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박헌영의 연인 한국의 ‘로자’

올 들어 잇따라 소설화된 사회주의 혁명가 주세죽

최근 자필 기록 ‘이력서’ 발견돼 오류들 정정 기회
등록 2017-11-10 16:48 수정 2020-05-02 19:28
주세죽은 3·1운동 이후 마르크스주의를 내면화한 첫 세대 사회주의자였다. 1921년 중국 상해, 1925년, 1928년 9월, 1929년 8월, 1938년 무렵, 1945년의 주세죽(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임경석 제공

주세죽은 3·1운동 이후 마르크스주의를 내면화한 첫 세대 사회주의자였다. 1921년 중국 상해, 1925년, 1928년 9월, 1929년 8월, 1938년 무렵, 1945년의 주세죽(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임경석 제공

주세죽(朱世竹)이라는 여성이 있다. 세상을 떠난 지 60년이 지났으니 역사 속 인물이라 할 만하다. 그는 잊힌 인물이었다. 민족해방운동에 참여했는데도 그랬다. 마땅히 남과 북 어디선가는 그의 삶을 되돌아보고 기억해왔을 법한데도, 그 존재는 잊혀져왔다.

남한에서는 이념적인 금제 탓이었다. 정부 수립 이후 줄곧 국가 이념(이데올로기)으로 작동해온 반공 이념 때문이었다. 주세죽은 사회주의자였다. 3·1운동 참가자였고, 그 직후에 물밀듯이 몰려온 마르크스주의를 내면화한 첫 세대 사회주의자였다. 그의 삶이 공론장에 떠오른 것은 1987년 6월항쟁 이후의 일이다. 민주주의적 권리와 언론 자유가 확장된 조건 속에서 역사에 복귀할 수 있었다. 비로소 활자로 그의 이름을 만날 수 있게 됐다. (1996년)에 ‘주세죽’ 항목이 수록됐고, 2004년에는 그의 굴곡진 삶의 편린이 기록된 가 출간됐다. 2007년에는 정점을 찍었다. 한국 정부가 고 주세죽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격세지감을 느낀다.

영화로도 만들어질 주세죽의 삶
최근 발견된 ‘이력서’라는 제목의 6쪽짜리 필기체 문서. 사료적 값어치가 높은 이 기록은 그동안 잘못 알려진 사실을 정정할 가능성을 준다. 아래 작은 사진은 ‘코레예바’라는 주세죽의 러시아어 서명. 임경석 제공/ 임경석 제공

최근 발견된 ‘이력서’라는 제목의 6쪽짜리 필기체 문서. 사료적 값어치가 높은 이 기록은 그동안 잘못 알려진 사실을 정정할 가능성을 준다. 아래 작은 사진은 ‘코레예바’라는 주세죽의 러시아어 서명. 임경석 제공/ 임경석 제공

올 들어 더욱 이채로운 일이 일어났다. 주세죽을 소재로 한 장편소설이 연이어 발간되더니, 그 작품들이 나란히 문학상 수상작으로 선정된 것이다. 올봄에 (동하출판)을 쓴 손석춘 작가가 제2회 이태준문학상을 받았다. 코레예바는 주세죽이 러시아에서 활동하던 시절에 쓰던 이름이다. 가을에도 수상작이 나왔다. 주세죽과 그의 두 벗의 삶을 문학적 상상력에 의거해 형상화한 (한겨레출판사)가 발간됐다. 이 책을 지은 조선희 작가는 요산김정한문학상 제34회 수상자로 선정됐다. 11월2일 부산일보사에서 시상식이 열렸다.

놀랍다. 오랫동안 망각 속에 잠겨 있던 인물이 이처럼 급격히 떠오르다니 말이다. 주세죽의 삶이 문학의 매력적인 소재로 떠오르고 있는 양상이다. 따지고 보면 이는 오래전부터 있었던 일이다. 일제강점기에 이미 그는 문학작품의 소재가 된 바 있다. 1930년 신문 연재소설 형식으로 발표된 심훈의 장편소설 이 있다. 주세죽을 모델로 한 문학작품으로는 아마 첫자리를 점할 것이다.

이 생각난다. 16세기 프랑스 농촌의 한 가정에서 일어난, 가짜 남편에 관한 이야기가 다양한 방식으로 유럽과 미국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렸다. 그 이야기는 소설·희곡·오페레타·영화·뮤지컬 등의 형태로 수백년간 반추돼왔다. 1981년에는 프랑스 영화감독 다니엘 비뉴가 이라는 영화를 만들었다. 1983년에는 미국의 역사가 내털리 제이먼 데이비스가 같은 제목의 역사책을 출간했다. 미시사 연구의 걸작으로 손꼽히는 그 책은 역사 연구자들에게 지금도 마르지 않는 영감을 주고 있다.

머지않아 주세죽의 삶이 영화로 만들어질 예정이라고 한다. 문학에 이어 영화가 뒤따르고 있는 셈이다. 그의 삶이 문학과 예술의 여러 장르를 통해 다양하게 반추되는 현상을 보게 될 것만 같다. 그러기를 바란다. 비극적인 삶을 견뎌야 했던 그의 영혼에 따스한 위로가 되리라고 생각한다.

최근에 주세죽의 자필 기록이 발견됐다.① ‘이력서’라는 제목의 6쪽짜리 필기체 문서다. 직접 펜을 들고 잉크를 찍어서 쓴 것이다. 일제강점기 옛 맞춤법에 따라 쓴 국한문 혼용의 글이다. 오자나 탈자가 눈에 띄지 않고 문장 구성이 문법에 합당하게 짜인, 교육받은 지식층이 작성했을 법한 글이다. 펜촉이 덜 길든 탓인지 잉크 흐름이 균일하지 않아서 더러 진하기가 들쭉날쭉하다. 그래서 더욱 생생한 느낌을 준다. 젊은 여성 특유의 아담하고 단정한 맛이 느껴지는 필적이다. 역사 속 그를 직접 만나는 느낌마저 든다.

박헌영·주세죽에 대한 코민테른 신망

이 문서는 연구자의 관심을 끈다. 왜냐하면 역사학자들이 여태까지 활용할 수 있었던 주세죽의 정보는 주로 타자가 만든 것이었기 때문이다. 타자라기보다는 적대자라고 해야 더 적절하겠다. 일본 경찰이 작성한 피의자 신문조서나 소련 내무인민위원부 심문관이 남긴 문답록 따위였다. 그에게서 ‘범죄’ 혐의를 이끌어내려는 목적의식을 가진 자들이 생산한 기록이었다. 따라서 거기에서는 주세죽 삶의 진면목을 드러낸다든가 내면세계의 진정성을 밝힌다는 등의 목표는 처음부터 기대할 수 없었다. 맥락이 단절된 단편적인 정보가 나열되어 있기 일쑤다. 이런 자료에만 의존한다면 아무리 주의 깊게 사료 비판을 하더라도, 메마르고 엉뚱한 이미지를 만들어내기 십상이다.

그런데 뜻밖에도 당사자가 자기 의지로 작성한 기록이 나타났다. 이 문서는 1930년 3월24일에 쓴 것이다. 주세죽이 모스크바에서 살던 때였다. 나이 30살, 젊고 활동적이며 아름다운 시절이었다. 그는 동방노력자공산대학에 재학 중이었다. 1929년 2월에 입학했으니 이제 2학년이었다. 혼자가 아니었다. 가족과 함께 살고 있었다. 남편 박헌영은 국제레닌대학 2학년에 재학 중이었다. 아이도 있었다. 세 살 난 어린 딸 박영(朴影)이 무럭무럭 자라고 있었다. 모스크바에서 성장하는 만큼 ‘비비안나’라는 러시아식 이름으로 불렀다.

젊은 부부가 다닌 두 대학교는 코민테른이 경영하는, 세계 여러 나라 혁명 간부를 양성하기 위한 고등교육기관이었다. 주세죽이 다니는 동방노력자공산대학은 식민지 약소민족을 위한 교육기관이었다. 조선학부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었다. 1929년 현재 조선인 재학생은 38명이었다.② 그에 비해 국제레닌대학은 코민테른 비서부가 직영하는 최상급 간부를 위한 학교였다. 입학 자격은 매우 엄격했다. 각국 공산당의 지도적 지위에 있는 간부들만 입학할 수 있었다. 또 일정한 이론 능력과 언어 구사 능력이 필요했다. 조선인으로서 이 대학에 입학한 사람은 1920~30년대에 박헌영을 포함해 6명에 불과했다.

어느 대학이든 입학이 허용된 사람들에게는 재학 동안 기숙사, 장학금, 의복, 음식 등이 제공됐다. 박헌영과 주세죽이 코민테른의 융숭한 대접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숙소와 생활비를 받고, 양질의 고등교육을 이수할 수 있었다. 그뿐인가. 그들에 대한 코민테른의 신망도 두터웠다. 모스크바 시절이 두 사람에게는 황금기였다.

그런데 왜 자필 이력서를 썼을까. 부족함이 없을 것만 같은데 무슨 목적으로 이러한 글을 썼을까? 이 의문은 문서 끝부분을 보면 풀린다. 조선공산당에서 소련공산당으로 당적을 이전하는 수속을 밟기 위해서였다. 그는 3주 전에 당적 이전 신청서를 제출했다. 이력서는 그것을 위한 서류였다.

당적을 옮기는 것은 모스크바에 살아야 하는 조선공산당원으로서는 마땅히 해야 할 의무였다. ‘코민테른 규약’에 따르면, “거주지를 변경한 공산주의자는 이주한 나라의 지부에 가입할 의무가 있”기 때문이었다.③ 그것은 국제주의자의 의무였을 뿐 아니라 모스크바 생활을 영위하는 데에도 유리했다. 모든 공적 활동에서 객체가 아니라 한 주체로서 참여할 자격과 권한을 얻는 것을 의미했다.

눈물 많은 청순가련형 여인?

일본 경찰 기록에 따르면 주세죽은 수동적인 여성이었다. 1925년 11월 말에 조선공산당 제1차 검거사건에 연루되어 체포됐을 때다. 신문 조서에 따르면 그는 사회주의를 깊이 연구한 적이 없고, 교육 수준이 낮아서 그 내용을 잘 모르며, 사상운동에는 별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여성이었다. 1925년 4월에 비밀결사 고려공산청년회 창립대회에 참석한 이유는 자기 집이기 때문이었다. 그날 서울 훈정동에 있는 자기 살림집에서 십수 명의 장정들이 모여서 뭔가를 협의했지만, 주세죽은 논의 내용을 잘 모른다고 주장했다. 그 집의 안주인으로서 손님 대접을 위해 식사 준비를 했을 뿐이지 비밀결사에는 가담하지 않았다고 진술했다.④ 피의자들은 엄격히 격리됐을 터였다. 의사소통을 할 수 없었을 텐데도 박헌영은 자기 아내와 같은 기조로 진술했다. 창립대회 장소로 사용된 자기네 거처는 단칸방이었음을 환기했다. 따라서 아내는 저녁밥을 준비하느라 회의장에 출입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여성동우회를 대표해 그 회합에 참여했다는 의심은 터무니없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언론에 보도되던 주세죽의 이미지는 청순가련형이었다. 박헌영이 1926년 7월21일 신의주 지방법원에서 경성지방법원으로 이송될 때였다. 포승줄에 묶인 채 서울로 압송되는 박헌영의 동정은 언론기관의 주목을 받았다. 신문 기사에 따르면 신촌역에서 내리는 공산당사건 피고인들을 잠시라도 만나보려고 7~8명의 지인들이 역전에서 서성거리고 있었다. 그 속에는 주세죽도 있었다. 그는 “눈물 머금은 얼굴로 그리운 남편과 말 한마디 못하고 섰는 정경”을 보였는데, “그야말로 비감한 무언극의 일 장면”과 같았다고 한다.⑤

1927년 9월20일 공산당 재판 제4회 공판 때였다. 고문에 항의하는 소란 행위로 피고 박헌영이 공판정 밖으로 끌려나왔다. 신문 보도에 따르면, “지방법원 구내에 와 서 있던 박헌영의 부인 주세죽 여사가 이것을 보고, 어찌된 까닭인지 몰라 눈에 눈물을 머금고 이리저리 헤매”었다. 이 정경은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밑도 모를 눈물을 재촉”했다고 한다.⑥

수동적이고 순종적이며 눈물을 잘 흘리는 청순가련한 여인! 타자의 기록에 보이는 주세죽의 이미지였다. 그러나 주세죽이 스스로 작성한 기록에는 전혀 다른 이미지가 담겨 있다.

진보적 사회의식 지닌 독립적 여성

그는 혁명가였다. 일제 식민지 치하에서 피억압 민족의 해방을 위한 투쟁에 기꺼이 몸을 던졌다. 3·1운동이 첫 경험이었다. 운동이 고조되던 때 함흥에서 비밀결사 ‘애국부인회’를 조직했고, 만세시위운동에도 참가했다. 그 때문에 일본 경찰에게 체포돼 2개월간 수감되기도 했다. 무엇보다 애국부인회가 주목된다. 서울만이 아니라 지방도시에서도 비밀리에 조직됐으며, 만세 시위와 밀접한 관련을 맺었다는 증언이 흥미롭다.

이미 보았듯이 그는 사회주의자였다. 단체에 가입한 것은 1921년 망명지 상해에서였다. 그해 6월 상해 고려공산청년회(고려공청)에 입회했고, 11월 고려공산당에 입당했다. 이후 그는 열성적인 사회주의자가 됐다. 한시도 사회주의 단체에서 벗어난 적이 없었다. 1923년 국내로 귀환한 뒤에는 함흥에서 비밀리에 공산청년회 세포 단체를 만들었고, 공개 사상단체인 ‘칠칠회’(七七會) 활동에도 관여했다. 1925년 4월에는 고려공청 창립대회에 참석했다. 여성동우회 내부의 비밀 세포 단체를 대표하는 자격이었다. 대회가 끝난 뒤에는 고려공청 서울지방간부 위원에 피선됐고, 제2선 지도부인 중앙후보위원 7인 가운데 한 사람으로 선출됐다. 그해 5월에는 인천 정미 여공들을 조직화할 목적으로 인천에 출장을 갔다. 거기서 비밀리에 공청 세포 단체를 결성했다.

그는 여성운동가였다. 3·1운동기에 이미 여성 비밀단체인 ‘애국부인회’에 참여한데다가, 1924년 5월 사회주의 계열 공개 여성단체인 여성동우회 결성을 주도하고 그 7인 집행위원 가운데 한 사람으로 선출됐다. 그뿐만이 아니다. 여성동우회 내부에 은밀하게 공산주의 세포단체를 조직했다. 이듬해에는 서울 지역의 대중적인 여성단체를 만들기 위해 경성여자청년동맹을 결성하는 데 참여했다.

이처럼 주세죽의 글에는 진보적인 사회의식을 지닌 독립적인 젊은 여성의 삶이 묘사되어 있다. 수동적이고 순종적인 이미지와는 양립할 수 없는 인간상이다. 눈물 머금은 청순가련한 이미지는 그의 겉모습에 취한 착시의 소산이었다. 그의 내면에는 억눌리고 가난한 자들에 대한 공감과 연대의 정신이 활활 불타고 있음을 읽어낼 수 있다.

문학·예술 방면에서 주세죽의 삶을 형상화하려는 이들은 마땅히 이 기록에 주목해야 한다. 그의 진면목을 목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뿐만이 아니다. 이 기록은 사료적 값어치가 높다. 그동안 곡해돼온 사실을 정정할 가능성을 준다.

이춘, 이정 그리고 이준

맺음말 삼아, 보기를 하나 들어보자. 박헌영이 러시아에서 사용한 가명이 있다. ‘Ли Чун’(리춘)이 그것이다. 영문으로는 ‘Lee Chun’으로 표기됐다. 박헌영은 모스크바 시절 줄곧 이 이름으로 불렸다. 하지만 이 가명의 한글과 한자 표기가 무엇인지는 밝히기 어려웠다. 영문과 러시아어 표기만을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연구자들은 잠정적으로 ‘이춘’이라 읽기로 결정했다.⑦ 음가 그대로 옮겼던 것이다. 뒷날 상해에서 발간한 비합법 출판물 에 기고한 글에서 박헌영은 ‘이정’(爾丁)이라는 필명을 쓴 바 있다. 그 때문에 ‘Ли Чун (Lee Chun)’이란 ‘이정’과 동의어일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하는 연구자들도 있었다.

그러나 모스크바 시절 박헌영의 가명이 ‘이춘’이나 ‘이정’이라고 보는 견해는 모두 잘못된 것임이 드러났다. 주세죽 이력서에 기재된 정보가 그를 정정할 수 있게 한다. 그는 자신의 남편을 일관되게 ‘리준’으로 부르고 있다. ‘Ли Чун (Lee Chun)’이란 곧 ‘리준’이라는 이름의 음차 표기였던 것이다. 두음법칙을 적용한다면 박헌영이 모스크바에서 사용한 가명은 ‘이준’이었다고 확정해도 좋다.

임경석 성균관대 사학과 교수
참고 문헌
① Кореева, ‘이력서’ , 1930.3.24, РГАСПИ ф.495 оп.228 д.480 л.6-9об
② ‘동방노력자공산대학 특별과(спецсектор) 조선인 학생 명단’ , РГАСПИ ф.532 оп.1 д.424, л.22об
③ ‘공산주의인터내셔널 규약’ 1928.8.29, 1, 동녘, 1989, 72쪽
④ 신의주경찰서 도경부보 茅根龍夫, ‘피의자신문조서(주세죽)’ , 1925.12.4: 1
⑤ ‘캄캄한 밤중에 無言劇의 一場面’, 1926.7.23
⑥ ‘30여 경관 총출동’ , 1927.9.21
⑦ ‘주세죽 관계 자료’ 1997년 여름호, 145쪽




독자  퍼스트  언론,    정기구독으로  응원하기!


전화신청▶ 02-2013-1300 (월납 가능)
인터넷신청▶ http://bit.ly/1HZ0DmD
카톡 선물하기▶ http://bit.ly/1UELpok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