팬지다. 그때만 해도 야생 침팬지 새끼를 수입하는 게 불법이 아니었다. 일본에서만 1970년대까지 100여 마리의 야생 침팬지를 수입했다. 대다수는 B형 간염 연구를 위한 생화학 실험용이었지만, 아이는 언어 연구를 위해 영장류연구센터로 왔다.”
바이러스 주사를 맞다 죽어간 침팬지들보다 아이와 아유무가 행복하게 살았음은 분명하다. 연구소는 아이와 아유무가 게임을 하고 싶을 때 자유롭게 와서 하도록 했고, 정답을 맞힐 때마다 간식을 주었다고 한다. 이 연구소가 동물원이나 다른 시설에 비해 월등한 동물복지 수준을 갖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찜찜한 기분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다. 이들은 왜 숲에서 과일을 찾지 않고 여기서 ‘아유무 게임’을 하게 되었나? 동물의 지능을 공표하기 위해 인간 세상에 파견된 대사라도 된단 말인가? 우리는 아유무를 통해 동물에 대한 편견을 바로잡을 수 있었지만, 동물의 노동과 삶에 대한 불편한 역사가 존재해왔다는 사실 또한 잊지 말아야 한다.
인간의 자리, 침팬지의 자리
지금 스마트폰 구글플레이에 들어가서 ‘아유무 게임’을 내려받아 게임을 해보라. 당신은 아유무에게 질 수밖에 없고, 동물보다 열등하다는 것을 알 수밖에 없다. 그리고 지금 이곳은 아유무의 자리가 아니라는 사실도.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itv>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계엄의 밤, 사라진 이장우 대전시장의 11시간…“집사람과 밤새워”
‘28시간 경찰 차벽’ 뚫은 트랙터 시위, 시민 1만명 마중 나왔다
[단독] 노상원 ‘사조직’이 정보사 장악…부대 책임자 출입도 막아
롯데리아 내란 모의…세계가 알게 됐다
28시간 만에 시민들이 뚫었다...트랙터 시위대, 한남동 관저로 [영상]
“안귀령의 강철 같은 빛”…BBC가 꼽은 ‘올해의 이 순간’
조진웅 “내란수괴가 판칠 뻔… 진정한 영웅은 국민들”
공조본, 윤석열 개인폰 통화내역 확보…‘내란의 밤’ 선명해지나
국힘 추천 조한창 헌법재판관 후보자, 윤석열 탄핵 심리 “믿고 지켜봐달라”
“역시 석열이 형은 법보다 밥이야”…모두가 행복했을 텐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