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김치가 미치는 거 아세요?

입동 전 담그는 김장, 익으려고 몸부림치다 신기하게 맛있어지는 김치
등록 2019-11-14 10:53 수정 2020-05-03 04:29
강옥란 제공

강옥란 제공

찬 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김장’ 생각이 가장 먼저 듭니다. 저희 집에서는 입동 전인 11월 초에 김장을 해요. 올해에는 11월 첫째 주말에 김장을 했어요. 40년 전 시집올 때는 배추 200포기를 담갔다면 이제는 줄어 80포기 정도 담급니다. 아랫동서네도 함께 하다가 ‘김장 분가’를 시켰더니 김장양이 줄었네요. 그래도 김장은 손이 많이 가는 일이에요.

김장하기 전에 준비할 게 많아요. 제일 먼저 밭에서 김장용 배추를 뽑아요. 배추농사를 짓고 있어서 매년 제가 키운 배추로 김장을 합니다. 올해 배추농사가 잘 안됐어요. 배추가 무름병에 걸렸어요. 배추가 잘아요. 작년에 배추 한 포기 쪼개면 네 쪽이 나올 정도로 실했는데 이번에는 두 쪽밖에 안 나오더군요.

배추를 반 쪼갠 다음에는 절여야 합니다. 가장 힘든 일이에요. 김장하는 전날 오후, 쪼갠 배추를 소금물에 덤벙 담갔다가 뺍니다. 그다음 배춧잎 사이사이에 소금을 뿌립니다. 배추의 뿌리 부분 줄기에 많이 뿌려야 해요. 골고루 잘 절여지도록 중간에 한 번 위아래 순서를 바꿔주고 뒤집어줍니다. 절임을 잘못하면 배추가 살아나서 양념이 안 들어가고, 또 배추가 너무 절여지면 물러집니다. 김장하는 날 아침에 절인 배추를 물에 씻어요.

광고

김장 양념을 준비합니다. 무를 채 썰고 청갓, 쪽파를 썰어둡니다. 배, 생강, 양파, 마늘, 무를 분쇄기에 갈아둡니다. 이것에다 고춧가루, 새우젓, 멸치액젓을 넣어 버무립니다. 버무릴 때 매실청을 조금 넣어요. 40년 넘게 김치를 담그니 눈대중, 손대중으로 간을 맞춰요. 보기에 너무 허옇다면 고춧가루를 더 넣어요. 그렇다고 고춧가루를 너무 많이 넣으면 텁텁합니다. 그리고 잊지 않고 넣는 게 찹쌀풀입니다. 찹쌀에 물을 많이 넣어 끓입니다. 찹쌀이 퍼질 때까지 끓여요. 이걸 식혀 죽처럼 걸쭉하게 된 걸 양념에 넣어요.

김장하는 날에는 수육을 삶아요. 김치와 수육을 쌈 싸 먹으면 그 맛이 별미예요. 고기가 귀하던 시절에는 배추된장국만 끓여 먹었어요. 이걸 한 그릇만 먹어도 속이 뜨뜻해져요.

절인 배추의 물기를 빼고 준비한 양념을 넣어요. 배춧잎 한장 한장 들춰 그 사이에 김칫소를 넣는 겁니다. 이걸 ‘케케 넣는다’고 해요. 이렇게 양념을 넣은 배추를 겉잎으로 싸서 김치통에 넣습니다. 김치를 넣고 그 위에 웃소금을 뿌려요. 절인 배추가 짜면 적게 치고 아니면 많이 쳐요. 양을 조절해 넣으면 됩니다. 김치를 마당에 2∼3일 정도 둡니다. 김치 국물이 올라올 때까지요. 시간이 지나면 부글부글 끓는 것처럼 김치 국물이 올라와요.

김치는 얼마나 익었느냐에 따라 맛이 달라요. 익을락 말락 할 때 먹으면 쓴맛이 나요. 이럴 때 ‘김치가 미쳤다’고 해요. 익으려고 몸부림치는 미친 김치요. 그런데 며칠 지나면 신기하게도 맛있게 익어요. 김치는 살아 있는 생물 같아요. 푹 익으면 신맛 나는 묵은지가 되고요.

광고

10년 전만 해도 김장철에 동네 김장 품앗이를 했어요. 하루 한 집 김장 품앗이를 돌았어요. 한 집에서 김장하면 그 집에 마을 사람 20명쯤 모였어요. 같은 재료를 써도 집집마다 김장 맛이 달라요. 그땐 다른 김장 맛을 보는 날이기도 했죠.

예전에는 땅에 김장독을 묻었어요. 저희 집이 볕이 잘 안 드는 그늘이라 서늘해서인지 “늦게까지 김장이 맛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네요. 요즘에는 김치냉장고가 그 역할을 하죠. 땅에 묻은 김치는 더 싱싱하고 시원한 맛이 났어요. 비싼 김치냉장고도 못 따라갈 맛이었죠.

힘든 김장을 하고 나면 ‘올해 일 마무리했네’라는 생각이 들어요. 겨울에 메주를 쑤는 일이 남았지만 이거 해놓으면 든든하죠. 김장은 겨울 반양식이라고 하잖아요. 쌀이 귀하던 시절에는 김치로 죽을 쒀서 한 끼 식사로도 먹었어요. 그때처럼 많이 먹진 않지만 여전히 김장은 우리 식구 겨우내 먹을 귀한 양식입니다.

강옥란 1956년생 주부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광고

4월2일부터 한겨레 로그인만 지원됩니다 기존에 작성하신 소셜 댓글 삭제 및 계정 관련 궁금한 점이 있다면, 라이브리로 연락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