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출판- “책이란… 도끼여야만 해”

등록 2004-04-30 00:00 수정 2020-05-03 04:23

부조리한 어리광을 담은 카프카의 편지모음

권혁란/ 전 편집장

새벽녘에 내린 프라하 중앙역. 허름하고 음침한 역엔 ‘빨간 그림’들이 덕지덕지 붙어 있었고 우중충한 도시에 비마저 내려 ‘프라하의 봄’으로 유명한 바츨라프 광장이 젖고 있었다. 밑천을 드러낸 영어실력으로 믿을 것이라곤 오로지 을 닮은 짝퉁 여행 안내서뿐. 광장에는 비에도 꺼지지 않은 작은 촛불 하나가 죽은 청년의 사진 앞에서 흔들리고 있었다. 세상에. 비가 촛불의 심지를 피해가다니! 그 거리 끝에서 투어버스를 발견한 난 무심코 버스에 올랐다. 가이드의 독어와 영어는 ‘전혀’ 알아들을 수 없었는데, 이윽고 버스는 나를 카프카의 생가 앞에 내려놓았다.

‘불안과 고독, 소외와 부조리, 실존의 비의와 역설’이라는 카프카 문학의 테마를 내가 제대로 알고나 있었던가. ? ? ? 읽었던 듯도 하다. 눈썹과 눈이 바로 이어붙은, 그래서 더욱 깊어 보이고 불안해 보이는 그의 눈빛과 얼굴만이 익숙했을 뿐. 체코. 프라하. 카프카. 문자 그대로 중세의 향기만이 간당간당 휘돌다 사라지던 그 여행을 끝낸 지 벌써 2년, 오늘 카프카의 편지모음을 만났다. (솔 펴냄). 제목부터 모순적이고 부조리한, 이른바 ‘카프카적’이다.

사실 카프카의 편지글이 처음은 아니다. 등이 이미 나왔다. 외롭고 수줍고 병약한 한 남자가 얼마나 많은 시간을 외로움과 마주하고 타인의 사랑과 관심을 기대하며 편지를 써왔는지를 알 수 있는데, 기막히게도 는 1088페이지로 마감하는 엄청나게 두꺼운 편지모음이다. 누워서 들고 읽다가 졸기라도 하면 치명상을 입을 수 있는 두께다. 편지는 거의 그의 편집자 막스 브로트에게 보낸 것인데, 연인과 친구에게 보낸 것도 꽤 된다. “많은 책들은 자신의 성 안에 있는 어떤 낯선 방들에 들어가는 열쇠 같은 역할을 하네”라던 카프카는 “우리는 다만 우리를 깨물고 찌르는 책들을 읽어야 할 게야. 만일 우리가 읽는 책이 주먹질로 두개골을 깨우지 않는다면, 그렇다면 무엇 때문에 책을 읽는단 말인가? 자네가 쓰는 식으로, 책이 우리를 행복하게 해주라고? 맙소사, 만약 책이라곤 전혀 없다면 그 또한 우리는 정히 행복할 게야. 그렇지만 우리가 필요로 하는 것은 우리에게 매우 고통을 주는 재앙 같은, 우리가 우리 자신보다 더 사랑했던 누군가의 죽음 같은, 모든 사람들로부터 멀리 숲 속으로 추방된 것 같은, 자살 같은 느낌을 주는 그런 책들이지. 책이란 우리 내면에 존재하는 얼어붙은 바다를 깨는 도끼여야만 해. 나는 그렇게 생각해”라고 스스로 다짐하기도 한다.

‘나는 그만 야행성 동물로 살아가야만 한다네. 그렇지만 기꺼이 자네를 다시 한번, 그러니까 어느 저녁에 보고 싶으이. 내일 수요일이나 그 밖에 자네가 좋아하는 어느 때라도.’ 현대인의 고독과 불안과 소외와 불길한 꿈을 쓴 카프카의 이런 앙탈 같은, 애교 같은, 어리광 같은, 끝내는 ‘오프라인’으로 얼굴을 마주 보고 말하고 싶다고 고백하는 그의 편지를 읽는 재미는 꽤나 오졌지만, 나는 중간에 책을 덮었다. 다 읽지 않은 책에 대해선 말을 말겠다던 혼자만의 계율을 깬 까닭은 무진장 두꺼운 책의 분량도 한몫했지만 그것보다는 25년의 세월 동안 골방에서 숲에서 거리에서 쓴 그의 절절한 영혼의 편지를 하루나 이틀 만에 읽고 치워버리고 싶진 않아서였다. 곁에 두고 자주, 천천히 펼쳐볼 것이기 때문이다.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