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릅나무에 있는 참두릅을 따서(왼쪽) 나물로 무쳐 먹는다. 강옥란 제공
“어머니! 어머니가 손수 만드는 음식 이야기 남겨놓으면 좋을 것 같아요.”
이게 뭐라고 쓸 게 있을까, 생각했습니다. 말로도 했지요, 며느리에게. 그런데 전화 한 통이면 별의별 음식이 다 배달되는 요즘 세상에 저같이 자연에서 난 재료로 직접 만들어 먹는다는 게 대단한 일이라고 하네요. 그러고 보니 내 요리 경력만 40년이에요. 넙죽넙죽 받아먹기만 하는 사람들은 몰라요. 이게 얼마나 정성이 들어가고 번거로운 일인지. 그런데 나도 그동안 찬밥 취급했던 내 음식 이야기를, 이제야 맛깔나게 보여주고 싶네요. 그런 마음에 침이 꼴깍 넘어갑니다.
그래서 시작하는 이 이야기는 시골의 산에서, 밭에서 나온 식재료로 직접 만들어 먹는 음식에 관한 겁니다. 봄이니 이 이야기부터 하렵니다. 봄에 산에 가면 지천에 먹을 게 깔렸는데…. 생각해보니 그것도 30여 년 전 이야기네요. 참나물, 달래, 냉이가 많았습니다. 마을에 사람이 줄듯이 나물도 줄어든 것 같네요. 경기도 양평군 강하면 항금리. 집들이 띄엄띄엄 있고 어르신들이 주로 사는 조용한 시골 마을입니다. 이 마을에서 60대인 나는 젊은 축입니다.
광고
집 뒤 야트막한 산에는 두릅나무가 있습니다. 4월 말부터 5월 초반까지, 이 짧은 제철을 놓치면 1년을 기다려야 합니다. 두릅나무에 열리는 새순이 참두릅입니다. 땅에서 자란 새순인 땅두릅도 있어요. 돌아가신 시아버지가 40여 년 전 이곳에 심었어요. 그때 심은 나무는 죽었지만 그 씨가 퍼져 자식 같은 수십 그루의 나무가 자랍니다. 그래서 높고 험한 산에 올라가지 않아도 바로 집 뒤에서 두릅을 딸 수 있어요.
두릅은 귀하디귀한 나물입니다. 양도 적고 딸 수 있는 시기도 짧으니, 먼저 두릅을 찾고 딴 자가 임자입니다. 산에 있는 두릅을 따려면 새벽부터 나가야 합니다. 해가 중천에 뜨면 두릅도 없어요. 나물꾼들이 귀신같이 알고 다 캐갑니다.
두릅은 크기에 따라 맛이 달라요. 작은 어린 두릅은 씁쓸한 맛이 나지만 쭉 자란 큰 두릅은 단맛이 나요. 줄기 부분은 씹으면 씹을수록 맛나요. 사람들은 뭣 모르고 아직 크지 않은 작은 두릅을 따갑니다. 두릅은 봄철 보약 같아요. 입맛 없을 때 다른 반찬 필요 없고 이것만 먹어도 입맛이 돌아요.
두릅 손질은 어렵지 않습니다. 먼저 두릅 밑동을 조금 잘라내 껍질을 벗깁니다. 주변 잔가시를 깔끔하게 없애고 흐르는 물에 씻습니다. 그 두릅을 집 마당에 있는 가마솥에 넣어 데칩니다. 너무 오래 데치면 흐물거릴 수 있으니 살짝 데친 뒤 찬물에 바로 헹구는 것이 좋아요. 데친 두릅에 고추장, 고춧가루, 마늘, 매실액, 들기름, 깨를 넣고 조물조물 버무립니다. 살짝 데친 두릅을 초고추장에 찍어 먹을 수 있습니다. 기름기가 많은 삽겹살과 같이 먹어도 좋습니다. 매운 것 싫어하는 사람은 된장으로 무쳐 먹으면 되고요. 나물을 잘 안 먹는 아이들에게는 두릅튀김이나 두릅전을 해주면 됩니다. 그렇게 해줘도 우리 손주들도 잘 안 먹어요. 서른 넘고 마흔 되니 이제야 나물에 손이 가는 내 자식들만 봐도 그러네요. 아마 나물 맛을 알려면 인생을 더 맛봐야 하나봅니다.
광고
1956년생 주부입니다. 경기도 지평에서 나고 자랐고 스무 살에 양평으로 시집와 살고 있습니다. 그동안 부엌에서 음식을 만든 경력이 40년이 넘습니다. 고추장과 된장, 손두부, 김치 등 자연에서 난 재료로 만들어 먹고 있습니다. 제철 재료를 골라 공들여 손질하고 조리하고 먹는 과정까지의 이야기를 들려줄 겁니다. 나 시어머니가 말하고 며느리가 기록합니다.강옥란 1956년생 주부
이 기존 구독제를 넘어 후원제를 시작합니다. 은 1994년 창간 이래 25년 동안 성역 없는 이슈 파이팅, 독보적인 심층 보도로 퀄리티 저널리즘의 역사를 쌓아왔습니다. 현실이 아니라 진실에 영합하는 언론이 존속하기 위해서는 투명하면서 정의롭고 독립적인 수익이 필요합니다. 그게 바로 의 가치를 아는 여러분의 조건 없는 직접 후원입니다. 정의와 진실을 지지하는 방법, 의 미래에 투자해주세요.
*아래 '후원 하기' 링크를 누르시면 후원 방법과 절차를 알 수 있습니다.
후원 하기 ▶ http://naver.me/xKGU4rkW
문의 한겨레 출판마케팅부 02-710-0543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기약 없는 탄핵심판…시민단체, 헌법재판관 ‘직무유기’ 고발
국힘, 이재명·김어준 포함 72명 ‘내란음모’ 혐의로 고발한다
“윤석열 선고 지연되면, 문형배 직권으로 선고일 지정해야”
행님 내는 2번을 찍었는데, 후회한다
정권 교체 57.1%·연장 37.8%…이재명 무죄 뒤 격차 커져 [리얼미터]
‘연쇄 탄핵’이 ‘내란’이면, ‘윤석열 내란’은 뭔가? [3월31일 뉴스뷰리핑]
“마은혁 임명 거부는 윤 복귀 음모”…민주, 내일 시한 최후통첩
윤석열 탄핵심판 지연에 경찰 피로도 극심…1월 초과근무 113시간
챗GPT ‘지브리풍’ 이미지 폭발적 인기…“판도라의 상자 열었다”
‘윤 탄핵’ 촉구 성명 추동한 세 시인…“작가 대신 문장의 힘 봐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